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CC method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초

하드웨어 효율적인 동적 커패시턴스 보상 구현을 위한 고속 영상 압축 및 화소별 스위칭 기법 (Fast Image Compression and Pixel-wise Switching Technique for Hardwar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 최준환;송원석;최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8호
    • /
    • pp.616-622
    • /
    • 2009
  • 동적 커패시턴스 제어(DCC) 기술로 인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약점 중 하나였던 응답 시간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다. 하지만 DCC는 계산 과정에서 이전 프레임 영상의 실시간 저장 및 출력을 반복해야 하며, 이 과정에 활용되는 고속 메모리는 HD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제작에 있어 높은 하드웨어적 부담 및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도가 낮은 고속 영상 압축 기법인 변형 지수-골룸 (MEG) 코딩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DCC 기술에 요구되는 메모리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화소별 DCC 스위칭 기법을 제안하여 압축 오차가 최종 액정 디스플레이 영상의 시각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였다. 제안된 방식을 이용해 DCC 처리용 메모리의 크기를 1/3로 줄여도 최종 영상의 시각 품질 손상이 거의 없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Fenbufen-Acetaminophen Ester의 합성 및 항염 작용 (Synthesi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Fenbufen-Acetaminophen Ester)

  • 서정진;이종욱
    • 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20
    • /
    • 1984
  • Synthetic procedures to synthesize fenbufen-acetaminophen ester were searched by acid chloride method, DCC method and mixed acid anhydride method. The compound was synthesized by DCC method and mixed acid anhydride method but could not be synthesized by acid chloride method.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superior to acetaminophen and similar to fenbufen.

  • PDF

디젤엔진 연료펌프의 솔레노이드 밸브 DCC-PWM 제어 (Solenoid Valve DCC-PWM Control for Diesel Engines Fuel Pump)

  • 신우석;최규하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85-91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디젤엔진의 효율적인 연료분사를 위해 연료펌프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전력전자적 기법을 이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연료분사장치인 UI(Unit injector)방식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하기 위해서는 코일과 규소강판으로 구성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전기적인 힘에 의해 동작시켜야 하며 이를 위한 기존의 방식을 기계적 방식이나 정전류 제어방식에 의존하였다. 이들 방식의 경우 밸브가 받혔을 경우에도 항상 일정한 직류전압을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함으로써 일정하게 큰 전류가 밸브에 흐르게 하는 방식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의 적용은 연료펌프의 밸브와 자동차 배터리(Battery)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방열 등의 문제점을 일으킨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를 DCC-PWM 제어함으로써 밸브에 흐르는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나머자 옵셋이 부호획득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듀얼셀 결합 검파 알고리즘 (Dual-Cell Combining Detection Method for Reduction of Residual Frequency Offset Influence on Code Acquisition Systems)

  • 정다해;이영윤;윤태웅;이영포;이명수;윤석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7C호
    • /
    • pp.715-72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나머지 주파수 옵셋이 (residuaI frequency offset: RFO) 존재하는 대역 확산 시스템의 부호 획득을 위해 듀얼셀 결합 (dual-cell combining: DCC) 검파 기법을 제안한다. RFO가 존채할 때, 부호 획득 과정 동안 검파에 사용되는 상관 첨두는 작은 진폭을 갖는 두 개의 주변 첨두로 나눠지게 되며, 이로 인해 부호 획득 성능이 하락하게 된다. DCC 겹파 기법은 두 개의 연속된 상판값을 결합하여 결정 변수로 사용함으로써 RFO가 상관 첨두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성능 평가를 통해 DCC 검파 기법이 한 개의 상관값을 결정 변수로 사용하는 이제까지의 검파 기법에 비해 더 나은 평균 동기화 시간 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요관리도 (Demand Control Chart)

  • 백시현;홍민선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6년도 춘계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5-240
    • /
    • 2006
  • The existing inventory managements bear a relation to forecasting or assumptions. So these methods become more complicated and more expensive systems as time goes. This paper developed a practical inventory system which is called DCC(demand control chart). DCC does not 'forecast' but 'control' the trend of demand without assumptions. According to the trend of sales, DCC adjusts an order quantity considering the capacity of shelf in a store. Specially, DCC is a useful method under FRID system. Besides, this paper introduces EPFR(Every Period Full Replenishment) policy for reducing stocks.

  • PDF

포도흰얼룩증상의 친환경방제 효과 (Effect of Environmental-Friendly Control for White Stain Symptom on Grape)

  • 오소영;남기웅;윤덕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4-188
    • /
    • 2014
  • BACKGROUND: White stain symptom caused by Acremonium acutatum and Trichothecium roseu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eases on the grape. This disease occurs national-wide in Korea and causes irreversible damage on grape, at harvest seas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nvironment-friendly control method against white stain symptom. METHODS AND RESULTS: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were tested for control activity against A. acutatum and T. roseum in vitro and in vivo. The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against white stain symptom on grape in farmer's greenhouse was examined. The materials, NaDCC and sulphur, were sprayed three times on the leaves and fruit of grape at the two sites of farmer's field, Anseong and Hwaseong of Gyeounggi. To evaluate control effect of NaDCC and sulphur against white stain symptom, the disease severity was investigated after the two materials were sprayed from the disease onset three times at the 7-day intervals. NaDCC showed efficacy of 59.71% for Kyoho and 72.26% for Campbell-Early, and sulphur showed 78.31% for Koyho and 66.19% for Campbell-Early. CONCLUSION: We were selected sulphur and Sodium-Dichloroisocyannurate(NaDCC)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iments in vitro. In field test, sulphur and NaDCC showed suppressive effect in the white stain symptom of grap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NaDCC and sulphur selected can be used as control agents for controlling white stain symptom on grape.

NaDCC 주입 선박평형수 처리기술의 해양생태위해성에 대한 연구 (Ecotoxicological Effects of NaDCC injection method in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on Marine Environments)

  • 김태원;문창호;김영윤;손민호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236-236
    • /
    • 2017
  • Effluent treated by an NaDCC injection method in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BWMS) contains reactive chlorine species and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In this study, we conducted whole effluent toxicity (WET) testing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ERA) to investigate its ecotoxicological effects on marine environment. WET testing was carried out for four marine pelagic and freshwater organisms, i.e., diatom Skeletonema costatum, Navicula pellicuosa, chlorophyta Dunaliella tertiolecta,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Brachionus calyciflorus and fish Cyprinodon variegatus, Pimephales promelas. The biological toxicity test revealed that algae was the only biota that showed apparent toxicity to the effluent; it showed no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NOEC), lowest observable effect concentration (LOEC) and effect concentration of 50% (EC50) values of 25-50%, 50-100% and >100%, respectively, at three water condition,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toxicities on other biota. Meanwhile, 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BWMS effluent contained total residual oxidants (TROs) below $0.03{\mu}g/L$ and a total of 25 DBPs such as bromate, volatile halogenated organic compounds (VOCs), halogenated acetonitriles (HANs), halogenated acetic acids (HAAs), chloropicrin and Isocyanuric acid. Based on ERA, the 25 DBPs were not considered to have persistency, bioaccumulation and toxicity (PBT) properties. The ratio of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PEC) to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PNEC) of the other DBPs did not exceed 1 for General harbor environment. However, four substances (Isocyanuric acid, Tribromomethane, Chloropicrin and Monochloroacetic acid) were exceed 1 for Nearship environment. But observed toxicity in the test water on algal growth inhibition would be mitigated by normal dilution factor of 5 applied for nearship exposure. Thus, our results of WET testing and ERA showed that the BWMS effluent treated by NaDCC injection method would have no adverse impacts on marine environment.

  • PDF

복수 패턴 인식을 위한 변형된 네오코그니트론 (Modified neocognitron for recognizing multi-patterns)

  • 김태우;최병욱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1B권10호
    • /
    • pp.140-148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입력영상에 존재하는 복수 패턴을 한번의 패스(pass)로 인식할 수 있는 변형된 네오코그니트론을 제안한다. 변형된 네오코그니트론은 특징을 추출하는 S세포층 및 V세포층과 패턴의 크기, 이동, 회전 등 변형에 덜 민감하게 하는 C세포층으로 구성된 계층적 신경망이다. S세포와 V세포들은 DCC(don't care condition)을 적용하여 영상에 존재하는 모든 패턴에 대한 특징을 추출하는 역할을 하며, S세포와 C세포는 추출된 패턴에 대한 위치정보도 함께 가진다. 위치정보는 추출된 특징들이 서로 간섭을 받지 않고 올바른 특징만이 추출되도록 하는 데 이용된다. 제안한 방법은 피드백이 존재하는 선택적 주의 방법과는 달리 단일패스로 인식이 가능하므로 인식시간이 짧으며, DCC와 위치정보를 이용하므로 서로 접촉되어 있는 복수 패턴의 인식도 가능하다.

  • PDF

이산 웨이블릿 변환과 명암도 동시발생 행렬을 이용한 컬러 레이저프린터 판별 알고리즘 (Color Laser Printer Identification through Discrete Wavelet Transform and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 백지연;이흥수;공승규;최정호;양연모;이해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7B권3호
    • /
    • pp.197-206
    • /
    • 2010
  • 고성능 저가의 디지털 인쇄기기의 출현으로 불법적인 위변조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디지털 포렌식 기술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컬러 디지털 인쇄기기를 판별하기 위한 디지털 포렌식 기술을 제안한다. 컬러 디지털 인쇄기기는 제조사마다 인쇄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출력물에 작은 차이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차이점을 활용하면, 임의의 주어진 출력물에 대해 어떠한 인쇄기기로 출력되었는지 구별이 가능하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차이점을 구별하기 위하여 출력물을 스캔한 디지털 이미지에 대해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수행하여 계산한 고주파 영역을 추출한다. 이에 대해 명암도 동시발생 행렬을 계산한 후에 행렬 데이터의 표준편차, 첨도, 왜도, 공분산, 상관계수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특징을 서포트 벡터 머신 분류기에 적용하여 디지털 인쇄기기를 판별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총 2,597장 이미지와 7대 프린터(HP, Canon, Xerox DCC400, Xerox DCC450, Xerox DCC5560, Xerox DCC6540, Konica)를 가지고, 기존 알고리즘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제안한 알고리즘은 컬러 디지털 인쇄기기를 판별하는데 있어서 평균 96.9% 정확률을 보였다.

DCC 모형에서 동태적 상관계수 추정법의 효율성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Estimation Methods for Dynamic Conditional Correlation)

  • 이지호;성병찬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5호
    • /
    • pp.1013-102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다변량 DCC(dynamic conditional correlation) GARCH 모형에서 동태적 상관계수를 추정하기 위한 대표적 방법인 쌍별 추정법과 다차원 추정법의 효율성을 비교한다. 이를 위하여 금융 시장의 변동성을 반영하는 다변량 시계열을 생성하고 이에 대한 DCC GARCH 모형을 수립 및 추정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또한 KOSPI 200 섹터지수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이의 변동성 추정 및 VaR 계산을 통하여 동태적 상관계수 추정에 대한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로서, 전반적으로 다차원 추정법이 쌍별 추정법보다 우수함을 발견하였다. 특히, 다차원 추정법에서 상대적으로 상관관계가 낮은 시계열을 추가할수록 쌍별 시계열에 대한 동태적 상관계수 추정의 정확성을 높여줌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