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ath consciousnes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3초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 대학생의 죽음의식과 좋은 죽음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ath Consciousness and the Awareness of Good Death in the College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 백소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271-279
    • /
    • 2018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 대학생의 죽음의식과 좋은 죽음 인식을 파악하고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S시에 소재한 C대학의 3학년 111명, 4학년 94명인 총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죽음의식과 좋은 죽음 인식정도 모두 보통수준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의식은 죽음에 대해 생각해본 경험에서(t=.559, p=.002), 좋은 죽음 인식은 죽음교육(t=.777, p=.018)과 죽음에 대한 이해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2.964, p=.033). 학년과 좋은 죽음 인식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r=.161, p=.021), 죽음의식과 좋은 죽음인식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r=-.71, p=.311). 본 연구의 결과로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 대학생들의 죽음의식과 좋은 죽음인식 정도와 죽음생각과 죽음교육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죽음의식과 좋은 죽음 인식 향상을 위한 간호교육과 관계 확인을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중년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자와 비경험자의 죽음의식과 자아존중감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Death Orientation and Self-Esteem between Hospice Volunteer Experience and Hospice Volunteer Non-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 박연숙;이성옥;홍성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5-44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how a middle-aged woman's consciousness of the death and self-esteem was affected by whether the hospice volunteer's experience exist or not. As a form of descriptive research, this study, which is based on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tended for the 191 middle aged women doing volunteer work at the non-profit women's organization, had been conducted twice from May 10, 2010, to May 21, 2010. The results of my research work is followed ; First, a middle-aged woman's consciousness of the death and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the hospice volunteer's experience exist or not. Experienced hospice volunteer group showed a lower consciousness of the death and a higher self-esteem compared to non-experienced hospice volunteer group's case. Second, in case that the results show a high self-esteem, the consciousness of death reach at the low stage. Especially, the experienced hospice volunteer group showed an opposite correlation compared to non-experienced group. Third, Anyone's consciousness of death appeared at a low level when she had a religion and higher education background. Anyone's self-esteem oriented sense appeared at low level when she didn't have religion but rather appeared at high level when the health status of the targeted group was in a good shape. As a result, the hospice volunteer activities can be assumed to increase the middle-aged woman's self-esteem, therefore, turn the consciousness of death into a positive attitude.

자료적 트라이앵귤레이션 방법의 활용을 통한 호스피스 교육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ve Study of Hospice Education using Data Triangulation)

  • 백훈정;김춘미;최순영;박순옥;문진하;김정숙;김애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1-100
    • /
    • 2005
  • Purpose: This research used quantitative research to identify differences in death consciousness between pre and post education. The study was also designed to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by using a qualitative analysis to examine hospice education experience. Method: This study a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Results: 1 The mean score for the students' death consciousness before the hospice education averaged $2.15{\pm}\;.33$, a medium level for death Consciousness. The Score after education was $2.25{\pm}\;.36$, that is, there was higher score for death consciousness after education. 2.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giving their names and categorizing the experience of being in a coffin shown to be self-reflection, regret, recognition to death, death as discontinuation of life, the last closing from everything, death as a sad and cruel event, death as another world, specialist intuition of nursing. Conclusion: This research provided an opportunity for nursing students to consider death earnestly and realistically through hospice nursing education. We also discovered affirmative changes in the students' viewpoint of death, students who in future clinical practice may work with elders. We also found increases in motives to develop ability to present effective aid to dying patients.

  • PDF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가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ood death cognition, self esteem,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 박효진;양현주;변은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71-7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가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간호대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2.87±0.26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종교(t=-2.90,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좋은 죽음 인식(r=.27, p=.001), 자아존중감(r=.36, p<.001)과는 정적상관관계를,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r=-.27, p<.001)와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좋은 죽음 인식(β=.26, p<.001), 자아존중감(β=.29, p<.001),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β=-.30, p<.001), 종교(β=.20, p=.004)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8.7%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경남;강은희;김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29-437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좋은 죽음 인식, 삶의 의미에 대한 태도가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P시에 있는 1개의 간호학과 재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01일부터 5월 11일까지 2주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의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는 생명의료 윤리의식(r=.266, p<.001), 좋은 죽음 인식(r=.373, p<.001), 삶의 의미(r=.122, p=.037)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삶의 의미는 생명의료 윤리의식(r=.294, p<.001), 좋은 죽음 인식(r=.230,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좋은 죽음 인식은 생명의료 윤리의식(r=.306,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생명의료 윤리의식(${\beta}=.16$, p=.004), 좋은 죽음 인식(${\beta}=.32$, p<.001)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를 16.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위해서는 생명의료 윤리의식과 좋은 죽음 인식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고, 다양한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반복적 연구가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간호학과 1학년의 도덕적 행동, 생명의료윤리 의식, 죽음 태도가 호스피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ral Behavior,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nd Death Attitudes on Hospice Awareness in Nursing Freshman)

  • 김정숙;제남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275-284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학과 1학년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호스피스완화 간호중재 및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에 소재한 J대학 간호학과 185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IBM SPSS WIN/2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호스피스 인식은 도덕적 행동(r=.22, p=.002), 생명의료윤리 의식(r=.29, p<.001)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호스피스 인식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명의료윤리 의식(β=.224, p=.012), 그 다음으로, 부모님의 경제력(상)(β=.187, p=.027) 순이었다. 설명력은 11.5%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호스피스 인식 제고를 위한 대학생활 동안 도덕적 행동과 생명의료윤리 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말기 암환자의 임종 전 48시간 동안의 임상증상 (Symptom Experienc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during the Last 48 Hours of Life)

  • 심윤수;김도연;남은미;이순남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0권4호
    • /
    • pp.190-194
    • /
    • 2007
  • 목적: 말기 암환자의 여명을 예측하는 것은 환자와 가족들에게 '평안한 임종'을 맞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진에게는 적극적 증상완화와 전인간적 돌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말기 암환자에서 임종 전 48시간 동안의 임상증상을 파악하고 임종을 예측하는 임상증상을 확인하여 환자 가족 및 의료진에게 이 시기에 나타나는 변화들을 이해하여 준비된 평안한 임종을 맞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2003년 7월부터 2006년 3월까지 한 대학병원에 입원하여 사망한 말기 암환자 89명을 대상으로 하여 임종 전 48시간 동안의 임상증상을 조사하였고 입원 시, 임종 48시간-24시간전, 임종 24시간전$\sim$임종시까지 시간대별 증상의 빈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 환자의 중앙 연령은 62세(범위, $16{\sim}97$세)였다. 임종 48시간전 임상증상의 빈도는 의식혼탁(57%)이 가장 흔하였으며 이외 통증(30%), 발열(22%), 호흡곤란(19%)의 순이었다. 원발암에 따른 임종 48시간전 임상증상도 유사한 빈도를 보였으나 담도계암환자에서 발열의 빈도가 다른 암종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2). 임종이 임박할수록 입원 시에 호소하던 전신 쇠약감과 식욕부진은 감소한 반면 의식혼탁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결론: 말기 암환자에서 의식혼탁은 임종이 임박했음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임상 지표로 생각된다.

  • PDF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관련 지식, 인식 및 태도의 차이 (The difference of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related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 박미라;제남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37-14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관련지식, 인식 및 태도의 차이를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학과 112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두 그룹간에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하위 영역 중 인공수정, 안락사, 장기이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은 생명의료윤리 교육에 참여한 후 인공수정, 안락사, 장기이식에 대한 의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생명의료윤리 교육과정에 죽음,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 관련 다양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가 일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여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다고 보아 추후 반복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건설현장 작업자의 내면적 안전의식 수준 (Level of Safety Awareness of Construction Workers)

  • 이왕기;박성용;손기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8-53
    • /
    • 2017
  • Many construction accidents can be lead to a death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These are considerably due to potentially-hazardous equipment and machine or unexpected collapsion at earth work due to land slide and so on. Almost 50% of the total death and injury, occurred in construction sites in 2015. 66% of those serious accidents are due to falling occurring from construction sites when they work. Therefore, causes and recommendations of each accident should be deeply thought and analysed The indirect causes are directly related to safe consciousness of the construction workers. Actually, their safety consciousness are not high, even very low, it is thought. Questionnaire survey sheets have been distributed to Seoul, Incheon, and Gyunggi-Do area, first. And then, the authors have collected those directly at sites, in order to increase collection rate of the sheets. The totally, collected sheets are 295 sheets. And, they are analysed using SPSS version 19 package program. Workers internal consciousness has been investigated and reviewed and analysed by statistical method such as frequency rate, crossed, and correlated analysis. And finally the conclusions for the above analyses are as follows; Heavy weight worth a crew of more than two workers should be necessarily considered for the advanced safety plan and needed for making a highly potential hazard group at construction sites. Safety consciousness, earing p.p.e, workman ship should be mainly considered for investing safety costs with an aspect of human factor.

뇌사에 대한 인지와 태도에 관련된 요인 (The Factors of Related towards Cognition and Attitudes to the Brain Death)

  • 황병덕;정웅재;최령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9-170
    • /
    • 2011
  •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basic data on brain death by analyzing factors of influencing toward attitude to brain death subject to citizens of Busan City. The data was collected for 47 days from 14 July to 31 August, 2009. Among a total of 2200 cases of the questionaries, only 2042 ca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PSS 17.0 was used, and for the specific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examination on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 analyzing the factors for participants' consciousness on brain death,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understanding of relations between participants' will to brain death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high in those with will to donate their organs than those without in the attitude factors, namely, death recognition, acceptive, exclusive and religious attitude factors. Second, Significant variables for effects of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were gender, patients or their family's chronic or incurable diseases, religion, occupation and death recognition, acceptive, and exclusive attitude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