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5초

도시 복합상업시설의 범죄예방 환경계획을 위한 연구 - 이용자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Planning of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 Focused on the Users' Consciousness -)

  • 하미경;이효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14
    • /
    • 2015
  • The most important issue of modern cities is a crim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planning is needed in the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which have an important role of modern urban life, and have a positive elements for loc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planning for the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is performed on users of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to evaluat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planning is needed in the public space which forms boundary between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and other urban facilities. 2) Safety support planning is necessary for women and children for crime prevention of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3) Crime prevention planning is needed in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of the various isolation space. 4)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planning is needed for facilities of after business hours. 5) Various security alarm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s needed for crime prevention. 6) Community program is necessary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external public space. 7) A sign is necessary to prevent a criminal act in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8) The connection of commercial facilities and activity inducing factors is needed.

단독주택의 자연적 감시 확보가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atural Surveillance of Detached House on the Fear of Crime)

  • 신재헌;김상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30-237
    • /
    • 2012
  • 1950년대 이후 범죄에 대한 기존의 예방법에 대한 한계로 인해 기존의 범죄예방과 다른 관점을 가진,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활동(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CPTED는 범죄자의 범죄 특성과 인간의 주변 환경과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범죄를 예방하는 방법이다. CPTED의 요소 일반적으로 자연적 감시, 자연적 접근통제, 영역성, 활동의 지원 등이 있다. 이 중 자연적 감시는 CPTED 기법의 요소로서 자연적인 감시활동이 범죄자의 행동을 감시하여 범죄를 예방한다는 것이다. 기존의 CPTED 연구와 달리 이 연구에서는 단독주택지역이라는 CPTED 특성을 바탕으로 확보된 자연적 감시에 의해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주어 범죄 두려움 감소와 함께 범죄에 대한 피해 경험이 줄어들었다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자연적 감시의 확보가 가능한 지역에서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감소하고, 실질적인 범죄가 줄어든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CPTED 기법을 적용한 주거지역의 범죄예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me Prevention of Residential Zone through the Application of CPTED)

  • 김영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73-278
    • /
    • 2008
  • 도시범죄 관리에 대한 새로운 전략으로써 사전예방적 범죄 통제전략 중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것이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범죄와 관련하여 현실적으로 범죄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범죄예방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서 2004년도에 발생한 도시범죄 중 동구의 주거지역에서 발생한 범죄를 대상으로 범죄분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현지조사를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CPTED의 입장에서 범죄예방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PDF

CPTED 사례 분석을 통한 디자인 제안 (Design proposal through CPTED case analysis)

  • 한현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439-444
    • /
    • 2021
  •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서로의 공간을 공유하면서 환경 속에서 살아가며 안전을 위해 각자의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디자인을 통해 범죄로부터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는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공공 디자인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통해 탐색이 가능한 공공 공간 디자인을 연구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 디자인의 개념과 사례에 대한 다양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CPTED의 진행 기준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는 최종 추출된 키워드로 각 성공 사례의 결과를 분석하고, 최종 10개의 키워드 도출을 통해 범죄 예방을 위한 세 가지 디자인 솔루션을 제안하였다. 각 설계 솔루션은 본 프로젝트에 참여한 25명의 CPTED 연구자가 리커트의 5점 척도로 평가 하였으며, 평가의 결과에 따라 향후 보다 안전하고 완성된 형태의 CPTED를 활용한 디자인 결과물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내 범죄예방 환경설계 인증제도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n Authorization System for Domestic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 임동현;이경훈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6호
    • /
    • pp.85-92
    • /
    • 2018
  •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in an apartment complex environmentally designed for domestic crime prevention. The researchers surveyed 267 residents on the community, fear of crime, and crime victimization. They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authorization complex received higher security satisfaction results than the unauthorized complex; residents were less afraid of crime and more active in the apartment complex community. These results differ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the fear of crime is not related to a crime victim experience and that the fear of crime is low when there are less households in the apartment complex. Therefore,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abroad should not be accepted in a domestic residential environment.

CPTED 기준 제시를 위한 사회적 요인과 조명물리량의 통계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social factors and lighting physical quantities to present CPTED guideline)

  • 김광훈;오진우;황준권;전수정;윤근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10권3호
    • /
    • pp.17-22
    • /
    • 2019
  • In recent years, crime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causing not only economic damage but also aggravating the social atmosphere. The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guideline, which is an environmental crime prevention design technique, reduces the possibility of crime by implementing a proper defensive design plan through appropriate lighting design in the city and reduces the fear of crime. Among the various principles of CPTED, the proper use of street lamps and CCTV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enabling natural surveillance. In this study, the authors identified and qua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installation of street lamps and CCTV in each autonomous district of Seoul. The physical quantity of lighting and social factor quantified from light lamps and CCTV data, respectively, were expected to support the guidelines presented by CPTED. Therefore,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quantified values and found that street lamps and CCTV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rime rate.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afety index and the crime rate, calculated by dividing the number of street lamps and CCTVs by area, was also analyzed and an R2 value of 0.647 was confirmed.

학교시설의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를 위한 지표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icators Establishment for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in School Facilities)

  • 정지혜;류수훈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11-18
    • /
    • 2019
  • School Crime Prevention Thro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is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design guide through a lot of research. However, it is common practice to conduct consulting through existing cases and utilize internal self-evaluation through similar projects, as the self-evaluation criteria are not open to public or unlike other certific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more quantitative and objective practical manual by analyzing the evaluation elements of school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provided by guidelines and guidelines of various organizations and local autonomous bodies involved in school design. As a result of quantifying the school facilities CPTED indicators so far and incorporating the current guidelines, 'Surveillance and access control' of 'Entrance space and parking space' is found to be main. If the various indicators presented above ar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school facilities in the application of the school CPTED technique, in addition to the CPTED for physically preventing offenses committed by outsiders, it can be expected to prevent violence among students or social crimes in school education.

Designing a Crime-Prevention System by Converging Big Data and IoT

  • Jeon, Jin-ho;Jeong, Seung-Ryul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15-128
    • /
    • 2016
  • Recently, converging Big Data and IoT(Internet of Things)has become mainstream, and public sector is no exception. In particular, this combinationis applicable to crime prevention in Korea. Crime prevention has evolved from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o ubiquitous crime prevention;however, such a physical engineering method has the limitation, for instance, unexpected exposureby CCTV installed on the street, and doesn't have the function that automatically alarms passengers who pass through a criminal zone.To overcome that, this paper offers a crime prevention method using Big Data from public organizations along with IoT. We expect this work will help construct an intelligent crime-prevention system to protect the weak in our society.

민간경비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기법의 상호의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dependence of Private Security and Techniques of CPTED)

  • 이정덕;임유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29호
    • /
    • pp.223-249
    • /
    • 2011
  • 현대사회에서 시민들의 안전과 삶의 질적 측면을 적극 고려하는 범죄예방활동은 범죄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고, 효과적인 범죄예방 전략을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관심을 이끌어내고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범죄예방을 위한 정책과 기법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보다 과학적이고 최첨단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오늘날 대표적인 범죄예방의 최첨단 전략이 민간경비영역에 많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민간경비에 첨단기술이 많아지면서 비용이 상승하고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의문도 일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전략이다. 이는 적은 비용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주위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 자연적 감시원리, 접근통제, 영역성, 감시강화 활동의 지원, 유지 및 관리의 원리를 강조하는 다각적인 범죄예방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범죄예방과 관련된 방어공간의 영역설정은 민간경비와 CPTED의 영역과 활동의 영역을 결정지으며, 현실적으로 범죄에 대한 예방과 방어공간을 고려해야 한다. 범죄의 사전적 예방이 강조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범죄예방을 위한 접근 시각과 방법을 달리하는 민간경비와 CPTED의 이질적인 측면과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영역에서 어느 정도 중첩이 되는 동질적인 측면이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범죄에 대한 공간과 환경적인 접근을 통해 예방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민간경비와 CPTED는 범죄예방활동과 관련해서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기회를 감소시키기 위한 공간적인 시각과 다각적인 접근을 의미하고, 특정행동에 해당하는 범행과 그 기회를 억제하거나 유인하기 위한 범죄예방 정책이라 할 수 있다. 결국, 범죄의 사전적 예방이 강조되고 이와 관련된 전략이 요구되는 가운데 민간경비와 CPTED의 상호의존성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범죄예방에 대한 접근 방법과 주체 그리고 규모의 다양성, 둘째, 민간경비와 CPTED의 특성과 한계를 고려한 영역 설정, 셋째, 상호의존적인 민간경비의 첨단적이고 과학적인 발전과 범죄예방에 대한 CPTED의 방어공간영역을 전문적으로 연구하여 접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과 민간경비의 역할 (Crime-Prevention in the Community and the Security Activity)

  • 장예진
    • 시큐리티연구
    • /
    • 제17호
    • /
    • pp.301-316
    • /
    • 2008
  • 우리들 대부분은 어렸을 적 없었던 동화 가운데 “아기돼지 삼형제”이야기를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늑대의 공격으로부터 아기돼지 삼형제를 구한 것은 막내 돼지의 벽돌집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이야기가 경호 경비 관련자에게 시사하는 바는 "잘 설계된 물리적 환경이 범죄의 예방에 얼마나 중요한가"라는 것이다. 범죄 방지를 위한 지역 경찰의 능력은 치안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여 국민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시키지 못하였으며, 급기야는 공권력의 불신으로 이어져 심각한 사회위기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사회에서 보는 것처럼 범죄대응체계와 방범체계를 비웃기라도 하듯이 순식간에 범행을 마치고 경찰이 출동하여 현장에 도착하기 전에 도주하는 경향이 보여 정부의 치안력 한계를 느끼게 하는 한다.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기법의 도입을 통해 범죄예방의 효율성의 기하는 한편 체계적인 범죄예방 프로그램과 가장 적합한 모델을 선정하여 활용하는데 과제를 안고 있으며, 지역 사회 범죄활동에 대해 경호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지역사회의 치안활동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전략으로 경호활동의 참여를 통한 접근에 초점을 맞추며, 현재까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크고 작은 지역사회 범죄예방책으로 CPTED기법을 경찰과 민간경호경비업체에 적용하여 유효적절한 모델을 설정하고 지능화되고 흉포화 하는 범죄에 대응하고 예방하는 지표를 삼고자 하는 데에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