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Program Manua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매뉴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Model and Program Manual of Public Library Cultural Programs)

  • 곽철완;안인자;김호연;박미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97-20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에 적합한 문화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운영매뉴얼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의 프로그램 모형과 매뉴얼을 조사하였고,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전문가와 면담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문화프로그램 모형을 내적요소와 외적요소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문화프로그램의 밑바탕이 되는 틀인 내적요소에는 문화프로그램의 목적과 도구가 포함되고, 개개의 문화프로그램을 어떤 내용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외적요소에는 문화프로그램의 주제 분야 및 형식을 포함시켰다. 도서관에서 문화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기 위한 운영매뉴얼을 제시하였는데 전 과정을 12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필요한 중요 활동을 따로 제시하여 각 단계에서 무엇을 하여야 할 것인가 서술하였다.

문화재 화재 대응훈련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TRAINING PROGRAM BASED ON DIGIEAL CONTENTS FOR PROTECTING CULTURAL ASSETS FROM FIRE)

  • 기재석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년 정기학술대회
    • /
    • pp.321-323
    • /
    • 2015
  • This study will build a prompt response system based on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 structure of cultural heritages, including the roof structure, to improve the ability to contain and respond to the fire of wooden structure for saf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s with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s that are very vulnerable to fire, and develop a training simulation program based on virtual reality by applying the concept of Edutainment for systemized and interesting training of trainees with a response manual.

  • PDF

공공도서관 세부소요공간 규모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Guideline of Individual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 임호균;고흥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90-39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lanning guideline of individual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The 26 cases were selected from the data of outstanding libraries built after the year 2000. The paper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data from analysis and the guideline from manual book of public librar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ed ; The first, reference reading rooms were open-plan rather than segmented. The second, the percentages of reference reading spaces from the data were lower than the guidelines. It proved the fact that the role of public library expanded to cultural community space. The third, children's space retained sufficient numbers of book collections. It represented that people realize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library in terms of cultural education. The fourth, the percentage of space size of cultural area showed high amount of numbers. It proved the fact that the public library as community center was required various cultural programs. The fifth, the percentages of preservation library were lower than the guideline in case of the big libraries, while the small libraries were higher. The book collections of detached annex libraries should be linked with the central libraries.

  • PDF

지역 문화자원과 융합한 캐릭터 문화상품 개발 (Development of character culture products that are fused with local culture resources)

  • 박선경;장석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8-13
    • /
    • 2019
  • 본 논문은 지역의 문화콘텐츠의 제작기술과 인프라를 기반으로 스토리텔링 중심의 캐릭터 브랜드 상품의 부재로 인하여 지역 문화자원의 재구성 및 상품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전통적 문화소재인 캐릭터를 발굴하여 문화산업 기념품으로 개발하였다. 스토리텔링 기반의 캐릭터 상품 개발에 대한 차별화 전략을 통해 발전된 사업기반을 확립할 수 있는 토대가 되어, 다양한 콘텐츠 제작의 밑거름과 더불어 발전된 도예 상품들의 공급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수작업 기반의 제작으로 인해 소량 생산만 가능하고 제작기간이 길어지는 반면 3D 프로그램 및 3D 프린팅을 통한 목업 제작으로 석고 틀 제작 기간이 단축되었으며, 대량생산의 발판이 마련되어 기존의 전통적인 도자기 인형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풍부한 도자기 제품 개발에 효과가 있었다.

경관의 시각량 산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통한 연속경관 시퀀스 분석기법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Technique of Sequence Landscaping through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Visual Amount Calculation Program of Landscapes)

  • 구민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12-25
    • /
    • 2016
  • 본 연구는 경관을 시간의 개념을 포함한 연속적 시퀀스로 분석하기 위해 연속경관의 무수히 많은 프레임을 추출하여 각 프레임들이 가지고 있는 구성요소들의 시각량을 수치화하여 데이터화한 다음 시퀀스 리듬으로 산출하여 경관계획, 설계 시 필요한 정량적인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경험자 시선흐름에 근접하도록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연속적 경로인 경관회랑에 따라 경관구역과 경관통제점에 컴퓨터 Motion 기법들을 각각 적용하였다. 동영상에서 일정간격으로 많은 프레임을 추출하여 각 프레임별 경관 구성요소들의 시각량을 연속적으로 산출하기 위해서 CRVP Koo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검증한 다음 대상지에 적용해 보았다. 적용결과, 각 경관의 구성요소별로 수치화된 정량적인 리듬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Photoshop에서 수작업한 결과와 오차도 매우 작았으며, 수작업의 단점을 극복할 수도 있었다. 도출된 시퀀스 리듬은 경관의 경험자 체험에 근접한 것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정량적인 분석기법 도출이 가능하였으며, 경관계획이나 설계를 위한 정량적인 데이터와 분석기법으로 활용 가능하였다.

문화역사 활동이론 관점에서 예비과학교사 공동체의 수업에 대한 반성 분석 - 3년간의 생물 실험교실 프로그램 운영 사례 (Analyzing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 Community's Reflection on their Instructions from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etical Perspective: A Case of Three Years of Biological Laboratory Class)

  • 심현표;유금복;전상학;황세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23-53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와 학교 현장의 연계를 통하여 진행된 실험교실의 사례에서, 3년간의 수업 후 평가회에서 나타나는 예비교사 공동체의 반성을 문화역사활동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Engestr{\ddot{o}}m$이 제안한 활동 체계를 이용하여 사회문화적 요소를 파악하였고, 반성의 양상을 '반성 주제의 다양성'과 '반성의 실제성'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공동체의 반성과 실행의 순환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3년간의 수업 후 평가회에서 예비교사 공동체 반성의 사회문화적 요소는 변화하였는데, 수업평가회의 정례화, 도구의 도입, 평가회 운영 주체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 과정 속에서 반성의 주제는 다양해지고, 실제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시간 관리, 학생의 참여, 지도서인 '멘토의 역할'에 대해서는 반성적 실천이 발전되지 못하고 매번 비슷한 패턴의 논의가 반복되었다. 이러한 결과 분석을 토대로 활동체계의 측면에서 예비교사 공동체의 반성적 논의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국제프랜차이징 연구요소 및 연구방향 (Research Framework for International Franchising)

  • 김주영;임영균;심재덕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61-118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외 프랜차이즈의 해외진출에 대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국제프랜차이징연구의 전체적인 연구체계를 세워보고, 연구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연구요인들을 확인하여 각 연구요소별로 이루어지는 연구주제와 내용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주제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주요한 연구요소들은 국제프랜차이징의 동기 및 환경 요소과 진출의사결정, 국제프랜차이징의 진입양식 및 발전전략, 국제프랜차이징의 운영전략 및 국제프랜차이징의 성과이다. 이외에도 국제프랜차이징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대리인이론, 자원기반이론, 거래비용이론, 조직학습이론 및 해외진출이론들을 설명하였다. 또한 국제프랜차이징연구에서 보다 중점적으로 개발해야 할 질적, 양적 방법론을 소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국내연구의 동향을 정리하여 추후의 연구방향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