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nce Performance Informatio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학생을 위한 강강술래 국민생활댄스 공연복식 제안 (Designing Performance Costumes of Daily Dance Ganggangsullae for Elementary Students)

  • 조두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1호
    • /
    • pp.81-92
    • /
    • 2015
  • Daily dance Ganggangsullae is recommended for youth to help their diet, improve their team life and know Korean culture. Its performance costumes were fusion hanbok and casual wear shown at the Second Daily Dance Ganggangsullae Contest Conference of Myeongryang Battle Festival in 2013. A fusion hanbok shows the Korean traditional spirit, but it is not practical. Casual wear is practical, but it does not show any Korean identity. Therefore, their combination is needed to reflect the Korean identity and practicality. For this, a literature review and an online search were conducted for the history, purpose and dance motion of daily dance Ganggangsullae. And photographs of participating teams were gathered from Jeonnam Information & Culture Industry Promotion Agency. Goguryeo costumes were used for design motifs. Four designs were sets of T-shirts and pants for the summer. Style 1 is designed using sam, jikryeong, go, round and triangle pattern with rippled cotton. Colors were from Wang Huiji's mural painting. Style 2 is designed using dansuui, beonryeong, go, round and quadrangle patterns with rippled cotton. Colors were from a Deokheungri mural painting. Style 3 is designed using sam, round ryeong, go, quadrangle patterns, prints with cotton jersey and denim. Colors were from a Gamsinchong mural painting. Style 4 is designed using dansuui, jikryeong, go, a flame pattern, a bow and arrow shape with cotton, knit and jersey. Colors were from a Muyongchong mural painting. This study is helpful to anyone who wants to develop Korean-style performance costumes.

SNS 공연예술 정보서비스품질이 초기신뢰와 프로슈머 활동에 미치는 영향: 무용공연을 중심으로 (An Effect of SNS Performance and Arts Information Service Quality on Initial Trust and Prosumer Activity: Focusing on Dance Performance)

  • 박선우;조철호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9-214
    • /
    • 2016
  •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casual relationships among performance and arts information service quality, initial trust, user satisfaction, reuse intention and prosumer activity in social network service(SNS). Also, we intended to explore significant factors on use performance of SNS through causal model analysis in the viewpoint of total effect. Methods: As a survey tool, questionnaire has obtained validity and reliability through literature survey, exploratory survey and pretest and sample 403 was selected. For statistical treatment of pretest and main analysis, SPSS18.0 and AMOS18.0 were employ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as analysis method. Results: Result of this study shows as follows. Two factors (precision and reciprocal action) have an effect on user satisfaction, initial trust, reuse intention and prosumer activity. We found that with an importance of initial trust, prosumer activity can be a useful and significant factor in causal relationship of SN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wo factors(precision and reciprocal action) in via of initial trust, were important factors that related companies have to emphasize to raise performance, And also we confirmed new factor 'prosumer activity' through this study. However, the present study has some limitations to be studied in the future.

DDR게임을 활용한 퀴즈풀이 학습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Quiz Solving System using DDR Game)

  • 전현서;윤찬영;엄태웅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3-386
    • /
    • 2018
  • 학습자들에게 흥미와 집중력을 유발시키고자 더 재밌고 효율적인 학습방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정보통신 기술을 융합한 게임기반 학습에 대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집중력을 높여주는 게임의 특성을 활용하려 한다. 그러나 게임만 한다면 운동을 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DR(Dance Dance Revolution)을 이용하여 게임과 스포츠를 융합하여 체력을 높여주고 성적도 높여주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창작무용 의상에 나타난 여성상 변화 - 페르소나와 아니무스를 중심으로 - (The Changes of Feminine Image Expressed in the Creative Dancing Wear - focusing on Persona and Animus -)

  • 김흥경;김선화
    • 복식
    • /
    • 제58권6호
    • /
    • pp.158-171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how changes of women's sexual identity and gender role were expressed in designs of dance costumes by analyzing costumes used in creative dance works. Related articles, dance magazines, Internet information and dance costum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various performance cases to express persona and animus of a woma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a woman's role, persona, has recently changed into active propensity, dance directors have come to prefer bold and daring image of female dancer to strongly express animus, the masculine inclination of a woman. 2. Female dancers' costumes we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daring body exposure such as body painting on half-naked body, to reflect the above and a number of female dancers dressed daringly in masculine style trom head to toe. Also, pants or hot pants instead of skirt were frequently used as dance costumes to symbolize animus. In addition, colors in dance costumes became vivid and bold in comparison to the simple and soft colors used in the past.

현대무용공연 선택속성이 관람태도와 티켓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s of Contemporary Dance Performance on Audience's Attitude and Tickets Purchase Intention)

  • 이종윤;김도윤;류승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09-118
    • /
    • 2020
  • 본 연구는 현대무용관람객의 선택속성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하고, 현대무용공연 관람 경험이 있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현대무용공연의 선택속성을 규명하였으며, 이에 물리적 증거, 티켓, 사람, 정보, 작품, 명성 이라는 6가지 속성이 도출되었다. 이 속성을 바탕으로 티켓구매행동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확장된 계획적 행동이론'을 통하여 선택속성이 관람태도와 티켓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현대무용공연의 선택속성 중에서는 명성, 사람, 작품의 세 가지 속성이 관람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티켓구매의도에는 작품과 사람속성만이 정(+)의 영향을 미쳤다. 티켓구매의도에 설명력을 높이기 위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변수 중에서는 주관적 규범을 제외한, 관람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 사전지식이 티켓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무용공연의 티켓구매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관람객 중심의 선택속성을 제시하고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국내 직업무용단의 웹사이트 콘텐츠 비교 분석 (Comparative Study of Internal Dance Troupes' Web Sites Contents)

  • 정미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311-320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 직업무용단 웹사이트 콘텐츠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이 연구를 통해 전국 직업무용단과 무용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사이트 구축 및 콘텐츠 개발 방안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용단 단독으로 홈페이지가 운영되고 있는 8개의 무용단을 선정하여 콘텐츠 내용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무용단 홈페이지 중 콘텐츠 제공과 커뮤니티의 활성화는 국립발레단, 서울발레시어터, 유니버설발레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도)립무용단의 경우는 경기도립무용단, 대전 부산 서울 인천시립무용단의 5곳만 활성화되고 있어 타 시도 무용단 홈페이지의 콘텐츠는 많은 보완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서울발레시어터나 유니버설발레단의 경우 공연소식, 단원소개, 발레이야기, 공연평, 뉴스레터 일정안내, 아카데미, 후원회 등을 통해 많은 콘텐츠를 제공하여 관객 관리와 홍보에 활용한 반면 시립 도립 무용단의 홈페이지에서는 그 규모와 자료 수가 적은 편이어서 웹사이트 방문의 호기심이 덜했다.

강강술래 공연 복식 실태 연구 (Various Types of Costumes for Ganggangsullae)

  • 조두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6호
    • /
    • pp.551-560
    • /
    • 2014
  • In this study, we have focused on various types of costumes for traditional Ganggangsullae and daily dance Ganggangsullae. To analyze their costumes, spot photographs of Ganggangsullae contests from 2011 and 2013 were collected from the Department of Culture and Tourism, Jindo County Office and the Jeonnam Information & Culture Industry Promotion Agency. Costumes were analyzed by categorising them as type, shape and color. Traditional Ganggangsullae costumes are two types: traditional hanbok and saenghwal hanbok. Traditional hanbok design dates back to the late Joseon dynasty and saenghwal hanbok design to the middle Joseon Dynasty. They reflects confucianism, a male-dominated society, totemism, shamanism and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in agrarian society and community life. Daily dance Ganggangsullae has various types of costumes such as the fusion hanbok, saenghwal hanbok, cheering uniform and casual wear. They show modern color schemes. There is not any magical meaning from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Instead, they have individualism, liberty, equality and welfare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o its costumes are easy and comfortable clothes. But traditional hanbok, fusion hanbok and saenghwal hanbok are inspired from Korean identiry. Even though traditional Ganggangsullae and daily dance Ganggangsullae have different costumes and ideology, they have a common denominator 'playfulness.' It will function as a key for Ganggangsullae to be performed continuously over the period.

가사의 감정 분석을 이용한 GAN 기반 댄스 공연 배경 생성 방법 (GAN-based Dance Performance Visual Background Generation Method using Emotion Analysis on Lyrics)

  • 윤혜원;곽정훈;성연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30-531
    • /
    • 2020
  • 최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예술 작품에 몰입할 수 있도록 무대 효과를 디자인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무대 효과 중에서 무대 배경은 공연의 분위기를 형성한다. 춤의 장르별로 무대 배경에 사용되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 기반 무대 배경 생성 시스템이 있다. 하지만 같은 장르 춤은 동일한 무대 배경 이미지가 제공되는 문제가 있다. 같은 장르의 춤이지만 노래의 분위기를 반영하여 차별된 무대 배경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노래 가사의 감정을 활용하여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GAN)을 통해 각 노래의 분위기를 고려한 무대 배경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GAN은 노래에 포함된 단락별 감정 단어를 추출하여 스타일을 생성하도록 학습된다. 학습된 GAN은 노래 가사에 포함된 감정 단어를 활용하여 곡의 분위기를 반영한 무대 배경 이미지를 생성한다. 노래 가사를 고려하여 무대 배경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곡의 분위기가 고려된 무대 배경 이미지 생성이 가능하다.

이왕직아악부의 정재 음악 연구 - 이병성·성경린 무보를 중심으로 - (A Study of Jeongjae Performed by the Iwangjikaakbu(Royal Music Institute): Based on the mubo(choreography notes) of Lee Byungseong and Sung Gyeonglin)

  • 이종숙
    • 공연문화연구
    • /
    • 제34호
    • /
    • pp.173-2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이병성(李丙星, 1909-1960)의 '창사급정재철'(呈才及唱詞綴)에 수록된 11종의 정재를 기준으로 성경린(成慶麟, 1911-2008) 무보(舞譜)의 음악 관련 기록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 기록들은 비록 이병성과 성경린 개인의 것이지만, 일제강점기 이왕직아악부 아악생 무동의 학습 자료로서 혹은 교재로서 무동 양성에 크게 일조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두 무보에 수록된 <처용무(處容舞)>, <향령무(響鈴舞)>, <무고(舞鼓)>, <보상무(寶相舞)>, <춘앵전(春鶯?)>,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수연장(壽延長)>, <만수무(萬壽舞)>, <봉래의(鳳來儀)>,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무산향(舞山香)> 등 11종의 정재는 당악정재와 향악정재로 구분된다. 당악정재인 <수연장>, <봉래의>, <장생보연지무>의 죽간자 등장에 '장춘불로지곡(長春不老之曲)'이라는 아명(雅名)의 '보허자령(步虛子令)'이 사용되었다. 중무(中舞)와 무용수를 인도하는 음악은 '풍경지곡(豊慶之曲)'이 사용되었다. 향악정재에는 춤이 전개될 때의 음악으로 '함녕지곡(咸寧之曲)', 끝날 때는 '풍운경회지곡(風雲慶會之曲)'이 사용되었다. 이왕직아악부 정재 반주음악은 '삼현영산회상(靈山會上)'의 속곡(屬曲)인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환입 염불환입 타령 등에 다양한 아명을 붙여 사용한 특징이 발견되었다. 특히 "정재무도홀기"에 제시된 '향당교주(鄕唐交奏)'는 '삼현영상회상'의 여러 속곡임을 알 수 있었다. 정재 반주음악의 빈곤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상의 두 노트는 <학연화대합설무>의 보유자인 이흥구(李興九, 1940년생)의 개인소장 자료이다. 이병성과 성경린의 노트를 비교 분석하여 그 내용을 상세히 소개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일제강점기 정재음악에 대한 이해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휴대용 유도탄 체계의 모델링과 성능분석을 위한 실시간 병렬처리 시뮬레이터 (Real-time Parallel Processing Simulator for Modeling Portable Missile System and Performance Analysis)

  • 김병문;정순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5-4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회전 유도탄 체계의 모델링과 성능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실시간 병렬처리 시뮬레이터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실시간 병렬처리 시뮬레이터는 항공기의 적외선 형상을 만드는 탐색기 에뮬레이터, 실시간 컴퓨터, 시스템 유닛. 유도 조종 장치 및 탐색기 프로세서 등과 같은 하드웨어 실물장치와 실시간 컴퓨터에 내장된 수학적 모델, 6 자유도 모델 및 공력 모델 등을 구현한 응용 소프트웨어 및 호스트 컴퓨터에 내장된 사용자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었다. 실시간 컴퓨터는 병렬로 연결된 여섯 개의 TI사 C-40 프로세서로 설계되었으며, 기계적 장치와 결합된 아날로그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탐색기 에뮬레이터를 설계하였다. 시스템 유닛은 구성 요소간의 임피던스 정합 기능과 미세 신호를 처리하며, 시뮬레이터와 실물 유도탄 발사 장치의 연결이 가능하다. 개발된 실시간 병렬처리 시뮬레이터를 휴대용 회전 유도탄의 성능분석 장치로 사용하기 위하여 현장실험을 통한 결과 검증시험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