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of Nursing Ethic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the Nursing Students)

  • 권윤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62-272
    • /
    • 2009
  •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 desirable sense of ethics in medical service by analyzing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Subjects were nursing students selected from four-year and three-year nursing colleges (n=355 and 360, respectively) in D city and G buk-Do reg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point of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2.99. As result of analyzing general and specific aspects of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ge, religion,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y, kinds of student group activity in subjects, ethical values, experience of hearing for biomedical ethics, quantity and quality of biomedical ethics in the current curriculum, the experience of conflict for biomedical ethical problem in subjects. The predicting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ethical values, quantity and quality of biomedical ethics in the current curriculum, religion, age, and experience of hearing for biomedical ethics. Conclusions: An arbitration program that could promote either changeable or controllable ethical values must be considered with attention to the significant variables that can promote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과 비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 전현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01-410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ducating nursing students by establishing a desirable sense of ethics values. Method: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101 nursing students and 191 non-nursing students (in other health related fields) from Daejeon City were selected. Tool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and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12.0 version. Results: Average scores for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was 2.94, and in non-nursing students, 2.77. When differences i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and non-nursing students were compared, nursing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artificial abortion, artificial insemination, prenatal diagnosis of fetus, right to life of newborn, euthanasia, organ transplantation and human biotechnology, but significantly lower for brain death. Variables which influenced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were religion and economic status in the nursing students and intent to attend a class in biomedical ethics, quantity and quality of biomedical ethics in the current curriculum and religion in the non-nursing students. Conclusion: Continuing educational programs need to be considered and attention given to the significant variables that can promot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생명의료윤리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 대학생의 간호사 윤리강령인식, 간호사 윤리강령 활용 정도, 생명의료 윤리 의식 및 도덕적 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Biomedical Ethics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The Effect on Awareness and Application of Nursing Code of Ethic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Moral Sensitivity)

  • 최영실;정계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4-224
    • /
    • 2018
  •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program of nursing biomedical ethics for nursing students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Code of Ethics for Nurses, moral sensitivity, and application of the Code of Ethics for Nurse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and t-test were used. The experimental group (n=31) and control group (n=32) were second-year university nursing students in two major citie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5 hour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during the 15-week semester. The training was not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Results: The application of the Code of Ethics for Nurs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1.06, p=.017), nurses and patient (t=-2.23, p=.029), obligation of nurse as an expert (t=-2.08, p=.042), nurse and cooperator (t=-2.54, p=.014).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4.28, p=.021), newborn's right to live (t=-2.61, p=.011), euthanasia (t=-2.36, p=.02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providing a nursing biomedical ethics program to nursing students is an effective method to enhance the application of the Code of Ethics for Nurses and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Implementing an intervention program of the Code of Ethics for Nurses in the regular nursing curriculum may reduce conflicts involving ethical decision making by nurses.

국내 간호대학생 간호윤리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f Nursing Ethics Education Programs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한달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55-6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대학생 간호윤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중재 연구 고찰을 통해 향후 간호윤리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통합적 문헌고찰을 적용하였으며, 문제 규명, 문헌 검색, 자료 평가, 자료 분석, 자료 제시의 5단계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12편으로 교육 내용은 생명의료윤리, 간호윤리에 대한 것이었고, 대부분이 교과목 수업을 통해 이루어졌다. 교육 방법은 전통식 강의를 포함하여 사례에 기반한 토론, 토의, 액션러닝, 온라인 학습, 문제기반학습 등이 활용되었다.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생명윤리의식, 윤리적 가치관,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민감성 등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추후 간호윤리 교육은 대학 교과과정 안에서 단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인문학적 소양과 공감능력이 윤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umanities and Empathy on Ethic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 김문정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1865-1874
    • /
    • 2016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of ethical values in nursing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wo nursing colleges (n=180)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SPSS/WIN 21 software. Influencing factors of ethical values were empathy(t=3.436, p=.001), teaching method except lecture(t=3.037, p=.003), and curriculum track at high school(t=2.309, p=.022). The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ining 16.2% of the variance (F=11.185, p<.001). This study suggests that strategies for increasing nursing students' ethical values include reinforcing empathy, utilizing various type of teaching method except lecture in nursing ethics class, and allowing high school students applying to college of nursing regardless of their curriculum track.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윤리적 가치관이 심폐소생술금지 태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Biomedical Ethics Awareness and Ethical Values in Nursing Student on Their Attitudes towards DNR)

  • 김미연;문미영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4호
    • /
    • pp.115-123
    • /
    • 2018
  • 목적: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윤리적 가치관이 심폐소생술금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충북과 경북 소재 2기관의 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275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와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심폐소생술금지 태도는 윤리적 가치관과 정(+)의 상관관계, 생명의료윤리의식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총 설명력은 20%로 학년, 윤리적 가치관, 생명의료윤리의식이 심폐소생술금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F=13.01, P<0.001).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윤리적 가치관이 심폐소생술금지 태도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윤리적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는 교과과정 편성 및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Biomedical Ethics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Dignified Death and Advance Directives among Nursing Students)

  • 권경은;유명숙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4-214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conducted to investigate biomedical ethics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dignified death and advance directives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222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from November 7 to 23, 2015.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SPSS WIN 22.0. Results: The scores for biomedical ethics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dignified death were 2.89 and 3.15, respectively. Regarding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ADs), most students agreed with writing ADs. The main reason given for writing ADs is "I want to receive my treatment of choice." As for the range and explanation method for ADs, 45.7% of participants responded, "do not know well." Regarding willingness toward life sustaining treatment, "only pain control, no life sustaining treatment" was indicated by 83.4% and, "all information about symptoms and prognosis" by 91.9% of participants. For willingness to write ADs, 70.0% of participants responded "yes." Conclusion: Curriculum for nursing ethics should be included in clinical training courses to improve related courses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deal with practical problems, such as biomedical ethics, death with dignity, and ADs.

생명의료윤리와 뇌사자 장기기증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장기기증 지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iomedical Ethics and Brain-Death Organ Donation Education on Biomedical Ethics Awareness and Brain-Death Organ Donation Knowledge of Nursing students)

  • 주세진;강균영;박정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401-407
    • /
    • 2020
  • 본 연구는 생명윤리의식과 뇌사자의 장기기증에 대한 교육을 받은 학생과 받지 않은 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과 뇌사자 장기기증 지식을 측정하고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시에 소재한 1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7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37명에게는 생명윤리의식과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isher's exact test,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뇌사자 장기기증에 관한 지식이 실험군과 대조군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F=35.21, p=.00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교육과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고려한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요인 비교 (Comparison on Influencing Factors o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 이금재;이에리쟈;박연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377-388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S시의 일개 종합대학의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 총 38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정도는 평균평점 4점 만점에 간호대학생 3.04점, 일반대학생 3.12점으로, 두 군 모두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일반대학생이 간호대학생보다 생명의료윤리의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호대학생은 생명존중의식과 지각된 윤리가치관이 높을수록, 일반대학생은 생명존중의식이 높을수록, 성태도가 보수적일수록, 자녀 중심적 의식이 높을수록 생명의료윤리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 두 군 모두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예측 변수는 생명존중의식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래 의료인이 될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을 높이기 위해 교과 과정에 윤리교과목의 학점 비중을 높이고 학점과 병행한 다양한 매체 활용 및 특강 등을 통해 윤리교육의 양적, 질적 수준이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윤리 교육현황 - 4년제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 (The Statu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in Korea 4-year-College of Nursing)

  • 한성숙;김용순;엄영란;안성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76-387
    • /
    • 1999
  • 본 연구는 국내 대학교의 간호학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간호윤리교육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써, 연구대상은 전국의 4년제 대학 간호학과 48개교이나 졸업생을 1회 이상 배출한 37개 대학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31개 대학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나 자료가 미비한 3개 대학은 제외하고 28개 대학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간호윤리 교육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수집기간은 1999년 7월 19일부터 8월 4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윤리학을 독립과목으로 운영하여 교육하는 대학은 6개교(21.43%)이며, 이수 학점은 모두 2학점으로 총 교육 시간의 평균은 28.67시간이었다. 2. 강의 목표는 간호전문직과 직업윤리관 확립, 간호윤리의 철학적 기초 및 윤리이론과 원리의 이해, 생명의료윤리의 주요주제들의 학습, 인간생명 존중의 가치관 확립, 간호전문직과 윤리강령의 학습, 간호현장에서의 도덕적인 제 문제에 윤리 이론 적용 간호사와 대상자, 협동자, 동료간의 윤리적 갈등의 이해와 해결 등이다. 3. 교육방법으로는 이론강의, 사례토론, 주제토론, 비디오상영 및 토론, 팀 교육, 역할 극, 보고서 제출 등 매우 다양하였다. 4. 교육내용으로 6개교 모두에서 다루는 것이 간호전문직과 윤리, 인간생명의 존엄성, 생명윤리의 필요성, 윤리이론 규칙, 간호사 윤리강령, 간호사와 대상자간의 윤리 문제, 간호사와 협동자간의 윤리문제, 간호사와 간호사간의 윤리문제이며, 5개교에서 윤리적 의사결정, 인공수정, 체외수정. 인공임신중절, 장기이식, 뇌사, 인간대상 실험연구, 자살, 안락사에 대하여 다루었으며, 말기환자 간호는 4개교에서, 기타 직업윤리 및 환자의 권리, 간호사와 사회기관, 생명의 관리자를 다루고 있었다. 5. 평가방법은 대개 필답시험과 리포트에 의존하고 있었다. 6. 간호윤리학이 독립과목이 아닌 22(78.57%)개 대학의 경우, 간호윤리를 간호학개론과목 (14개교)에서, 또한 간호관리학, 간호윤리.철학, 기타과목(간호특론, 간호와 법, 간호전문직론) 등에서 간호윤리학을 교육하였다. 7.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1학년에서 가르치는 학교가 14개교로 가장 많았고, 가르치는 평균 시간은 9.32시간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으로는 독립과목에서 가르치는 내용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