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

검색결과 10,539건 처리시간 0.039초

고속도로 영업소간 기.종점통행량으로부터 교통죤간 기.종점통행량 추정기법 연구 (An Approach for Estimating Traffic-Zonal Origin-Destination Matrices(O-D) from Toll Collection System's Ones)

  • 신언교;황부연;신승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17
    • /
    • 1999
  • 우리나라 고속도로 총 연장 1,899km 가운데 74개 영업소 구간 1.046km가 폐쇄시 요금체계방식에 의해 매일 영업소간 O-D가 산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O-D는 통행의 기·종점인 교통죤간의 O-D가 아니고 영업소간 O-D인 관계로 그 자료의 정확성에도 불구하고 고속도고 교통분석이나 교통수요예측 등에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확한 영업소간 O-D를 이용하여 교통죤간 O-D를 추정할 수 있다면 고속도로 교통운영분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기존의 4단계 교통수요예측에 의해 추정되는 것보다 정확한 고속도로 O-D를 얻을 수 있고 국도 등을 포함한 전국 지역간 O-D추정도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업소간 O-D를 이용하여 교통죤간 O-D를 추정하는 모형을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모형에 의해 산정된 교통죤간 O-D 배정결과 고속도로 폐쇄식구간 전구간에 걸쳐 실제 교통량과 17.9%의 오차가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본 모형을 이용할 경우 기존 방법들보다 더 정확한 고속도로 이용차량에 대한 교통죤간 O-D 산정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PDF

스크린라인 관측교통량을 이용한 전수화 O/D 자료의 검증과 수정 (Validation and Correction of Expanded O/D with Link Observed Traffic Volumes at Screenlines)

  • 김익기;윤지영;추상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1-32
    • /
    • 2007
  • 가구통행실태조사를 통한 O/D 조사는 조사대상인 모집단의 규모가 대규모이므로 현실적으로 전수 조사는 가능하지 않아 일부 표본 자료에 국한하여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표본 자료를 전수화하여 모집단의 통행 O/D패턴을 추정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표본조사와 전수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가능한 최소화하기 위해서 관측 교통량과 전수화 자료를 비교 검증하고 수정하는 과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다수의 스크린라인 선상의 관측 교통량과 표본조사자료를 기반으로 추정된 전수화 O/D 통행을 비교 검증하고 수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스크린라인으로 검증이 되지 않는 O/D 쌍에 대해서는 노선배정분석 결과와 관측 링크 교통량을 비교하여 수정하는 방안도 제안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2004년도 전국 O/D 통행 자료를 활용한 사례연구 분석을 수행하였다.

Steroidal Saponin을 이용한 위유, 황정의 분류 및 함량 분석법 개발 (Content Analysis and Classification for Polygonati Odorati Rhizoma and Polygonati Rhizoma by Steroidal Saponin)

  • 김성건;신소영;문예지;서지윤;김호경;황완균
    • 약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441-448
    • /
    • 2010
  • In present study, classification and quality control of Genus Polygonatum were developed using the isolated from Polygonati Odorati Rhizoma and Polygonati Rhizoma. 3 components were isolated from Butanol fractions of Polygonati Rhizoma, and 2 components were isolated from Hexane and Butanol fractions of Polygonati Odorati Rhizoma. All the components were obtained using silica gel and ODS column chromatography. Th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adenosine, 14-hydroxylfurost-5-ene-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4$)-O-${\beta}$-D-galactopyranosyl-26-O-${\beta}$-D-glucopyranoside, 22-O-methyl-14-hydrocxyfurost-5-ene-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4$)-O-${\beta}$-Dgalactopyranosyl-26-O-${\beta}$-D-glucopyranoside, ${\beta}$-Sitosteryl-3-O-${\beta}$-D-D-glucopyranoside, 14-hydoxylfurost-5-ene-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O-[${\beta}$-D-xylopyranosyl-($1{\rightarrow}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4$)-O-${\beta}$-D-galactopyranoside through physicochemical data, spectroscopic methods ($^1H$-NMR, $^{13}C$-NMR, Mass) according references. The quality control of genus Polygonatum were conducted using HPLC quantitative analysis of 14-hydroxylfurost-5-ene-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O-${\beta}$-D-glucopyranosyl-($1{\beta}4$)-O-${\beta}$-D-galactopyranosyl-26-O-${\beta}$-D-glucopyranoside, 14-hydoxylfurost-5-ene-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O-[${\beta}$-D-xylopyranosyl-($1{\rightarrow}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4$)-O-${\beta}$-D-galactopyranoside in 30 samples collected throughout Korea and China. This method provided a tool for standardization of mix or misusing the commercial Odorati Rhizoma and Polygonati Rhizoma. As a result, contained quantity of 14-hydroxylfurost-5-ene-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4$)-O-${\beta}$-D-galactopyranosyl-26-O-${\beta}$-D-glucopyranoside was measured $0.008{\pm}0.006%$ and 14-hydoxylfurost-5-ene-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O-[${\beta}$-D-xylopyranosyl-(1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4$)-O-${\beta}$-Dgalactopyranoside was measured $0.026{\pm}0.012%$.

휴대폰 기지국 정보를 이용한 O/D 추정기법 연구 (Origin-Destination Estimation Based on Cellular Phone's Base Station)

  • 김시곤;유병석;강승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3-102
    • /
    • 2005
  • 통행기종점(Origin-Destination)은 경로 선택 및 통행 배정 등 교통계획 측면에서 중요한 정보 중 하나이다. O/D 예측은 대부분 현장 조사나 가구 면접조사를 통하여 표본 O/D를 산출하고 이를 전수화하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이고, 가로 교통량과 통행배정모형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동적 O/D를 추정하고자 하는 연구도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휴대폰 보급의 괄목할만한 증대에 따라 휴대폰 정보를 이용하여 O/D를 추정하는 연구에 관심이 기울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폰 기지국 정보를 이용한 O/D 추정 방법론을 제시하고, 휴대폰 기지국 기반 O/D를 행정동 기반 O/D로 변환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연구를 위해 청주시에서 운행중인 택시에 GPS 장비 및 휴대폰 거치대를 설치하여 GPS 위치 좌표, 휴대폰 기지국 좌표를 수집하였고, 이중 3주간의 자료를 디지털 맵에 맵매칭시켜 기지국 위치 기반 O/D와 GPS 위치 기반 O/D를 산출하였다. GPS 위치 기반 O/D를 이용하여 주간 O/D 통행패턴, 주중 O/D와 주말 O/D 통행패턴, 일평균 O/D와 오전${\cdot}$오후 첨두시 O/D 통행패턴 사이의 관계를 산점도 및 상관계수로부터 유추한 견과, 주중 O/D와 주말 O/D간에는 통행패턴의 차이가 있으며, 오전 첨두시와 오후 첨두시의 통행패턴 역시 차이가 아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휴대폰 기지국 기반 O/D를 행정동 기반 O/D화하는 방법으로 GPS 분포비를 이용한 방법과 기지국 커버리지 면적비를 이용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두 방법 모두 참 O/D라 생각할 수 있는 GPS 위치 기반 O/D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을 상관계수, 평균절대오차율(MAE), 제곱근 평균제곱오차(RMSE)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향후 휴대폰 정보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휴대폰 기지국 커버리지 면적비를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O/D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재의 표본 택시 O/D를 전수화하는 방법도 제시하였다.

통행량 기반 대중교통 기종점행량(O/D) 추정의 신뢰성 평가에 관한 연구 (Reliability Evaluation on the Transit O/D matrix from Traffic Counts)

  • 이신해;문수연;이승재;임강원;최인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1-70
    • /
    • 2001
  • 급변하는 교통환경 하에서 신뢰성 있는 기·종점통행량(O/D)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특히, 시간과 비용의 제약하에서 교통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경우라면 전통적인 O/D 구축방법인 O/D조사를 통해 O/D를 구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이로 인해 관측통행량을 이용하여 O/D를 추정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연구들이 개별차량 O/D를 추정하는 대에만 국한되어 있어, 관측통행량으로 대중교통 O/D를 추정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미 개별차량 O/D 추정에서 신뢰성이 검증된 Gradient방법을 대중교통 O/D 추정에 적용하여 그 신뢰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대중교통 통행배정은 Spiess-Florian의 대중교통 통행배정규칙을 이용하였고, Gradient방법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는 기본 O/D와 추정 O/D의 분포형태를 이용하였다.

  • PDF

$H_2O$$D_2O$ 에서 메트미오글로빈의 압력에 의한 변성의 비교 연구 (Comparision of the Pressure Denaturation of Metmyoglobin in $H_2O$ and $D_2O$)

  • 김건
    • 대한화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19
    • /
    • 1984
  • 메트미오글로빈의 압력에 의한 변성의 $H_2O$$D_2O$에서의 차이를 pH 5.7과 pH 7.0에서 연구하였다. 메트미오글로빈은 $D_2O$에서 $H_2O$보다 더 작은 압력에서 변성하였다. 그 차이가 pH 5.7에서가 pH 7에서 보다 더 컸다. $H_2O$$D_2O$에서 이 안정도의 차이가 단백질에 대한 $H^+$$D^+$의 결합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며 또한, 수소가 중수소로 바뀜에 따르는 구조 변화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 뿌리의 성분연구 (A Study on the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Polygala tenuifolia)

  • 이영선;이제현;김정숙;김진숙
    • 생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8-172
    • /
    • 1999
  • Fiv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Polygala tenuifolia (Polygalaceae).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evidences,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as ${\alpha}-D-(6-O-sinapoyl)-glucopyranosyl(1{\rightarrow}2')-{\beta}-D-(3'-O-sinapoyl)-fructofuranoside$ (P3), ${\alpha}$-D-{6-O-(p-methoxybenzoyl)}-glucopyranosyl-$(1{\rightarrow}2')$-${\beta}$-D-{3'-O-(3',4',5'-trimethoxycinnamoyl)}-fructofuranoside(P4), ${\alpha}$-D-{6-O-(p-hydroxybenzoyl)}-glucopyranosyl-$(1{\rightarrow}2')$-${\beta}$-D-{3'-O-(3',4',5'-trimethoxycinnamoyl)}-fructofuranoside(P5), ${\alpha}-D-glucopyranosyl-(1{\rightarrow}2')-{\beta}-D-(1'-O-sinapoyl)-fructofuranoside$(P6), $1,5-anhydro-D-glucitol$(P7) respectively. ${\alpha}$-D-{6-O-(p-Methoxybenzoyl)}-glucopyranosyl-$(1{\rightarrow}2')$-${\beta}$-D-{3'-O-(3',4',5'-trimethoxycinnamoyl)}-fructofuranoside(P4) and ${\alpha}-D-glucopyranosyl-(1{\rightarrow}2')-{\beta}-D-(1'-O-sinapoyl)-fructofuranoside$(P6)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genus of Polygala. 1,5-Anhydro-D-glucitol(P7) was isolated without hydrolysis for the first time from the root of Polygala tenuifolia.

  • PDF

지리터리풀의 플라보놀배당체 (Flavonol Glycoside from the Aerial Part of Filipendula Formosa)

  • 황완균;함인혜;성환길;이무택
    • 약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10
    • /
    • 1999
  • As one of the serial studies on the specific and indigenous plants of Mt. Chiri the constituents of aerial part from filipendula formosa (Rosaceae) were investigated. From of the MeOH extract, five flavonol glycosides, kaempferol-3-O-$\beta$-D-galactopyranoside, querecetin-3-O-$\beta$-D-galactopyranoside, quercetin-3-O-$\alpha$-Lrhamopyranosyl (1 6)-$\beta$-D-galactopyranoside, kaempferol-3-O-$\alpha$-L-rhamnopyranosyl (1 6)-$\beta$-D-galactopyranoside and quercetin-7-O-$\beta$-D-glucopyranosy-3-O-$\beta$-D-galactopyranoside were isolated by column chromatographic separation using Amberlite XAD-2 and Sephadex LH-20, and identified physicochemical evidences (IR, FAB-Mass, $^1H,{\;}^{13}C-NMR$).

  • PDF

통행시간분포를 이용한 교통량기반 추정O/D의 신뢰성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n the traffic count based O/D matrix using Trip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

  • 이승재;손의영;김종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3-62
    • /
    • 2000
  • 현재까지 개발된 교통량 기반 O/D 추정기법들은 추정된 O/D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통계적 오차분석을 통한 참O/D(true O/D)와 추정O/D간의 타이를 분석하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었다. 문제는 이러한 오차분석기법들이 현실적인 대규모 교통망상에 적용될 때 탐O/D를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알 수 있다고 하더라도 추정된 O/D와의 비교 평가시에 그러한 평가방법으로 추정된 O/D의 신뢰성을 부여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통행조사에 의한 O/D는 비록 포함되어 있는 정보가 과거의 정보라고 할지라도 현재의 통행흐름에 대하여 가장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선행O/D의 정보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관측교통량으로 O/D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 이 관점에서 매우 뛰어난 추정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O/D정보 중 통행수요예측시 가장 중요한 지표의 하나인 통행시간빈도분포 (TriP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TLFD)를 이용하여 추정O/D의 신뢰성 지표로 삼았다. TLFD는 4단계 모형에서 통행분포(trip distribution)시 모형을 정산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으로써 죤간 통행시간을 단위별로 나누어 조사된 통행시간분포와 추정된 O/D의 통행시간분포가 유사한 지를 살피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조사된 TLFD와 추정O/D의 TLFD가 유사한 모양을 이를 때 추정O/D의 신뢰성이 높다고 인정한다. 또한 TLFD는 전통적으로 조사된 표본O/D를 전 수화하는데 이용되어 그 타당성 또한 많이 검증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TLFD를 가지고 교통량으로 O/D를 추정하는 모형의 결과를 검증한 연구 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인 이러한 분석결과를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평가된 지표가 신뢰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면, 추정된 결과를 보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더덕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breve{o}d\breve{o}k$(Codonopsis lanceolata))

  • 맹영선;박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1-316
    • /
    • 1991
  • 본 실험에서는 더덕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검토하고자 수소공여능과 과산화물가 및 TBA가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더덕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효과는 추출방법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고, 가열추출한 경우에는 추출물의 수율이 높고 갈변반응물질이 생성되어 함께 추출되었다. 수소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ginseng reflux extract(GSRE) $d\bar{o}d\bar{o}k$ reflux extract(CDRE) $d\bar{o}d\bar{o}k$ reflux extract(WDRE) $d\bar{o}d\bar{o}k$ cold extract(CDCE) $d\bar{o}d\bar{o}k$ cold extract(WDCE)의 순으로 산더덕 상온추출물의 수소공여능이 가장 켰으며, 가열추출한 경우 수소공여능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지에 대한 항산화효과는 대두 유기질의 경우 BH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