• 제목/요약/키워드: Core Courses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1초

문헌정보학과의 코어 교과목 연구 (A Study on the Core Courses of the Departm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엄영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3-49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의 기초 과목으로 볼 수 있는 코어 교과목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문헌정보학과들이 코어 교과과정으로 인정되는 필수과목들을 개설하지 않으므로 1980년대의 필수과목들을 조사하여, 이들이 현재의 교과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학부제의 실시 이전과 비교하면 개설되는 코어 교과목들과 이들이 교과과정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에 별 변화가 없으며, 전통적인 코어 교과목인 자료의 수집, 조직, 봉사, 경영ㆍ관리 및 정보학 관련 교과목들이 교과과정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학습전이 촉진 전략에 따른 핵심역량교육의 효과성 연구 -H사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re competency courses according to facilitating strategy of learning transfer focusing H Corporation)

  • 김영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175-18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H사에서 실시한 핵심역량교육을 사전-사후검사설계 및 성공사례기법을 적용 분석하여 학습전이 및 경영성과에의 기여 등 효과성을 검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핵심역량교육에 참여한 학습자 본인, 관찰자 집단(상사, 동료, 부하)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1,012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핵심역량교육의 사전-사후검사 평균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둘째, 관찰자들이 인식하는 학습자들의 역량수준이 학습자 본인이 인식하는 것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공사례기법을 통한 검증 결과 핵심역량교육이 경영성과에 직 간접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재상 공유를 위한 핵심역량교육이 조직성과에 직 간접적으로 기여하기 때문에 조직구성원의 행동 변화를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법으로 적극활용해야 하겠다. 둘째, 핵심역량교육이 교육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통합적 학습전이모형을 설계하고, 학습전이 촉진을 위한 학습자 개인과 조직의 협력적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하겠다.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ng the Practicalness of Library and Information Courses in Korea)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2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교과목들의 현장필요성을 평가하고 교과과정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현장사서들을 대상으로 현재의 교과목운영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기반으로 구체적으로 필수 또는 핵심과목, 그리고 선택과목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필수과목으로 사서실습,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분류목록), 정보조사 제공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등 6개 과목, 핵심과목으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 등 6개 과목, 나머지 과목은 학교의 상황 및 교수진의 구성에 따라 선택과목으로 개설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교육방법으로 사서실습 및 현장답사를 통한 교육, 발표 및 토론위주 교육을 제안하며,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내실화를 위해 중요한 것은 교육주제의 최신성, 교육내용의 전문성, 교육자의 전문성 및 자질, 교육교재의 전문성, 담당과목과 담당교수의 전공상관도 제고 등이다.

국내 문헌정보학 주요 교과목 강의계획서 분석 및 개발 연구 (A Study on Analyzing and Developing the Syllabu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re Courses)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43-17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사회의 능력있는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주요 전공과목의 교과내용을 개발,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39개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핵심 전공과목의 강의계획서를 조사 분석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내용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주요 교과목의 교과내용인 강의계획서 개발대상과목은 2011년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핵심 교과목으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론",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도서관실습" 6개 과목이다. 강의계획서는 강의개요(목표 및 목적), 교수법, 평가방법, 주요 교재, 15주 또는 16주의 강의일정 및 내용(강의계획서)을 포함한다.

한방비계내과학 내 중요 본초 및 처방 분석 연구 (Study on core herbs and herbal prescriptions from Internal medicine on Spleen system in Korean Medicine)

  • 김안나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45-154
    • /
    • 2022
  •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study core herbs and formulas in Internal medicine on Spleen system, to enhance efficiency in teaching Internal medicine on Spleen system, Herbalogy, Formula science, and to increase integration of the courses. Methods : Frequency notion, which was generally used in previous studies, was used in this study along with network analysis. Results : Frequently used herbs, herbs with high centrality, frequently combined herbs and core formula were found in this study. The herb with the highest frequency and centrality was 'Citri Unshius Pericarpium', and 'Atractylodis Rhizoma Alba - Citri Unshius Pericarpium' was the most frequent herb combination. The results of network analysis showed a total of 5 herbal communities of combination. Conclusion : Core herbs were found based on the frequency notion, which is a traditional analysis method. Also, core herbs, herbal combinations, formulas that can that may be overlooked when using frequency notions were found by using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may lead to enhancing efficiency in the education of Internal medicine on Spleen system, Herbalogy, Formula science courses and the integration of courses.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교과목 성적과 K-CESA 핵심역량의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se Grades and the K-CESA Core Competencies for Engineering Students)

  • 황지원;김학진;송오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4호
    • /
    • pp.35-46
    • /
    • 2016
  • With the emphasis on core competencies, the University of Seoul has exerted efforts to reflect th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in university curricula. The main assessment tool used in Korea is the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K-CESA), develop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ore competencies measured using K-CESA are valid as a tool for assessing educational achievements among college student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K-CESA scores and course grades.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approximately 204 engineering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Seoul.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courses, MSC courses were shown to be related to the resource and through information use competency and higher order thinking competency. Through the Analysis of Variance, students in the accreditation programs and students living in urban area showed higher competency scores. In the multiple regression, it was shown that Accreditation and MSC courses grades were the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the competency of the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firmed that the K-CESA tool has a certain level of correlation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that it functions as one of several ways to evaluate the program outcomes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문헌정보학 교재개발방법 제안 및 실제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LIS Textbooks)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1-18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의 주요 교과목에 대한 교재개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교재개발 절차를 매우 자세하게 제시함으로써 다른 교과목의 개발 시 참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재개발절차는 1) 주요 교과목의 주교재 조사 분석, 2) 직무분석결과로부터 교과내용 도출, 3) 자문위원 평가 및 의견반영, 4) 최종 교재목차를 장, 절, 항 수준까지 제안 등이다. 연구결과로 제안된 교재목차는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조직론, 정보검색론, 도서관실습 교과목에 대한 것이다. 모든 과목에 대해 장, 절까지 제안하고 있으며, 세부 내용에는 해당 장, 절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내용을 모두 나열함으로써 교수자의 재량에 따라 선택하여 교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4차 산업 핵심기술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여대생의 교육요구 분석 (A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on the Informal Programs of Core Technology in the Fourth Industry)

  • 장지영;권선아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14-21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n university informal program roadmap, and also to draw up operational plans for human resources with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y. To do this, first we derived university informal education program draft through experts workshop, then conducted a survey regarding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nd their educational needs on the 4th core technology matching programs. The following main results were obtained : First, students preferred 'hands-on training' by professionals and they wanted to be trained during summer or winter holidays or the night time during semesters. Also, they thought two hours of training per session was appropriate. Regarding these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depending on the majors. Second, while students had highly preferred for the courses related to data analysis, Arduino programing and VR(virtual reality), those related to 3D printing modeling were less preferred. Depending on the majors, preferred courses had different priorities, but non-preferred courses were similar regardless of majo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university informal curriculum model and the operation plans for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y were proposed.

국내 간호대학 국제보건 교과과정 분석 연구: 2015년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Global health curricula in Korean nursing schools: Focusing on the changes since 2015)

  • 이수진;윤주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7-3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global health curricula and characteristics in nursing schools, focusing on the changes since 2015.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websites of 202 nursing schools nationwide in Korea. Global health curricul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ed framework developed by the authors. Results: Among 202 nursing schools, 173 (85.6%) schools offer global health-related courses. Of these, 72 (35.6%) schools offer a 'Multiculturalism' course, and 42 (20.8%) schools offer a 'Global Nursing' course. Fifty-nine schools (29.2%) offer both courses. Compared to the study findings in 2015, the number of global health-related courses and the percentage of global health-related courses designated as a requirement dramatically increased. An additional analysis of five syllabi of global-health related courses found several differences in the courses' aims, contents and evaluation methods. Conclusions: Due to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nursing schools are more likely to offer global health curricula.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consensus on the core contents and approaches of such curricula, necessitating systematic discussions about the core contents and effective learning methods to increase nursing student competency in global health nursing.

대학생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Communication Courses to Enhance Undergraduates' Core Competence)

  • 김효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9-16
    • /
    • 2016
  • 최근 기술의 발전과 함께 문화 간 융합이 이루어지는 정보사회화 흐름 속에서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각 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경쟁력 있는 인재양성에 있어 꼭 필요한 핵심역량의 하나로 간주하고 이와 관련된 교육과정의 개설과 운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개발에 관한 과정과 구체적인 콘텐츠를 제시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에 관한 콘텐츠에는 강의개요, 강의목표, 강의방법, 성적 평가방법, 주차별 학습주제, 학습목표, 학습내용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효과적으로 배양하여 대학생활을 하는데 있어 핵심역량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대학 및 사회에서 갖추어야 할 구성원의 핵심역량으로 가장 우선시 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대한 체계적 교육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양성의 장을 마련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