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and-Oriented Curriculum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9초

컴퓨터-소프트웨어 분야 수요지향적 교과과정의 개발 (Development of Demand-Oriented Curriculum in the Computer-Software Field)

  • 노은하;박수희;장준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1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소프트웨어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기술 요소와 대학사이의 불균형을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정보통신부의 주도하에 개발된 산업체 수요지향적 교과과정 개발 과정과 그 결과를 다룬다. 컴퓨터-소프트웨어 분야를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 통합, 임베디드 시스템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 및 게임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정보 기술 등의 다섯 가지 세부 전공 트랙으로 세분하였다. 각 트랙에 대해 네 개의 수요지향적 교과목을 포함한 교과과정을 개발하였고, 수요지향적 교과목들의 상세강의개요와 과목교안을 개발하였다. 한편 이렇게 개발한 결과물을 활용하여 다수의 대학에서 2004년부터 실제 강의가 이루어져왔다.

  • PDF

실무공학교육을 위한 현장맞춤형교육과정 개발 사례 (Case Study of Field-Oriented Curriculum Development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신주경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5
    • /
    • 2017
  • 대학의 고등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서 역할을 다하여 노동시장의 미스매치 현상과 이로 인한 기업의 신입사원에 대한 재 교육비 소요 등의 불만 요소를 해소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산업사회의 수요에 대응하는 인력개발요구 및 기계분야 산업현장 요구를 충족시키는 교육과정에 있어서 제안된 능력단위를 근거로 해서 실무형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산업체 직무를 분석하여 영역별 요구 수준을 파악한 후,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에 따라 전문기술인력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과 높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인력양성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이러한 현장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을 통하여 재학생들의 취업률 향상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실시간 화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사이버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A basic study to develop Realtime video Korean curriculum: Focusing on female-marriage immigrants in Cyber University)

  • 최은지;한하림;서정민
    • 한국어교육
    • /
    • 제29권2호
    • /
    • pp.181-208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Real-time video Korean curriculum. Curriculum using real-time video, which is a variant of distance learning, teaches Korean to students studying in distant places through real-time video communication program. This is expected to supplement the lack of interaction in existing video classes and enable online simultaneous interaction, while increasing learning opportunities for Korean language students living in distance places. To find out the needs of the subjects for the curriculum design, this study conducted a one-on-one interview with 9 female married immigrants who are enrolled in the Cyber University which is opening a curriculum later. According to the survey,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have a high intention of attending classes if the lack of interaction in existing distance classes are supplemented. Therefore, we could confirm the demand of a curriculum consisting of an overall real-time video education and multilateral individual connection. Also, we found out that there is a demand in performance rather than comprehension and a high demand for detailed feedback from the teacher. The result shows that the curriculum needs to establish performance-oriented contents to progress to an advanced level Korean Language, and include a study plain comprising of real-time interaction.

치기공학과 교육과정 만족도 및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and curriculum demands)

  • 이선경;권순석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37-345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curriculum satisfaction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and curriculum demands. Methods: From March 5 to March 31, 2019, a self-writte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195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at a university in Gangwon-do. The analytical methods used wer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used for SPSS 18.0 for Windows statistics program. Results: The demand of the school education includes systematic experiments and demand of practical training, acquisition of professional knowledge, introduction of advanced technology curriculum, reduction of national examination-oriented curriculum, and increased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ism as professional professionals. Investigated by the ethics. In addition, they were strongly aware of the necessity of digital education related to CAD / CAM, and there was a high demand for how to operate programs, scanning and design. Conclusion: The curriculum needs to be reorganized to cultivate dental technicians in a changing era, and in-depth centralized curriculum in fields with high practical needs, as well as vocational and ethical views as professionals.

고등학교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 경기도내 2000년에서 2004년 건립될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ayout Types of High Schools - Focused on High Schools Which Were Built from 2000 to 2004 in Gyeonggi Province -)

  • 김미형;이을규;김준경
    • 교육시설
    • /
    • 제12권4호
    • /
    • pp.5-16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yout types by the characteristics of 24 high school sites in Gyeonggi-do. These 24 high schools were built to establish the learner-oriented education in high schools to comply with the 7th Curriculum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7th Curriculum has been altered from the supply-oriented to the demand-oriented and learner-oriented one since the year of 2000 to meet the demands of the fast moving society.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1) Literature were review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systems that supported architectural planning of existing high schools. 2)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high school sites were investigated and current move in planning of high school site was examined. 3) Layout types were classified by the configurations of existing high school buildings. The output of this study was used to find the architectural data such as building site, building coverage, floor area ratio, the number of floors, site shape, direction and front of building.

수요지향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3차원 기반의 메타모델 설계 기법 (A Design Technique of 3D-based Meta-model for Development of Demand-Oriented Curriculum)

  • 조은숙;박수희;장준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12
    • /
    • 2005
  • 대학에서 배출하는 IT 인력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력의 질적 수준 간에 많은 차이가 발생함으로 인해서 인력의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정보통신부에서는 IT 교과과정과 교과목을 설계하여 대학에 시범적으로 제시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교과과정 개발 과정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와 메타 모델 기반의 교과목 설계 기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기법은 이미 그 확장성이나 유연성, 그리고 품질 향상을 가져오고 있음이 이미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증명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접근을 적용함으로써 개발되는 교과 과정이나 교과목의 품질 및 확장성을 유도하리라 기대한다.

  • PDF

안내된 재발명을 포함한 탐구-중심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impact of inquiry-oriented instruction with guided reinvention on students' mathematical activities)

  • 김익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2호
    • /
    • pp.223-246
    • /
    • 2010
  • Goos(2004) introduced educational researchers' demand for change on the way that mathematics is taught in schools and the series of curriculum documents produced by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The documents have placed emphasis on the processes of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In Korea,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have also placed increased emphasis on mathematical activities such as reasoning and communication(1997, 2007).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inquiry-oriented instruction with guided reinvention on students' mathematical activities containing communication and reasoning for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inquiry-oriented instruction containing Polya's plausible reasoning, Freudenthal's guided reinvention, Forman's sociocultural approach of learning, and Vygotsky'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We analyze the impact of mathematical findings from inquiry-oriented instruction on students' mathematical activities containing communication and reasoning.

An Analysis of the Mathematical Tasks in the Korean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

  • Cho, Hyungmi;Kwon, Oh Na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4호
    • /
    • pp.245-263
    • /
    • 2012
  • The Korean mathematical curriculum has been changed three times during the resent five years. It led to changes in textbook system. In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orkbook was developed focusing on student's self-oriented learning, effective practice in differentiated classroom, and mathematics problem solving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s and the way the tasks are organized in the textbooks and the workbook in accordance with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comparing with the function section before and after the amendment. Researchers examine whether the textbook and workbook were accomplished the purpose with "cognitive expectation", "level of cognitive demand", "and "response types". Researchers revised framework of [Son, J. W. & Senk, S. (2010). How reform curricula in the USA and Korea present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 Educ. Stud. Math 74(2), 117-142] to make them suitable for the function section at the seventh grade.

교사의 수업 계획 및 실제 수업에서의 수학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 활용 연구 (How Teachers Use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Mathematics Lessons)

  • 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3호
    • /
    • pp.485-500
    • /
    • 2011
  • 수학 교사가 수업을 계획하고 계획한 수업을 실행할 때 교육과정 도서(교과서, 교사용지도서 등)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하여 시행된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 논문은 미국의 초등 교사들이 초등 수학 교육과정의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Everyday Mathematics의 교육과정 도서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또한 Everyday Mathematics가 가지는 교육과정 도서로써의 특징 요소들이 무엇인지 분석한다. 나아가 Stein & Kim(2009)의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과정 도서를 규명하는 특징 요소들과 교사들의 교육과정 도서의 활용 간의 연관성을 추정한다. 수집된 자료는 미국 초등 교사의 수학수업 관찰노트와 관찰 전후에 실시한 인터뷰, 수업 시간에 사용한 모든 문서와 자료, 그리고 Everyday Mathematics의 교사용 지도서 등이다. 분석 결과, Everyday Mathematics는 높은 수준의 인지적 노력(cognitive demand)을 필요로 하는 수학과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80 퍼센트), 교육과정 개발자들의 의도와 이유가 분명하게 드러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를 참조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있어서 지도서에서 제시한 문제나 활동을 변형하거나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가르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Everyday Mathematics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지적 노력 수준이 높은 수학 과제들의 27퍼센트만이 같은 수준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에서 실행 단계로 이동할 때 수학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이 감소하는 것은 교사용 지도서가 높은 인지적 노력수준의 수학 과제를 교사가 같은 수준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제대로 지원해 주지못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PDF

VR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VR Curriculum)

  • 송필재;류희삼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21-25
    • /
    • 2016
  • 본 논문은 VR산업 발전에 따라 2-3년제 대학에 VR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이다. 현재와 미래의 VR산업 동향을 사회적요구로 인식하고 지자체의 VR 단기 교육과정과 여러 대학의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VR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장비 산업에 비해서 2020년에 3배 이상의 성장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무 중심의 2-3년제 대학의 VR학과는 콘텐츠 중심의 교육과정이 많이 신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