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oy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3초

Improved Inhibition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Replication by Intracellular Co-overexpression of TAR and RRE Decoys in Tandem Array

  • Lee, Seong-Wook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1권4호
    • /
    • pp.300-305
    • /
    • 2003
  • Intracellular expression of RNA decoys, such as TAR or RRE decoy, has been previously shown to protect immune cells from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HIV-1) replication by inhibiting the binding of the HIV-1 regulatory protein to the authentic HIV RNA sequence. However, HIV-1 challenge experiments of primary human T cells, which express the RNA decoy, demonstrated that the cells were only transiently protected, and hence, more improved protocols for HIV-1 inhibition with the RNA decoys need to be developed. In this report, in order to develop a more effective RNA decoy,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ability of a series of RNA decoy derivatives in inhibiting HIV-1 replication in CEM cells. Using an improved tRNA cassette to express high levels of RNA decoy transcripts in cells, we found that co-expression of both TAR and RRE decoys, in the form of an aligned sequence in a single transcription cassette, much more potently blocked cells from HIV-1 than the expression of only one kind of RNA decoy. This observation will have an important implication for experiments involving optimization of clinical applications in RNA decoy-based gene therapy against HIV-1.

디코이 안테나를 이용한 레이다의 ARM 방어 기술 (An anti-ARM technique using decoy antennas)

  • 채규수;임중수;김민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646-2650
    • /
    • 2009
  • 본 논문은 디코이(Decoy) 안테나를 사용하여 레이다를 보호하기 위한 레이다 전파회피 기술에 대한 것이다. 디코이 안테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방미사일(ARM) 수신기에 도달하는 감시 레이다 신호와 디코이 신호의 합성 신호의 위상과 진폭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다수 디코이의 배치 방법과 배치 거리에 따른 ARM의 요격효과를 시뮬레이션 하고, ARM 방어를 위한 효과적인 디코이 배치 방법 및 배치거리를 제안한다.

Engagement-Scenario-Based Decoy-Effect Simulation Against an Anti-ship Missile Considering Radar Cross Section and Evasive Maneuvers of Naval Ships

  • Kim, Kookhyun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8-246
    • /
    • 2021
  • The survivability of a naval ship is the ability of the ship and its onboard systems to remain functional and continue a designated mission in man-made hostile environments. A passive decoy system is primarily used as a weapon system for improving the survivability of a naval ship. In this study, an engagement scenario-based simulation program was developed for decoy effectiveness assessments against an anti-ship missile (ASM), which tracks a target with sea-skimming and active radar homing. The program can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a target ship, such as the radar cross section and evasive maneuvers, as well as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onboard decoy system, the guidance method of the ASM, and the engagement environment's wind speed and direc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theory and formulations, configuration, and user interface of the developed program. Numerical examples of a decoy effect assessment of a virtual naval ship against an ASM are presented.

탠덤 질량 분석을 위한 디코이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의 중복성 관점에서의 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Redundancy in Decoy Database Generation for Tandem Mass Analysis)

  • 이홍란;류단휘;이기욱;황규백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6-60
    • /
    • 2016
  • 탠덤 질량 분석에서는 신뢰도 높은 펩타이드 동정을 위해 목표 데이터베이스의 참조 단백질 순서를 재배치한 디코이 데이터베이스가 주로 이용된다. 한편 목표 데이터베이스와 디코이 데이터베이스 사이 혹은 디코이 데이터베이스 내부에 서열이 동일한 중복 펩타이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단백질 동정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디코이 데이터베이스의 중복성을 최소화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디코이 데이터베이스 생성에 널리 사용되는 의사셔플(pseudo-shuffling)과 의사역순(pseudo-reversing) 방법이 디코이 데이터베이스의 중복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목표 데이터베이스 크기와 데이터베이스 생성 시 허용되는 'missed cleavage site'의 최대 개수는 중복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한 조건에서는 의사역순 방법이 의사셔플보다 항상 낮은 수준의 중복성을 가지는 디코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였다.

DEVS 시뮬레이션을 사용한 능동기만기의 대함미사일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시간 검증 (Effective Response Time Verify of Active Decoy Against Anti-Ship Missile Using DEVS Simulation)

  • 최순호;조대호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495-501
    • /
    • 2015
  • 해상에서 운용되는 함정은 다양한 위협에 둘러싸여 있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위협적인 것은 다양한 환경과 플랫폼에서 발사가 가능한 대함미사일이다. 대함미사일은 함정의 레이더나 전자전 장비에 대하여 회피 기능까지 보유하고 있어 함정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 대함미사일에 의한 함정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이는 능동기만기는 대함미사일이 함정 대신 기만기를 추적하도록 유인하여 함정의 생존성을 높이는 장비로써 대함미사일 방어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 기법은 해상 환경에서 함정의 능동기만기를 사용하여 대함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방법론인 DEVS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를 적용하여 능동기만기의 효과적인 운용 시간을 검증한다. 이를 위해 함정, 대함미사일, 그리고 능동기만기를 각각 모델링하고 정의된 모델을 결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수행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수동형 기만기, 체공 고정형 기만기, 그리고 이동형 능동기만기 중에서 이동형 능동기만기의 운용 시간 우수성을 검증했고, 대함미사일로부터 함정 방어를 위한 이동형 능동기만기의 운용 시간에 따른 방어구역을 추정하였다.

RNA aptamer 발현을 통한 CD4+ peripheral blood lymphocytes에서의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 (Inhibition of HIV-1 Replication in CD4+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by Intracellular Expression of RNA Aptamer)

  • 이성욱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35-241
    • /
    • 2003
  • 제1형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HIV-1)의 Rev 단백질에 대하여 야생형보다 10배 더 잘 결합하도록 시험관에서 선택된 RRE40라 명명된 RNA aptamer가 과연 임상적으로 유용한지 알기 위하여 인체의 CD4^+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세포에서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RRE40 RNA를 발현한 후에 그 세포에서의 HIV-1 증식 현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인 tRNA를 발현하는 유전자가 전달된 세포에 비해 RRE40 RNA를 발현하는 세포에서 보다 더 효과적으로 HIV-1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그러나 바이러스의 증식이 완전히 억제되지는 못 하였고 일시적 또는 감소된 형태로 바이러스 증식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RRE40 RNA가 decoy로서 세포에서의 HIV-1 증식 억제에 유용함을 시사하지만 RNA decoy를 HIV-1 감염 환자의 치료에 이용하기 위해선 보다 효과적인 유전자 전달방법 및 보다 개선된 RNA decoy의 개발 등이 필요할 것이다.

Enhanced Anti-tumor Reactivity of Cytotoxic T Lymphocytes Expressing PD-1 Decoy

  • Jae Hun Shin;Hyung Bae Park;Kyungho Choi
    • IMMUNE NETWORK
    • /
    • 제16권2호
    • /
    • pp.134-139
    • /
    • 2016
  • Programmed death-1 (PD-1) is a strong negative regulator of T lymphocytes in tumor-microenvironment. By engaging PD-1 ligand (PD-L1) on tumor cells, PD-1 on T cell surface inhibits anti-tumor reactivity of tumor-infiltrating T cells. Systemic blockade of PD-1 function using blocking antibodies has shown significant therapeutic efficacy in clinical trials. However, approximately 10 to 15% of treated patients exhibited serious autoimmune responses due to the activation of self-reactive lymphocytes. To achieve selective activation of tumor-specific T cells, we generated T cells expressing a dominant-negative deletion mutant of PD-1 (PD-1 decoy) via retroviral transduction. PD-1 decoy increased IFN-γ secretion of antigen-specific T cells in response to tumor cells expressing the cognate antigen. Adoptive transfer of PD-1 decoy-expressing T cells into tumor-bearing mice potentiated T cell-mediated tumor regression. Thus, T cell-specific blockade of PD-1 could be a useful strategy for enhancing both efficacy and safety of anti-tumor T cell therapy.

Sp1 Decoy Oligodeoxynucleotides에 의한 사구체 혈관간세포 증식억제 효과 (Sp1 Decoy Oligodeoxynucleotides Inhibit Serum-induced Mesangial Cell Proliferation)

  • 채영미;김성영;박관규;장영제
    • KSBB Journal
    • /
    • 제19권5호
    • /
    • pp.335-340
    • /
    • 2004
  • Mesangial expansion caused by cell proliferation and glomerular extracellular matrix accumulation is one of the earliest renal abnormalties observed at the onset of hyperglycemia in diabetes mellitus. Transcription factor Sp1 is implicated in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a wide range of genes participating in cell proliferation, and is assumed to play an essential role in mesangial expansion,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1,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PAI)-1. We have generated a phosphorothioated double-stranded Sp1-decoy oligodeoxynucleotide that effectively blocks Sp1 binding to the promoter region for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GF-$\beta$1 and PAI-1. The Sp1 decoy oligodeoxynucleotide suppressed transcription of these cytokines and proliferation of primary rat mesangial cells in response to serum stim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p1 decoy oligodeoxynucleotide could bea powerful tool in preventing the pathogenesis of renal hypertrophy.

디코이 안테나를 이용한 ARM 방어 기술의 효과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for an anti-ARM technique using decoy antennas)

  • 임중수;채규수;김민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91-496
    • /
    • 2010
  • 본 논문은 ARM(Anti Radiation Missile)으로부터 레이다를 보호하기 위한 전파회피기술의 효과도 분석에 관한 것이다. 전파회피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디코이(Decoy) 안테나의 효과적인 배치와 ARM 수신기에 수신되는 전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디코이 안테나의 배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ARM 수신기에 도달하는 디코이 안테나 신호의 위상과 진폭을 분석하였고 이를 계산하는 Matlab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수 디코이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ARM의 공격효과를 다양하게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ARM 방어를 위한 효과적인 디코이 배치에 유용하게 활용 될 것이다.

동적 교전 시나리오에서 지상 추적 레이다에 대한 이탈방사체의 효과적 재밍/기만 영역 분석 (Evaluation of Effective Jamming/Deception Area of Active Decoy against Ground Tracking Radars on Dynamic Combat Scenarios)

  • 임재원;이상엽;고일석;백청;이승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269-278
    • /
    • 2017
  • 플랫폼과 이탈방사체가 동적인 상태에 있는 교전 시나리오에서 지상 추적 레이다에 대한 이탈방사체의 재밍/기만 효과를 분석한다. 플랫폼의 운동과 주변 간섭 유동장에 따른 이탈방사체의 궤적을 6자 유도 운동 방정식을 이용하여 해석한다. 실제적인 교전 시나리오에서 플랫폼과 이탈방사체의 운동 변화 및 이탈방사체의 RF 성능 변화에 따른 지상 추적 레이다에 대한 재밍 성능을 분석하며, 효과적인 지상 추적 레이다 기만을 위한 이탈방사체의 재밍 영역을 도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