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D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4초

Diaminododecane 자화균에 관한 연구 (제 1 보) Corynebacterium sp. DAD 2-2의 diaminododecane 자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iaminododecane Utilization by Bacteria (Part 1) Studies on Diaminododecane Utilization by Corynebacterium sp. DAD 2-2)

  • Lee, Jong-Kun;Lee, Sang-Joo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9-115
    • /
    • 1982
  • 토양으로 부터 diaminododecane 자화균 DAD2-2주를 분리하여 검토한 결과 Corynebacterium속으로 동정되었으며 DAD2-2주의 alkane 유도체에 대한 생육특성조사에서 putrescine dihydrochloride, dodecanethiol, dodecane. laurylamine등은 탄소원으로 이용될 수 있었으나 thioanisole, decanedithiol, dicyanooctane, 1aurylcyanide, dichlorodecane등은 이용되지 못하였다. Emulgen 25ppm을 DAD배지에 첨가하였을 경우 DAD2-2주에 의한 diaminododecane 자화가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diaminododecane자화시 생성되는 중간생성물은 ethyl $\alpha$-ketoglutarate로 동정되었다. 그러나 diaminododecane을 탄소원 뿐만 아니라 질소원으로도 이용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는 ethyl $\alpha$-ketoglutarate와는 다른 생성물을 생성하였으며 diaminododecane 대신 glucose, putrescinc, n-dodecane을 생육기질로 이용하였을 때에도 ethyl $\alpha$-ketoglutarate와는 다른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또한 resting cell을 이용하여 alkane 유도체를 co-oxidation시키는 과정에서도 ethyl $\alpha$-ketoglutarate와는 상이한 생성물이 생성되었다.

  • PDF

호우이동을 고려한 DAD 분석방법 (DAD Analysis on Storm Movement)

  • 김남원;원유승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5호
    • /
    • pp.437-448
    • /
    • 2004
  • 수문학 교과서를 통해 널리 알려진 기존의 유역중심 DAD 분석방법은 유역면적이 작거나 호우이동이 거의 없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계산이 비교적 간단하다. 그러나, 태풍과 같이 호우이동이 뚜렷한 경우에는 DAD 관계를 명확히 표현하기 어려우며, 특히 유역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면적강우량의 오차도 증가하므로, 분석자의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역중심 DAD 분석방법의 단점을 보완코저 호우중실 DAD 분석방법을 개발하였고, 객관적인 DAD 분석결과를 얻기 위해 이를 프로그램화하였다. 관측강우량을 이용하여 기존의 방법과 비교ㆍ검토를 수행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평균면적강우량을 보다 적절하게 표현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전국단위 호우분석(1969년부터 1999년까지 약 130여개 호우)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유역중심 DAD 분석결과와 비교ㆍ검토하였다.

Diaminododecane 자화균에 관한 연구 제2보 Corynebacterium sp. DAD 2-3의 Diaminododecane자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iaminododecane Utilization by Bacteria Studies on Diaminododecane Utilization by Corynebacterium sp. DAD 2-3)

  • 이상준;이종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1-196
    • /
    • 1983
  • 토양으로부터 diaminododecane 자화균 DAD2-3주를 분리하여 Coryηebacterium속으로 동정하였다. DADZ2-3의 alkane유도체에 대한 생육특성조사에서 putrescine, dodecane, laurylamine 등은 탄소원으로 이용되었으나 dod-ecanethiol, thioanisole, decanedithiol, dicyanooctane, laurylcyanide, dichlorodecane등은 이용되지 못하였으며, emulgen 첨가에 의한 diaminododecane 자화촉진 효과는 미세하였다. DAD2-3림에 의해 diaminododecane 자화시 생성되는 중간생성불은 $\alpha$-ketoglutaric acid로 동정되었다. 그러나 d diaminododecane을 탄소원 뿐만 아니라 질소원으로도 이용하었을 경우 $\alpha$-ketoglutaric acid와는 상이한 중간 생성 풍을 생성하였으며, 탄소원으로 diaminododecane 대신 glucose, putrescine, n-dodecane을 사용하였을 경우와 또한 resting cell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다른 alkane유도체를 co-oxidation시키는 과정에서도 $\alpha$-ketoglutaric acid와는 상이한 생성물이 생성되었다.

  • PDF

공간보간 기법에 따른 격자기반 DAD 분석 프로그램 적용 (Application of Grid-based DAD Analysis Program According to Rainfall Spatial Distribution Technique)

  • 김영규;유완식;정안철;정관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7권1호
    • /
    • pp.191-211
    • /
    • 2017
  • 호우의 평가는 관측소의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호우의 지속기간과 면적에 의해 이루어진다. 호우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 중 DAD 분석방법은 지속시간 및 면적에 따른 강우 깊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적용된다. 하지만 기존의 DAD 분석 방법은 오차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차발생가능성을 줄인 격자기반의 DAD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AD를 분석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3가지의 공간보간 기법을 이용하여 지점강우를 면적강우로 변환하였다. 그 후, 변환된 격자기반의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DAD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지속시간 별로 면적 별로 MAAR 값을 추정할 수 있었고, OK 기법을 이용한 강우자료에서 높은 적용성을 나타냈다.

격자기반의 호우탐색기법을 이용한 유역기반의 DAD 분석 (Basin-scale DAD Analysis using Grid-based Rain Search Method)

  • 김영규;유완식;김연수;정안철;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6-23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시공간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격자기반의 Average-point Trackin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호우의 DAD(Depth-Area-Duration)를 분석하였다. IPCC 5차보고서에 따르면 1950년 이래로 다수의 극한 기상 및 기후 변화가 관측되었다. 그 중 일부는 인간의 활동과 관련된 것으로 많은 지역에서의 극한 호우 현상의 증가가 손꼽힌다. 이러한 극한 호우 현상 증가와 일부 저수지의 유출 증가 경향은 지역적 규모에서 홍수의 위험이 더 커졌음을 의미한다(Kim et al., 2016). 최근 이상기후 현상의 증가에 따른 강우양상의 변화로 게릴라성 집중 호우와 태풍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호우의 특성은 방위 및 진행방향에 따른 해석이 매우 복잡하여 강우를 정형화하기에 어려운 특징을 보인다. 또한 지속시간이 긴 호우의 경우에는 호우의 범위가 한반도 전체가 되는 특성 때문에 강우의 시 공간성과 관련된 관측 자료는 부족하며,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연구 또한 미진한 실정이다. 만약, 태풍과 같이 호우이동이 뚜렷한 경우, 기존의 적용되고 있는 유역중심의 DAD 분석 방법으로는 DAD 관계를 명확히 표현하기 어려우며 유역면적이 증가할수록 유역의 면적평균강우량의 오차도 증가하기 때문에 DAD 분석의 정확도는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우의 형태와 이동을 고려하기 위해 시간에 따른 호우를 격자로 나누어 격자를 증가시키면서 면적평균최대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는 Average-point Tracking 방법을 이용하여 DAD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격자기반의 자동 강우장 탐색기법을 활용한 용담댐 유역 DAD분석 (DAD Analysis of Yongdam Dam Watershed Using the Cell-Based Automatic Rainfall Field Tracking Methods)

  • 송미연;정관수;이기하;김연수;신영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8-8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지점강우를 면적평균강우로 변환하는데 이용되는 DA(Depth-area)관계를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구축할 수 있는 자동 DAD분석기법을 국내의 유역에 적용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제안된 자동 DAD분석기법에는 격자기반의 공간강우분포를 호우중심으로부터 추적하는 방법으로 Box-tracking, Point-tracking, Advanced point-tracking으로 구분된다. 세 가지 방법을 용담댐 유역에서 발생한 호우 중 대표적인 10개의 호우사상에 대하여 적용한 결과, Advanced point-tracking을 적용하였을 경우가 다중호우중심을 가진 각 호우분포 형상을 정확히 고려하고, 보다 정확한 누적 시간별 누적 면적별 면적최대강우량(MAAR)을 산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Advanced point-tracking이 선정된 여러 개의 호우중심으로부터 면적증가에 따른 각각의 MAAR을 동시에 산정하고 비교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오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용담댐 유역의 10개의 호우사상에 대한 DAD 분석을 토대로 해당 유역의 DAD곡선을 누적시간별로 추출하였다.

UHPLC-DAD 및 다변량분석법을 이용한 참당귀의 산지감별법 연구 (Geographical Classification of Angelica gigas using UHPLC-DAD Combined Multivariate Analyses)

  • 김정률;이동영;성상현;김진웅
    • 생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32-335
    • /
    • 2013
  • Geographical classification of A. gigas was performed in the present study using UHPLC-DAD combined with multivariate data analysis techniques. Six active constituents were isolated from A. gigas; nodakenin, marmesin, decursinol, demethylsuberosin,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One hundred sixty eight A. gigas samples were simultaneously determined using UHPLC-DAD.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partial least square discriminant analysis (PLS-DA) was used to classify the samples according to geographical origins (Korea and China). The origins of A. gigas from Korea and China were correctly classified by 81.6% and 93.8% using PLS-DA Y prediction. This result demonstrates the potential use of UHPLC-DAD combined with multivariate analysis techniques as an accurate and rapid method to classify A. gigas according to their geographical origin.

랫트에 있어서 딜티아젬의 대사동태에 미치는 페노바르비탈의 효과 (Effect of Phenobarbital on the Metabolite Kinetics of Diltiazem in Rats)

  • 이용복;고익배;심창구;김신근;이민화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2권4호
    • /
    • pp.301-306
    • /
    • 1992
  • The influence of phenobarbital (PB) pretreatment (75 mg/kg/day, i.p. for 4 days) on the metabolite kinetics of diltiazem (DTZ) was studied in rats in order to elucidate the effect of esterase induced by PB on the formation of DTZ to desacetyldiltiazem (DAD), DAD was injected via portal vein (3 mg/kg) to the control and PB-pretreated rats, The intrinsic hepatic clearance of DA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PB pretreatment and the absolute bioavailability of DA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B-pretreated rats. According to the hepatic biotransformation model of DTZ, the fraction of systemic clearance of DTZ which forms DAD $(G_{mi})$ was different from that of DTZ which furnishes the available DAD to the systemic circulation $(F_{mi})$ in control rats. This result shows that DTZ was suspected of the sequential hepatic first-pass metabolism. On the other hand, PB pretreatment enhanced the $G_{mi}$ value of DTZ by 44%.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deacetylation of DTZ to DAD in rats is increased by the esterase induced by PB but the transfer rate of DAD immediately formed from DTZ into systemic circulation is not affected by PB due to the 27% decreased absolute bioavailability of DAD resulting from PB pretreatment.

  • PDF

20세기 우리나라 관측최대강수량의 특성 (Maximum Areal Rainfall of Korea in the 20th Century)

  • 김남원;원유승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5호
    • /
    • pp.425-435
    • /
    • 2004
  • 수자원분야에서 관측최대강수량은 주로 지점최대 강수량에 의해 평가되어 왔으나, 엄밀한 의미에서 강수량이라 함은 면적평균강수량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면적평균강수량은 관측호우의 DAD(rainfall Depth-Area-Duration) 분석을 통하여 계산된 추정치이고, 이로부터 대상면적-지속기간별 면적평균강수량 또는 최대관측강수량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을 수문학적으로 동질하다고 가정하여 호우중심의 DAD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면적-지속기간별 최대관측강수량의 연도별 변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면적-지속기간별고 구성된 시계열로부터 확률강수량을 산정하여, 면적별 IDF와 관측치대강수량의 특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HPLC를 이용한 랫트 혈장중의 딜타아젬 및 데아세틸딜티아젬의 정량 (HPLC Determination of Diltiazem and Deacetyldiltiazem in Rat Plasma)

  • 이용희;심창구;이민화;김신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2권4호
    • /
    • pp.317-321
    • /
    • 1992
  •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HPLC)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determination of diltiazem (DTZ) and its major metabolite, deacetyldiltiazem (DAD), in rat plasma. DTZ, DAD and imipramine, the internal standard, were selectively fractionated from plasma on a $C_{18}$ reversedphase column $({\mu}-Bondapak,\;10\;{\mu}m\;silica,\;300{\times}3.9\;mm\;ID)$. The composition of the mobile phase was methanol: acetonitrile: 0.04 M ammonium bromide: triethylamine (40:24:36:0.06 in volume). The pH of the mobile phase of their method was lowered to 6.4. The eluents from the column were detected for DTZ and DAD using a UV detector at 237 nm. The recovery was >85% for DTZ and DAD, and average intra-day and inter-day coefficients of variation were <6% for DTZ and DAD at the concentration ranges of 20-1000 ng/ml. Detection limit of DTZ and DAD in plasma was 20 ng/ml with signal-to-noise ratio of 3. This method would be applicable to practical pharmacokinetic studies without detriment to the HPLC colum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