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 Behavioral pattern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간호사와 치과위생사의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ISC Behavioral Pattern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Stress in Nurses and Dental Hygienist)

  • 김지희;김미영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73-8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DISC behavioral patterns of health care workers on thei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stress in a bid to suggest an ideal behavioral pattern of Nurses and Dental hygienist. The subjects were 184 health care workers who worked in general hospitals and clinics in Busan and Ulsan for a year or mo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their DISC behavioral patterns to job stress, organizational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according to their DISC behavioral patterns(p=0.015). In regard to relationship between their DISC behavioral patterns and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role conflicts(p=.007), conflicts with subordinates(p=0.001) and conflicts over underpayment(p=0.015) according to their DISC behavioral pattern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tial factors of job stress, factors produced significant results(p<.001).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out of the DISC behavioral patterns, type I was most prevailing among the health care workers, which indicated that the weight of this type was highest among the behavioral sty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gaps i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ir DISC behavioral patterns.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의 DISC행동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직업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Major Satisfaction and Job Preferenc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DISC Behavioral Patterns)

  • 이선희;심현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17-227
    • /
    • 2019
  • 본 연구는 DISC행동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직업선호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2019년 4월 1일부터 10일까지 치위생(학)과 학생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DISC행동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수업내용, 교수지도방법에서 S형이 높았고, 학교시설 및 환경은 C형과 S형이 높았다. DISC행동유형에 따른 직업선호도는 하위요인 중 명예, 발전성과 안정성 선호도에서 D형이 높았다. 적성과 흥미, 발전성과 안정성, 근무환경 선호도는 S형이 높았으며, 적성과 흥미는 C형에서 높았다. DISC행동유형과 전공만족도, 직업선호도는 서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바, 대학생의 진로지도 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기공과 학생들의 DISC 행동유형별 전공 만족도 및 직업 선호도 분석 (Major satisfaction and job preference for South Korean dental technology students)

  • 강월;장연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88-393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major satisfaction and job preference according to DISC behavior patterns. Methods: To conduct our evaluation, we surveyed a group of 118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at the college of Jinju city from August 31 to September 11, 2020. The collected data was evalua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eadiness type had the highest and the dominance type had the lowest major satisfaction level by DISC behavior type. The job preference was different for each DISC behavior type, and higher the preference for stability and development, the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major.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SC behavior type, major satisfaction, and job preference are all related. Therefore,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implementing career guidance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특급 호텔 종사원의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DISC 행동유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Deluxe Hotel Employees - Focused on the DISC Behavioral Styles -)

  • 조수현;문정희;김경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4호
    • /
    • pp.57-7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특급 호텔 종사원의 DISC 행동유형, 즉 주도형(D), 사교형(I), 안정형(S), 신중형(C)의 행동유형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 즉 호텔종사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그리고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도형과 사교형인 직원들이 집단, 개발문화와 적합한 관계를 형성하여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안정형의 직원들은 합리문화와 적합한 관계를 형성하여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중형의 직원들은 집단문화와 적합한 관계를 형성할 때 이직률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의 욕구와 필요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또한 최근 특급호텔의 수가 많이 늘어나면서 특급 호텔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대에는 주도형, 사교형의 직원이 적합하다고 사료되며, 채용시 디스크 검사를 하여 우리 조직과 잘 맞는 유형의 직원을 채용할 것을 제안한다.

  • PDF

간호사의 DICS 행동유형과 투약오류 (DICS Behavior Pattern and Medication Errors by Nurses)

  • 김은경;이순영;엄미란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8-38
    • /
    • 2013
  • Purpose: Human factor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medication err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e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medication errors, examine the relationship of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Conscientiousness (DISC) behavior patterns and medication errors by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ith a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swered by 308 nurses from one university hospital and two general hospitals. Results: The most frequent DISC behavioral style of nurses was influence style (41.9%), followed by steadiness style (23.7%), conscientiousness style (20.4%), and dominance style (14.0%).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level of medication errors by nurses' behavioral patter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nurses with conscientiousness style had the lowest scores for in experience of medication errors and the highest scores for perception of medication erro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dentification of the behavior pattern of nurses and application of this education program can prevent medication errors by nurses in hospitals.

중국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이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ecturer Appearance and Students' Behavioral Patterns on Learning Flow and Teaching Presence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Video Lectures)

  • 태효하;제혜금;김보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07-11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이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중국 형태대학교 18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DISC 행동유형을 분류한 후 교수가 출연과 마출연 동영상에 배정하여 학습하게 하였다. 이후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을 측정한 후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자가 출연하는 강의동영상을 학습한 집단이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 출연여부가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교수자 출연의 효과는 유의하였으나 둘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교수자 출연여부가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에서 교수자 출연의 효과는 유의하였고, 학습자 행동유형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둘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강의동영상은 교수자가 출연하는 것이 좋으며, 교수실재감을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행동유형의 상호작용효과를 고려하여 교수자 출연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