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tobacterium sp.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4초

토양으로부터 항균물질 생성균 및 감수성 균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gent Producing Microorganisms and Sensitive Strain from Soil)

  • 장해춘;김수인;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26-533
    • /
    • 1999
  • Two species of antimicrobial agent producing bacteria and one sensitive strain were isolated from soil. Those were identified as B. subtilis, B. licheniformis, and Curtobacterium sp. by morphological, biochemical, physiological and chemotaxonomic characteristics. These were designated as B. subtilis cx1, B. licheniformis cy2 and Curtobacterium sp. cf3, respectively. Antimicrobial agent produced by B. subtilis cx1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 positive bacteria including of B. subtilis, Curtobacterium sp., L. mesenteroids, Staphy. aureus, S. faecalis and even gram negative bacteria, P. aeruginosa. Antimicrobial agent from B. licheniformis cy2 showed slightly lower antimi crobial activity than that from B. subtilis cx1. These two strains showed maximum production of antimicrobial agents at 30oC for 9~21hr cultivation. Curtobacterium sp. cf3 showed more sensitive activity than a sensitive strain of B. subtilis ATCC 6633 which was same genus or species with the B. subtilis cx1 and B. subtilis cy2, when the antimicrobial agent producing strains, B. subtilis cx1 and B. subtilis cy2, were directly applied onto these sensitive lawns.

  • PDF

해양미생물로부터 Carotenoid의 생산 및 그 생리활성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Properties of Carotenoid from a Marine Bacterium Curtobacterium sp.)

  • r김종덕;강동수;김민용;최명락;임현수;백승한;서효진;김대현;공재열
    • KSBB Journal
    • /
    • 제15권6호
    • /
    • pp.621-629
    • /
    • 2000
  • 전남의 여수지역의 해양에서 carotenoid를 생산하는 세균을 분리하여 상용하였으며, 이 세균은 Curtobacterium sp.으로 동정되었다. 해양세균 Curtobacterium sp.의 carotenoid 생산 최적조건은 pH 7.0, 최적온도 $25^{\circ}C$, 탄소원으로서는 4 mM의 fructose, 질소원으로서는 0.07%의 tryptone, 미량원소 및 growth로서는 각각 0.5 mM의 $Mg^{+2}$ 이온, $1{\;}\mu\textrm{m}$의 cytocobalamine이었으며, 이 최적조건에서의 carotenoid의 생산량은 $13.0{\;}mg/\ell$ 였다. 해양세균 Curtobacterium sp.로 부터 생산된 carotenoid는 tunaxanthi (86.6%), diatoxanthin (7.1%), ${\beta}-carotene$ (2.1%), canthaxanthin (19.1%), cynthiaxanthin (1.9%) 5가지의 다른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주로 tunaxanthin을 생산하는균주로 사료된다. 그리고 분리 정제하지 않은 crude corotenoid을 이용한 생리활성 시험에서 E. coli 및 L. bulgaricus 등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나, HepG2 (hepatocellular carcinoma, human, ATCC HB-8065) 및 HeLa (cervical carcinoma, human, ATCC CCL-2) 등의 암세포에 대하여 각각 86.4% 및 39.2%의 강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CCL-13 (diploid, monotypic hepatocyte, huma, ATCC CCL-13) 세포를 사용한 항산화 활성은 $50{\;}\mu\textrm{g}/m{\ell}$의 carotenoid의 농도에서 83%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DPPH법에 의한 Free radical의 소거 기능도 43.4%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해양세균 Curtobacterium sp.로부터 생산된 이 carotenoid는 정제하지 않은 상태로도 어류 및 축산사료, 첨가물, 항산화제, 의약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버섯재배 후 탈병배지의 원예용 상토재료 이용성 검토 (Applicability of Spent Mushroom Media as Horticultural Nursery Media)

  • 이찬중;정종천;전창성;김승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7-122
    • /
    • 2009
  • 본 연구는 팽이버섯과 큰느타리버섯 재배 후 탈병 배지를 대상으로 원예용 상토재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탈병배지의 이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팽이버섯 탈병배지에서 pH와 암모니아태 질소가 높았고, CEC는 느타리재배 탈병배지에서 높았다. 인산과 양이온 함량은 팽이버섯 탈병배지가 큰느타리 시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미생물 분포는 팽이버섯 탈병배지에서 Microbacterium, Rhodococcus, Agrobacterium, 큰느타리버섯은 Bacillus, Pseudomonas, Curtobacterium, Microbacterium, Plantibacte속 등이 우점하였다. 버섯재배 탈병배지를 퇴비화한 결과 시판용 상토원료보다 CEC는 낮았으나, 질소, 인산 및 양이온 함량은 오히려 높았다. 팽이와 큰느타리버섯 탈병배지를 퇴비화한 후 질석을 혼합하여 고추와 배추에 대한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팽이버섯 탈병배지는 질석 혼합 비율에 관계없이 고추와 배추의 발아율이 높았다. 그러나 큰느타리 탈병배지와 질석혼용시 질석 20% 이상 혼합시 고추의 발아율이 100%였으나, 10% 혼합의 경우는 발아가 전혀 되지 않았다. 특히 배추의 경우 질석 30%를 혼합하여도 10%의 발아율을 나타냄으로써 큰느타리재배 탈병배지는 배추재배용 상토원료로는 부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팽이버섯 탈병배지는 시판용 상토원료와 혼합할 경우 혼합비율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하다고 판단되나, 큰느타리 탈병배지의 경우는 시판용 상토원료와 20% 미만의 적은 양을 혼합할 경우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추 유묘의 생육은 팽이버섯과 큰 느타리 탈병배지 모두 질석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초장, 생체중 및 근중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큰느타리 탈병배지를 이용한 상토에서 고추 유묘의 생육촉진 효과가 뚜렷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