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MSO

검색결과 756건 처리시간 0.033초

$CCl_4$속에서 Thioamides 와 Dimethyl Sulfoxide (DMSO) 사이의 수소 결합에 대한 연구 (Hydrogen Bonding between Thioamides and Dimethylsulfoxide (DMSO) in $CCl_4$)

  • 도영락;김선진;윤창주;최영상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5-190
    • /
    • 1992
  • 사염화탄소 속에서 대단히 묽은 티오아미드 및 티오아미드-DMSO 용액의 $ν_{\alpha}$ + Amide II 조합띠에 대한 근적외선 스펙트럼을 $5^{\circ}C$$55^{\circ}C$ 사이에서 얻었다. 이 조합띠는 두 개의 Lorentzian-Gaussian product 함수로 분해되며, 각각은 단체 티오아미드 및 1 : 1 티오아미드-DMSO 복합체로 확인되었다. 티오아세트아미드(TA)와 DMSO 사이의 수소결합은 티오프로피온 아미드(TPA)와 DMSO 사이의 수소결합보다 약간 강하며 $CCl_4$ 속에서 TA-DMSO와 TPA-DMSO 1: 1 복합체에 대한 ${\Delta}H^{\circ}$는 각각 -15.3 kJ${\cdot}$$mol^{-1}$ 및 -14.2 kj${\cdot}$$mol^{-1}$이었다.

  • PDF

DMSO 투여된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SOD1-G93A 형질 변환 마우스 모델에서의 근육 기능과 생존 기간 증가 효과 (DMSO Improves Motor Function and Survival in the Transgenic SOD1-G93AMouse Model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박경호;김연경;박현우;이희영;이정훈;패트릭 스위니;박래리종;박진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611-621
    • /
    • 2022
  • DMSO (dimethyl sulfoxide)는 친유성 화합물을 용해하는 성질과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을 투과하는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등의 퇴행성 뇌신경질환을 타겟으로 하는 전임상 연구에서 용매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DMSO를 활용한 연구 결과에 대하여 본 물질에 대한 생화학적 효과는 간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의 질환동물 모델인 SOD1-G93A형질 전환 마우스에 5% DMSO를 장기간 경구 투여하여 질병 표현형에 미치는 영향을 생존기간을 포함하여 신경학적, 기능학적,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DMSO를 투여한 SOD1-G93A 동물군에서 DMSO 비투여군 보다 생존 기간과, 로타로드와 악력 측정으로 평가한 근육 기능이 유의미하게 증가했고, neurological score 가 감소했다. 반면, DMSO 투여군에서 DMSO 비투여군 대비하여 척수 운동 신경 세포와 신경근접합부가 보존되지 않았다. DMSO 투여는 SOD1-G93A형질 전환 마우스의 운동 신경 세포의 조직학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신경 증상 완화와 생존 기간 등 개선된 마우스의 quality of life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DMSO를 이용한 퇴행성 뇌 질환 전임상 연구 및 후보 약물 효능 평가 시 DMSO의 생화학적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Ethylene Glycol이 포유류 초기배자의 생존성에 미치는 독성 효과 분석 (Toxic Effects of Ethylene Glycol on Mammalian Embryo Survivability)

  • 김현;유대중;최창용;성환후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9권3호
    • /
    • pp.77-81
    • /
    • 2015
  • 본 연구에서 배아의 생식세포 동결에 가장 흔히 쓰이고 있는 두 가지 동결 보호제, 즉 DMSO와 EG의 독성을 비교하고자 생쥐 수정란 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하였다. 생후 6주령의 암컷 생쥐 $F_1$ hybrid mice에 10 IU의 PMSG를 복강 주사하여 과배란을 유도하고, 2-세포기 배아를 획득하고 DMSO와 EG 각각 노출시킨 후, 배양을 하였다. 배반포의 전체 세포수는 2-세포기 단계에서 DMSO($68.1{\pm}24.1$)로 EG($81.2{\pm}27.0$) 혹은 control($99.0{\pm}18.3$)(p<0.001) 처리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DMSO 처리구가 EG 처리구에 비해 세포수가 적었다. DMSO($15.4{\pm}1.5$)와 EG($10.2{\pm}1.4$) 두 처리구는 대조구($6.1{\pm}0.9$, p<0.0001)와 비교해서 배반포에서 세포사 비율이 더 높음을 확인했다. 또한, DMSO 처리구는 EG 처리구(p<0.001)보다 더 많은 세포사멸된 세포가 확인되었다. DMSO 또는 EG 처리군과 대조군 사이에는 배아 부화율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배아에 대한 동결 보호제의 잠재적인 독성을 확인한 결과였다. 이번 연구에서 장기간 처리했을 때 EG 처리군보다 DMSO 처리군에서 배아발달과 세포수가 저하된 것은 DMSO의 독성이 더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삼 캘러스 원형질체의 세포분열과 세포벽 재생에 미치는 Dimethylsulfoxide의 효과 (Effects of Dimethylsulfoxide on the Cell Wall Regeneration and Cell Division of Protoplasts Isolated from Panax ginseng Callus)

  • 이석찬;이규배;박종범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29-434
    • /
    • 2000
  • 인삼 (Panax ginseng C. A. Meyer) 캘러스 조직으로부터 분리한 원형질체를 DMSO가 O%에서 8%까지 여러 가지 농도로 첨가된 원형질체 배양배지 (1 mg/L 2,4-D, 4 mg/L NAA, 1 mg/L BAP, 0.4 M mannitol 및 0.8% agar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배양하였다. DMSO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된 원형질체의 세포벽 재생률은 약 62%이고 세포분열빈도는 약 7%이었다. 반면에, 1% DMSO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된 원형질체의 세포벽 재생률과 세포분열빈도는 각각 약 83%와 약 27%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배양된 원형질체의 세포활성은 배지에 첨가된 DMSO의 유무나 농도와는 관계없이 모든 배지에서 83∼88%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 DMSO가 첨가된 배지에서 3일 동안 배양된 원형질체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원형질막 근처에 평행으로 배열하고 있는 미소관들이 관찰되었다. 또한 원형질막 표면에는 세포벽 성분인 cellulose fibril들이 연결되어 다발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되었다. DMSO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된 원형질체에서는 이러한 전자현미경적 구조들이 관찰되지 않았다. 원형질체 배양배지에 첨가된 DMSO는 미소관편제센타 (MTOC)의 형성에 의하여 세포벽 재생과 세포분열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폴리비닐알코올/디메틸술폭시드/물/붕산 용액계에 있어서 물함량이 유변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Level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vinyl Alcohol/Dimethyl Sulfoxide/Water/Boric Acid Solution Systems)

  • 김병철;김승규
    • 유변학
    • /
    • 제11권1호
    • /
    • pp.28-33
    • /
    • 1999
  • 붕산은 폴리비닐알코올(PVA)의 히드록시기간의 가교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PVA용액내에 가입되면 용액의 유변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양이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PVA/디메틸술폭시드(DMSO)/물/붕산계에 있어서 물의 함량이 유변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VA/DMSO/물계에 붕산을 1 wt.% 첨가할 경우 물 함량이 증가할 수록 점도가 급속히 감소하였다. PVA/DMSO계에 1 wt.%의 붕산이 가입된 경우 양이온이 없어도 강한 가교구조를 형성하여 탄성겔의 점탄성특성을 나타낸 반면 PVA/물계에 1 wt.%의 붕산이 가입된 경우 전형적인 점성물질의 특성을 나타냈다. 순수한 DMSO나 혼합용매중 DMSO의 함량이 높으면 양이온의 존재없이도 붕산첨가에 의해 가교구조를 형성하여 급격한 점도변화를 나타냈으나 물 함량이 풍부한 계에서는 붕산의 첨가에 따른 점도의 변화가 미약하였으며 순수한 물을 용매로 사용한 경우 붕산첨가의 영향이 거의 없었다. 저장탄성률도 PVA/DMSO계의 경우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혼합용매계에는 물함량이 증가할 수록 감소하였다.

  • PDF

DMSO용액에서 네자리 Schiff Base Cobalt(II) 착물들의 산소 첨가 생성물에 대한 전기화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제 1 보) (Studies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Oxygen adducts Tetradentate Schiff Base Cobalt(II) Complexes in DMSO (I))

  • 조기형;정진순;함희석;서성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42-554
    • /
    • 1987
  • 네자리 schiff base cobalt(II) 착물로서 Co(SED), Co(SND) and Co(SOPD)들을 합성하여 이들 착물들의 DMSO 용액에서 산소를 가하여 산소첨가 생성착물로 $[Co(SED)(DMSO)]_2O_2,\;[Co(SND)(DMSO)]_2O_2$$[Co(SOPD)(DMSO)]_2O_2$들을 합성하였다. 이들의 원소분석과 Cobalt정량, IR-Spectra, T.G.A. 및 자화율을 측정하여 산소:cobalt(II) 착물의 결합비가 1:2이고 네자리 schiff base cobalt(II)와 DMSO 및 산소가 6배위 결합으로 주어짐을 알았으며 Co(SED), Co(SND) 및 Co(SOPD) 착물들의 0.1M TEAP-DMSO용액에서 순환전압-전류법에 의한 산화 환원 과정이 Co(SED) 및 Co(SOPD)는 Co(II) / Co(III)와 Co(II) / Co(I) 과정이 가역적으로 일어나고 Co(SND)는 Co(II) / Co(III)과정은 가역적이지만 Co(II) / Co(I) 과정은 비가역적이다. 또한 산소 첨가 생성물의 착물들은 0.1M TEAP-DMSO 용액에서 산소결합의 환원과정이 $E_{pc}$ = -0.80~-0.89V에서 일어나고 이에 Couple인 산화과정은 $E_{pa}$ = -0.70~-0.76V에서 준가역적으로 일어남을 알았다.

  • PDF

심근세포 및 내피새포의 분화에 미치는 Dimethyl Sulfoxide의 영향 (Effects of Dimethyl Sulfoxide on the Differentiation of Myocardial and Endothelial Cells)

  • 이동협;박이태;한승세;이융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2호
    • /
    • pp.111-119
    • /
    • 1988
  • 효소와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얻어진 심장세포를 심근세포와 내피세포를 분리하여 48시간 배양한 후 양군으로 나눠서 관찰하였다. 실험군은 배양중에 10% DMSO에 1시간 처리하였고 DMSO를 처리하지 않고 계속 배양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DMSO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도립현미경하에서 세포의 형태, 수축능력, 증식 능력등을 관찰하였고, 심근세포에서는 succinate dehydrogenase 반응으로 사립체의 증감을 대조군과 비교하였고, 심장내과세포에서는 thiamine pyrophosphatase의 반응으로 Golgi의 양을 대조군으로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연 다음과 같다. 1. DMSO에 의하여 심근세포는 분화된 형태로 모양이 길어졌고 사립체의 증가에 의해 succinate dehydrogenase의 반응이 대조군보마 강하게 나타났다. 2. DMSO에 의해 심근세포는 근세섬유의 파괴와 혼란이 초래되었고 이로 인하여 수축능력이 감소되었다. 3. 심장내과 세포는 DMSO에 의해 세포증식이 감소되고 고유기능이 강조되어 Golgi의 표지효소안 thiamine pyrophosphatase의 반응이 대조군보다 강하였다. 4. 심장내과세포는 DMSO의 세포접착력 소실과 운동성 소실작용에 의해 배양중 많은 세포의 손실이 초래되었다.

  • PDF

아세톤과 DMSO (Dimethylsulfoxide)로 추출(抽出)하여 측정(測定)한 잣나무 침엽(針葉) 내(內)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 비교(比較)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Contents of Korean Pine Needles Using Acetone and DMSO (Dimethylsulfoxide))

  • 서금영;손요환;구진우;노남진;이명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4호통권161호
    • /
    • pp.264-268
    • /
    • 2005
  • 참나무류 임분에 자연 발생한 잣나무와 인공 조림된 잣나무 침엽을 80% acetone과 DMSO(Dimethylsulfoxide)로 추출하여 측정한 엽록소 함량을 비교하였다. 80% acetone에 비해 DMSO로 추출한 총 엽록소 함량은 잣나무 침엽의 모든 연령에서 약 4-6배 높은 값을 나타했다. 또한 DMSO로 추출한 경우 상층 임관을 점유한 인공 조림된 잣나무와 하층에 생육하는 잣나무 간에는 총 엽록소 함량에 차이가 없었으며, 80% acetone으로 추출한 경우에도 역시 두 종류의 잣나무 사이에 연령별 총 엽록소 함량의 차이는 없었다. DMSO로 추출할 경우 자연 발생 잣나무와 인공 조림된 잣나무 침엽 모두 6시간의 추출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결 보호제(DMSO) 농도에 따른 돼지 중간엽 줄기세포의 Caspase 3과 7 발현 (Activation of Caspase-3 and -7 on Porcine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pBM-MSCs) Cryopreserved with Dimethyl Sulfoxide (DMSO))

  • 옥선아;노규진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3-187
    • /
    • 2012
  • Adult stem cell transplantation has been increased every year, because of the lack of organ donors for regenerative medicine. Therefore, development of reliable and safety cryopreservation and bio-baking method for stem cell therapy is urgently neede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safety of dimethyl sulfoxide (DMSO) such as common cryoprotectant on porcine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pBM-MSCs) by evaluating the activation of Caspase-3 and -7, apoptosis related important signal pathway. pBM-MSCs used for the present study were isolated density gradient method by Ficoll-Paque Plus and cultured in A-DMEM supplemented 10% FBS at $38.5^{\circ}C$ in 5% $CO_2$ incubator. pBM-MSCs were cryopreserved in A-DMEM supplemented either with 5%, 10% or 20% DMSO by cooling rate at $-1^{\circ}C$/min in a Kryo 360 (planner 300, Middlesex, UK) and kept into $LN_2$. Survival rate of cells after thawing did not differ between 5% and 10% DMSO but was lowest in 20% DMSO by 0.4% trypan blue exclusion. Activation of Caspase-3 and -7 by Vybrant FAM Caspase-3 and -7 Assay Assay Kit (Molecular probes, Inc.OR, USA) was analyzed with a flow cytometer. Both of cryopreserved and control groups (fresh pBM-MSCs) were observed after the activation of Caspase-3 and -7. The activation did not differ between 5% and 10% DMSO, but was observed highest in 20% DMSO. Therefore 5% DMSO can be possibly used for cell cryopreservation instead of 10% DMSO.

혼합 용매계 (DMSO/TBA)를 이용한 아크릴로니트릴의 용액 중합 (Solution 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 Using a Cosolvent System (DMSO/TBA))

  • 손성옥;한영아;최경식;;지병철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27-131
    • /
    • 2003
  • Acrylonitrile(AN) was solution-polymerized in dimethyl sulfoxide(DMSO) and tertiary butyl alcohol(TBA) at 30, 40, $50^\circ{C}$ using a low temperature initiator, 2,2'-azobis(2,4-dimethylvaleronitrile) (ADMVN). The low temperature polymerization using ADMVN, DMSO, and TBA is to be successful in obtaining high molecular weight polyacrylonitrile(PAN) with less branches by solution polymerization. Throug a polymerization of AN in DMSO at $30^\circ{C}$, PAN having viscosity-average molecular weight$(M_v)$ of 931,000 was obtained. And then, during AN solution polymerization in DMSO and TBA using a cosolvent system the in-situ formation of microfibrillar structure has been discovered at the cosolvent composition of 24/1$(V_{DMSO}/V_{TBA})$. The simultaneous process of gelation and phase separation of long chain molecules may explain the in-situ formation of PAN fibers during polymer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