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linker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3초

Copolymerization of Organo Silane with Butoxyacrylamide Monomer and Its Physical Properties

  • Han, Jong Hee;Ko, Byeng In;Lee, Won-Ki;Park, Chan You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4권2호
    • /
    • pp.128-134
    • /
    • 2019
  • Many scientific approach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reparation of alternative crosslinker system of amino resins and isocyanate prepolymers. Herein, copolymerization of trimethoxy silane with N-butoxymethyl acrylamide was performed, and the product was reacted with hydroxyl groups in the alkyl main chain without the need for an additional crosslinker. For the crosslinker synthesized herein, the molecular weight,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viscos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tent of N-butoxymethyl acrylamide.

PEGDMA를 이용한 PEO 필름의 광가교 (Photocrosslinking of PEO Films Using PEGDMA)

  • 구광회;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8년도 제39차 학술발표회
    • /
    • pp.11-12
    • /
    • 2008
  • Poly(ethylene oxide)(PEO) of molecular weight of 300,000 was crosslinked by UV irradiation in the presence of crosslinker. The photochemical crosslinking of PEO was enhanced by the addition of dimethacrylate crosslinkers in the film. Percent conversion of the polymer into gel as well as water absorbency were investigated gravimetrically. Gel fraction of PEO films increased with increasing crosslinker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photocrosslinked PEO films with benzophenone, gel fraction reached about 95%. The thermal behavior of crosslinked PEO films was characteriz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he maximum decomposition temperature increased with increasing crosslinker concentration.

  • PDF

Effects of Polymerization Parameters on Absorption Properties of an Itaconic Acid-based Superabsorbent Hydrogel

  • Kim, Dong Hyu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4권3호
    • /
    • pp.232-240
    • /
    • 2019
  • A superabsorbent hydrogel (SAH) can absorb and retain water weighing more than a hundred times of their dry weight because of their three-dimensional hydrophilic structure. To fabricate an SAH, itaconic acid (IA) and vinyl sulfonic acid (VSA) were subjected to radical polymerization in an aqueous solution, wherein IA and VSA were neutralized, and then, a crosslinker and a thermal initiator were added in sequence. The structure of poly(IA-co-VSA) was characterized using attenuated total reflectance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We also studied the changes in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the SAH composites according to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degree of neutralization, type and content of the initiator used, and type and content of the crosslinker used. Thus, we could determine the effects of some synthetic factors on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the SAH.

The Transport Phenomena of a Series of Amides through the Copolymer Hydrogel Membranes

  • Koo, Hyeon-Sook;Jhon, Mu-Shi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권4호
    • /
    • pp.138-143
    • /
    • 1980
  • Hydrogel membranes were prepared by copolymerizing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and N-vinyl-2-pyrrolidone (VP) in the presence of the solvent and the crosslinker tetra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TEGDMA). By changing the monomer composition and the crosslinker content, different membranes were synthesized. Using these membranes, relative permeabilities and distribution coefficients for amides including urea were measured. The water contents in membrane were also measured. On the basis of solute-membrane matrix interaction,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셀룰로오스에 아크릴산의 방사선 그라프트 반응: II. 다관능성 단량체와 산의 첨가 효과 (Radiation-Induced Grafting of Acrylic Acid onto Cellulose : II. Effects of Multi-Functional Monomer and Acid on the Grafting)

  • 권오현;노영창;이영무
    • 공업화학
    • /
    • 제9권3호
    • /
    • pp.348-354
    • /
    • 1998
  • 아크릴산의 셀룰로오스에 대한 방사선 그라프트 반응에서 가교제로서 다관능성 단량체를 첨가할 경우 그라프트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작용기가 2개인 1,2-propandiol dimethacrylate(PDDMA)와 작용기가 3개인 1,1,1-trimethylolethane triacrylate(TMETA)를 아크릴산에 대한 부피분율로 첨가하여 그라프트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라프트 반응시 다관능성 단량체의 함량, 조사선량, 반응온도, 반응시간 등이 그라프트율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아크릴산에 가교제로서 다관능성 단량체를 첨가하여 그라프트 반응을 시킬 때 2관능성 단량체인 PDDMA 는 0.75부피%, 3관능성 단량체인 TMETA는 1.0부피%에서 최대의 그라프트율을 나타내었다. 아크릴산에 PDDMA가 소량 함유된 그라프트 반응에서 그라프트용액에 산을 첨가하면 그라프트율은 감소하였으며 강산일수록 감소현상은 증가하였고, TYMETA는 산을 첨가하여 그라프트 반을을 시키면 그라프트율은 증가하였다. 3관능성 단량체인 TMETA가 포함된 그라프트 반응에서 $FeSO_4{\cdot}7H_2O$와 산을 동시에 첨가하면 산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높은 그라프트율을 나타냈고, 산만을 첨가하면 과다한 단일중합체의 형성으로 그라프트 반응을 수행할 수가 없었다.

  • PDF

양극산화로 제조된 광어노드와 엔자임 고정화를 통한 광전기화학적 수소제조 연구 (Photoelectrochemical production of hydrogen by anodized photoanode and enzyme)

  • 박민성;심은정;허아영;윤재경;주현규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27.2-22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양극산화된 $TiO_2$ 전극(anodized tubular $TiO_2$ electrode, ATTE)을 수소제조용 PEC(Photoelectrochemical)시스템에서 광어노드와 기존의 백금전극을 대체하고 $H^+$ 환원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엔자임(Pyrococcus furiosus, Pfu)을 고정화한 후 캐소드로 동시에 활용하였으며, 엔자임 고정을 위한 crosslinker 종류 및 금속담지 여부, ATTE 길이를 통한 수소발생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ATTE 표면과 엔자임의 amine group의 연결을 위하여 heterobifunctional crosslinker로써 사슬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Sulfo-SDA가 유리하였으며, 금속담지의 경우 짧은 튜브의 경우 1% 내에서 효과가 증진되었으나 긴 튜브의 경우는 오히려 광전류 및 궁극적으로 수소발생속도에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또한, 튜브 길이가 긴 ATTE가 짧은 ATTE 보다 수소발생양에서 더욱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텅스텐산화물 담지의 가시광감응에의 담지 효과는 예비 실험 결과로 나타나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조절방출성 약제를 위한 소프트 하이드로겔 소재의 개발

  • 이승진;구영순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96-196
    • /
    • 1994
  • DDS에 활용될 수 있는 고분자 소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물성 및 응용성이 우수한 고분자 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Ethylene oxide,propylene oxide 각각의 copolymer인 poloxamer등의 prepolymer들을 triisocyanate로 가교시키고 diisocyanate 로 chain이 연장된 "soft hydrogel"을 제조하였다. 모델 약물을 선정하여 crosslinker와 extender의 조절에 따른 hydrogel의 약물 방출 조절능을 조사하였으며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교부위에 urethane bond를 함유한 soft hydtogel은 건조상태에서도 고무와 같은 전연성을 보여 일반적인 hydrogel과 대비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활용성이 기대되었다. Extender및 crosslinker의 비율에 따라서 이 rubber elasticity가 조절되었다. 가교도가 감소할수록 팽윤도가 상승하였고 이에 따른 약물방출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Prepolymer의 분자량 및 친수/소수성등의 물성에 따라 약물방출을 조절할 수 있었다. 제조된 hydrogel에 조절방출시 필요한 기능을 부가시키고자 poly(carylic acid)류와 IPN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물성을 조사하였고 비이온성/양이온성/음이온성 모델약물을 선정하여 pH에 따른 가변적 팽윤도와 이온성 상호작용등에 근거한 약물 조절방출기전을 조사하였다.기전을 조사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Hydrogel Prepared from Microbial Poly($\gamma$-glutamic acid) by Chemical Crosslinker

  • Park, Jong-Soo;Choi, Seong-Hyun;Choi, Woo-Young;Yoon, Min-Ho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213-217
    • /
    • 2005
  • Microbial hydrogel was prepared with poly(${\gamma}$-glutamic acid) produced from Bacillus subtilis BS62 using crosslinking reagent,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EGDE), and it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Hydrogel which prepared from 10 grams of 10% PGA solution with $600\;{\mu}l$ of EGDE at $50^{\circ}C$ for 17 h swelled 4,320 times its dry weight, and time to reach swelling equilibrium in deionized water at 4 to $45^{\circ}C$ range was about 20 h. Swollen hydrogel shrunk in ionic solutions, and rate of shrinkage was higher in calcium chloride solution than sodium chloride solution. Swelling rate of hydrogel increased 1.3-fold of initial swelling rate for 30 min at $80^{\circ}C$.

Polyorganophosphazene 하이드로젤의 합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organophsphazene Hydrogels)

  • 김영백;박덕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89-93
    • /
    • 1997
  • 여러 가지의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함유하는 폴리포스파진을 합성하고 이들 고분자의 가교 반응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치환기는 (2-메톡시에톡시)에톡시기와 2,2,2-트라이플로로에톡시, 페닐옥시, 알라닌 등이었다. 합성된 고분자의 가교는 감마선 조사, 자외선 조사 및 가교제와 감광제를 사용한 자외선 조사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가교시켰다. 세가지 방법 중에서 가교제와 감광제를 사용한 자외선 조사가 가장 좋은 결과를 주었다. 얻어진 고분자를 물에 담궈 하이드로젤을 얻어내었으며 이들의 성질을 간략히 조사한 결과 모든 경우 최저 임계온도를 나타내는 행동을 하였다.

  • PDF

Functional Finishing of Cotton Fabrics by Treatment with Chitosan

  • Shin, Youn-Sook;Min, Kyung-Hye;Jang, Jeong-In
    • 한국가정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정과학회 1997년도 가정과학회 총회 및 학술대회
    • /
    • pp.33-37
    • /
    • 1997
  • Cotton fabric was treated with chitosan solution by pad-dry(-cure) method to impart antimicrobial properties. Four chitosans of different degree of deacetylation(DAC: 65~95%) with similar molecular weight(ca. 50, 000) and one chitosan oligomer(MW 1, 800, DAC 86%) were used. Antimicri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was evaluated by the Shake Flask Method. Treated fabrics were laundered up to 20 times according to AATCC Test Method 60-1986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aundered fabrics was evalu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and DAC of chitosan used. And the cured samples showed better durability to laundering than not-cured samples. Crosslinker and binder decreas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fabrics treated with chitosan oligomer and were not effective to improve the durability to wash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