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raining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9초

배구선수에서 Training과 Detraining 기간의 식행동 및 혈중 지질농도 (Food Habits and Serum Lipid Concentratons during the Periods of Training and Detraining in Volleyball Players)

  • 조여원;김지현;조미란;선우섭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31-238
    • /
    • 1999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12 college volleyball player's food behavior, nutrient intakes, and their serum lipid levels during the periods of training and detrain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n effective program for the volleyball players during the period of detraining after the game seas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total daily energy intake of the players was $3,363{\pm}339kcal and 3,692{\pm}499kcal$ during the periods of the training and detraining, respectively. During the training period, daily intakes of protein, calcium and vitamin A, and $B_2$ were lower than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for the players. During the detraining period, the players' daily intakes of calcium, iron, and vitamin A were even lower. However, the consumption of alcohol was dramatically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detraining.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 and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detraining period. Basal metabolic rat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training period and diastolic pressure was decreased during the detraining period. In conclusion, out results suggest that the detraining of volleyball players for 10 days after intensive training, negatively affects their food behavior and serum lipid concentrations. Therefore, for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for the next game season, a planned program for the players' detraining period should be developed.

  • PDF

수중운동이 여성노인 장애물보행 시 하지 협응에 미치는 영향 - 훈련 및 훈련잔여효과 중심으로 - (Effects of a Water Exercise on the Lower Extremities Coordination during Obstacle Gait in the Female Elderly - Focusing on Training and Detraining Effects -)

  • 윤석훈;장재관;김주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5-10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aining and detraining effects of a 8-week water exercise on lower extremities coordination during obstacle gait in the female elderly. Eight elderly participants (age: $76.58{\pm}4.97$ yrs, height: $148.88{\pm}7.19$ cm, body mass: $56.62{\pm}6.82$ kg, and leg length: $82.36{\pm}2.98$ cm), who stayed at the Seoul K welfare center,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ll participants had no history of orthopedic abnormality within the past 1 year and completed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which lasted for 8 weeks. To identify the training and detraining effect of 8 weeks of water exercise, a 3-D motion analysis with 7 infrared cameras and one force plate sampling frequency set at 100 Hz and 1,000 Hz, respectively, was performed. A two-way ANOVA was performed to find training and detraining effects among diferent obstacle heights. In this study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05. Significant training effects of LTS (lead foot thigh and shank) coordination in all obstacle height were found (p<.05). It is also found that the training effect of LTS remained 37%, 58%, and 25% in obstacle height of 30%, 40%, and 50%, respectively. Lead foot showed the greater detraining effect of coordination compared with trail foot, and SF (shank and foot) coordination revealed better detraining effects of coordination compare with TS (thigh and shank) in both feet. Based on the findings, a 8 week water exercise give an positive effects to the elderly in terms of segment cooperation which potentially helps reducing their accident falls. The magnitude of detraining may also help the elderly to find the retraining moment.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at lactate threshold and detraining for 12 weeks on body composition, aerobic performance, and stress related variables in obese women

  • Park, Hun-Young;Kim, Sungho;Kim, Younho;Park, Sangyun;Nam, Sang-Seok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28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 plus exercise training and detraining for 12 weeks on body composition, aerobic performance, and stress-related variables in obese women. [Methods] Twenty-five women in their 20s-40s with 30% body fat and body mass indices above 25 kg/m2 were divided into HRLT (heart rate at lactate threshold) and HRLT + 5% groups. Dietary intervention of 7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and exercise treatment composed of aerobic exercises on a bicycle (30 min) and treadmill (30 min) were then performed. These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Results] Dietary intak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daily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within the 12-week intervention period, and this effect was sustained after 12 weeks of detraining. Exercise training based on dietary intake and daily activity presented a significantly decreased weight and % body fat, improvement of aerobic performance,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heart rate variability (HRV) (e.g., average of all RR intervals and the square root mean squared differences of successive RR intervals) as stress-related variable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improvement of body composition and stress-related variables were maintained even after detraining.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70% RDA of dietary intervention and exercise training corresponding to HRLT and HRLT + 5% for 12 week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body composition and aerobic performance, and relieving stress. In particular, enhanced HRV persisted for up to 12 weeks after the end of exercise training in obese women.

8주간의 체중을 이용한 저항운동 시 전신진동 유·무에 따른 노인 여성하지의 발바닥쪽굽힘근의 생체역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Biomechanical Properties of Ankle Plantarflexors Following 8-week Resistance Training with or without Whole-Body Vibration in Older Women)

  • 한보람;이대연;정시우;이해동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9-415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with and without whole-body vibration(WBV) on the bi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lantarflexor in the elderly women (>60 yrs., n=35). Thirty-five volunte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resistance training with WBV group (RVT, n=14), a resistance training without WBV (RT, n=11), and a non-training control group (CON, n=10). The RVT and the RT groups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sessions three times a week for 8 weeks, followed by a 4-week detraining period. The CON group was instructed to refrain from any type of resistance training. To assess strength and activation of the plantarflexor muscles, maximum isometric ankle plantarflexion torque and muscle activation of the triceps surae muscles were measured using dynamometry, twitch interpolation technique and electromyography at four different ankle joint angles. Also, the lower extremity function was assessed by vertical jumping. Th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prior to, 2 and 8 weeks after the training and after a 4-week detraining period. Following the 8-week training sessions, an increase in the isometric plantarflexion strength was found to be greater for the RVT compared with the RT group (p<.05). Muscle inhibi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aining than before training only for the RVT (p<.05). Following the detraining period, a decrease in isometric plantarflexors strength and a increases in muscle inhibition were significantly less in the RVT compared with the RT group. In conclusion, the exercise with WBV is a feasible training modality for the elderly and seems to have a boosting effect when used with conventional resistance training.

비만중년여성에서 절식과 여러 수준의 유산소 트레이닝 후 운동중단이 지단백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training on Lipoprotein and Body Composition after 8 Week Calorie Restriction and Different Level of Aerobic Exercise among Obese Middle-aged Women)

  • 이창식;김용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2호
    • /
    • pp.165-176
    • /
    • 2010
  • 본 연구는 비만 중년 여성에서 절식과 여러 수준의 유산소 트레이닝을 실시한 후 운동 중단이 지단백 및 신체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목포시에 거주하고 있는 체지방율이 30% 이상인 중년 여성 30명이었다. 이들을 무작위로 10명씩을 절식만 하는 대조군, 절식과 40% 강도 운동을 하는 군, 절식과 60% 강도 운동을 하는 군으로 배정하였다. 8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은 운동부하 테스트를 실시하여 최대산소섭취량에 상응하는 최대심박수에 따라 실시하였다. 이 후 운동 중단 4주와 8주차의 신체적 변화 및 혈중지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비만 지표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중은 40% 운동군과 60% 운동군에서 운동8주후에 유의한 감소를 하였으며, 운동중단 후 다시 증가하였다. 둘째, BMI는 40% 운동군과 60% 운동군에서 운동 8주후에 유의한 감소를 하였으며, 운동중단 후 다시 증가하였다. 셋째, 체지방율는 40% 운동군과 60% 운동군에서 운동 8주후에 유의한 감소를 하였으며, 운동중단 후 다시 증가하였다. 혈중 지질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콜레스테롤(TC)은 40% 운동군과 60% 운동군에서 운동시기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운동직후 집단간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성지방(TG)의 경우 40% 운동군, 60% 운동군에서 운동시기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운동직후 집단간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의 경우 60% 운동군에서 운동직후 유의한 상승을 나타냈으며, 시기별 집단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의 경우 40%, 60%에서 운동시기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운동 직후 집단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일일 500kcal의 절식과 최대산소섭취량의 40% 운동과 60% 운동 강도를 8주간 실시하는 것은 체중조절을 위한 충분한 운동 강도와 기간이었다. 운동 중단을 하면 운동전 상태로 회귀하는 요요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운동 중단 후 4주 정도는 운동 효과가 아직 남아있으므로 운동을 그만 두더라도 적어도 1달 이내에 운동을 다시 시작하면 운동의 효과가 지속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탄력밴드 운동이 노인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지속적 효과 (The Effect of Elastic Band Exercise Training and De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Fitness in the Elder)

  • 소위영;송미순;조비룡;박연환;김연수;임재영;김선호;송욱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247-1259
    • /
    • 2009
  •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근육은 감소 현상(sarcopenia)을 나타낸다. 근육의 감소는 노인의 의료비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성은 없어 보이지만, 근육의 감소가 근력의 감소로 연결되어 체력의 약화, 활동성의 감소, 낙상의 증가 등과 같은 독립적인 생활을 감소시킨다. 이는 신체장애로 연결되며, 또다시 당뇨,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등과 같은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연결된다. 결국, 근감소증은 사망률을 상승시키는 잠재 위험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탄력밴드 운동을 통한 근감소증 예방과 관련된 변인인 신체조성 및 체력의 향상된 변화와 더불어 운동 중단에 따른 운동효과의 상쇄(相殺) 정도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피검자는 S시 J구 J노인복지관 운동프로그램에 참가하는 60-70대의 노인 14명으로 선정하였다. 12주 동안의 탄력밴드 운동은 주2회의 빈도로 실시하였다. 측정시기는 12주간의 통제전, 통제후(운동전), 12주간의 운동 후(운동중단 전), 12주간의 운동중단 후로 신체조성 과 체력 변인을 측정하였다. 12주간의 통제전·후 신체조성과 체력 변인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2주간의 운동전·후 신체조성의 체중(t=2.978, p=0.001), 체질량지수(t=3.502, p=0.004), 체지방율(t=2.216, p=0.045), 근육량(t=-3.837, p=0.002), 내장지방면적(t=5.186, p<0.001), 허리-엉덩이 둘레비(t=3.045, p=0.009) 모든 변인에서, 체력의 2분 제자리 걷기(t=-6.891 p<0.001), 덤벨들기(t=-4.702, p<0.001),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t=-4.860, p<0.001),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t=-5.910, p<0.001), 등 뒤에서 손잡기(t=-3.835, p=0.002), 244cm 왕복 걷기(t=7.560, p<0.001)의 모든 변인에서 운동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효과가 12주간의 운동중단 후에도 신체조성의 체중(t=2.323, p=0.037), 체질량지수(t=2.503, p=0.026), 근육량(t=-3.137, p=0.008) 변인에서, 체력의 2분 제자리 걷기(t=-6.489 p<0.001),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t=-4.694, p<0.001),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t=-3.690, p=0.003), 244cm 왕복 걷기(t=7.539, p<0.001)의 변인에서 그 유지가 지속되었다. 노인에게 있어서 탄력밴드 운동은 신체조성 및 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며, 그 운동의 효과가 12주가 경과되어도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영운동이 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 있어서 간 조직의 항산화물질 및 혈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wimming Training on Hepatic Antioxidant Enzyme and Serum Lipid in Cholestrol-Dietary Rats)

  • 백영호;김세중;정해영;최진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84-391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swimming training and cholesterol diet on the activation of hepatic antioxidant enzymes and serum lipid in Sprague Dawley rats(24 weeks of age). They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which were made up of normal-diet detraining group(C), 2% cholesterol-diet detraining group(CC), 2% cholesterol-diet swimming training groups which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training time(CSA: 12min, CSB:8min, CSC:4min). They were given normal diet for the first 6weeks and then, separated normal-dietary and 2% cholesterol-dietary for 14 weeks. During these periods, 10 weeks’ swimming training was performed after 4 weeks later. And then we analyzed blood and liver by decapitating those rats. Swimming training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he activation of GSH-peroxidase, Nonprotein-SH and malondialdehyde, and decrease total- cholesterol, LSL-C/HDL-C and VLDL significantly. Whereas, cholesterol diet which has no training showed decrease the activation of hepatic antioxodant enzymes, and increase total-cholesterol and LDL-C/HDL-C absolut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wimming training should stimulate the activation of hepatic antioxidant enzymes and decrease total-cholestrol even if they had cholesterol diet.

  • PDF

과훈련증후군과 면역반응의 임상적 분석 (The Clinical Evaluation between Overtraining Syndrome and Exercise-related Immunity)

  • 최승준;박송영;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324-1330
    • /
    • 2015
  • 운동에 종사하는 엘리트 운동선수나 동호인들은 지속적인 같은 동작의 반복, 잦은 경쟁스트레스의 경험, 그리고 신체적인 컨디션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의 과도한 훈련의 요구 때문에 근육, 건, 인대, 염좌 및 골절과 같은 부상을 비롯한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한다. 그리고 과도한 오버리칭, 경쟁불안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피로회복의 부족 등으로 운동기술의 정체를 비롯한 운동수행력의 감소는 물론 심리적인 스트레스와 면역반응의 감소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훈련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와 처치에 대해 분석하고 이러한 증후군과 면역반응과 연관성을 비교 및 분석하여 운동 동호인을 비롯한 운동 선수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면역력의 감소를 줄여, 운동수행력의 증진은 물론 건강유지와 면역력 회복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론에서는 과훈련 증후군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실험연구를 비롯한 관련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아울러 과훈련 증후군과 면역반응 및 알레르기 면역반응과의 연관성에 대해 면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많은 스포츠 현장에서 과훈련증후군에 관한 실험적인 연구와 면역반응 및 알레르기반응과의 연관성 분석을 토대로 한 실험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며, 본 연구가 많은 운동선수들과 동호인들의 건강관리는 물론, 면역력의 증가를 도모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COVID-19 시대의 건강관리를 위한 신체활동 고찰 (A Review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Care in the Era of COVID-19)

  • 유재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49-157
    • /
    • 2021
  • 2019년 11월에 중국 우한지역에서 발생한 COVID-19가 세계적 대유행(Pandemic)이 시작된 지도 1여년이 지났다. 2021년 1월 현재, 세계적으로 9천 5백여만 명이 감염되었으며, 사망자는 2백만여 명을 상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감염자가 7만 3천여 명, 사망자 1천 3백여 명에 달하여 감염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체육시설이 폐쇄되는 등 신체활동 환경에 많은 위축이 발생하였다. 국가 정책에 협조하면서도 감염의 예방과 건강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신체활동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심장병과 당뇨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골밀도를 개선시키며, 건강 수명의 연장과 노화에 따른 활동수행력을 유지시키고 심리적 불안과 우울증을 개선시키는 신체활동의 이득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COVID-19 감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인한 운동중단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리적 변화들을 고찰하였다. 중정도의 유산소운동은 자연살해세포와 호중성백혈구, 항체반응을 활성화시켜 면역기능 강화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장시간 고강도 운동은 운동 후 수 시간 동안 혈중 B-세포, T-세포, 자연살해세포의 수준과 기능을 감소시키며 비강의 호중성 백혈구의 식균작용을 저하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증가시켜 면역기능을 일시적으로 떨어뜨려 감염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COVID-19 시대에는 면역기능에 장애를 초래하는 마라톤 같은 장시간 고강도 운동은 자제하고, 감염예방에 도움을 주는 빠르게 걷기 같은 중강도의 규칙적인 유산소성 운동과 근육량 감소를 예방하기 위한 저항운동에 참여할 것을 권장하고자 한다.

운동빈도의 차이가 식이유도 운동알레르기 질환과 관련기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Physical Frequency on Food-Dependent Exercise Induced Allergy Anaphylaxis (FDEIA) and Related Mechanisms)

  • 김철우;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97-90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적절하게 알레르기가 유발되는 운동강도인 50분간의 강도를 선정한 후 운동빈도를 서로 달리하여 통제 그룹(S) 저빈도 그룹(F2, 주2회), 중빈도 그룹(F3, 주 3회) 및 고빈도 그룹(F5, 주5회)으로 나누어 훈련을 부여하고 OVA알부민으로 감작한 후 OVA로 challenge를 하였을 때, 알레르기 아나플락시스의 변화 양상 차이를 살펴보고 동시에 기전변화를 함께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그룹당 25마리씩 통제군(S; control sensitized, n=25), 저빈도 훈련군(F2, n=25), 중빈도 훈련군(F3, n=25) 및 고빈도 훈련군(F5, n=25)으로 구분하여 수영훈련 빈도에 따른 알레르기를 유도하였을 때, 알레르기 아나플락시스를 조사하고 아울러 비장지수, 림프구의 수, 복강 ROS, ASAS, 및 싸이토카인(INF-${\gamma}$, IL-4)의 변화를 함께 측정하였다. 이 때, 알러지 아나플락시스 테스트는 그룹당 10마리를 사용하였고, 나머지는 세포분석과 ROS 측정을 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일반 감작군에 비하여 운동 감작군에서 알러지가 더 잘 유도됨을 알 수 있었고, 같은 운동강도 부여시 저빈도의 운동군에 비하여 고빈도 운동군에서 알러지 반응이 더 잘 일어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고빈도 운동군에서 현저히 증가되는 IL-4 반응과 ASAS 반응으로 알 수 있었고, 특히 이러한 반응이 고빈도 운동그룹에서 현저히 증가하는 ROS 반응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저빈도 그룹에서는 오히려 INF-${\gamma}$의 증가와 ROS 반응이 감소하였고, ASAS 반응이 통제군보다 오히려 줄어들어 운동의 빈도가 알레르기반응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이러한 원인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요구되며, 알레르기 반응의 cross training 및 detraining 효과도 함께 규명 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