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ice-to-Device %28D2D%29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113초

전송선로에 적용한 Low-k 고분자 복합 잉크 개발 (Low-k Polymer Composite Ink Applied to Transmission Line)

  • 남현진;정재웅;서덕진;김지수;유종인;박세훈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9-105
    • /
    • 2022
  • 칩사이즈가 작아짐에 따라 선폭 또한 미세화되면서 인터커넥션의 밀집정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로 인해 캐패시터 층과 전기전도층의 저항 차이로 인해 RC delay가 문제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높은 전기전도도의 전극과 낮은 유전율의 유전체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PCB (Print Circuit Board)의 회로를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상용 PSR (photo solder resist)과 우수한 내열 및 저유전 특성을 보유한 PI (polyimide)를 혼합하여 저유전체 잉크 개발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PSR과 PI를 10:3으로 혼합한 잉크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20 GHz와 28 GHz에서 각각 유전 상수 약 2.6, 2.37을 보였고, 유전손실은 약 0.022, 0.016으로 측정되었다. 차후 어플리케이션 적용 가능성 검증을 위해 테프론에 제작된 다양한 선폭의 전송선로에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PSR만 사용했을 때보다 PI와 혼합한 저유전체 잉크를 사용한 전송선로의 손실이 S21에서 평균 0.12 dB 덜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이중 광 콜리메터와 바이메탈 엑추에이터를 이용한 가변 광감쇠기 (Variable Optical Attenuator Incorporating Dual Fiber Collimator and Bi-metal Actuator)

  • 김광택;김덕봉;고한준
    • 한국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8-31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이중 광 콜리메터 광학계와 바이메탈 엑추에이터를 이용한 가변 광감쇠기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입력광섬유와 출력광섬유 사이의 광손실은 바이메탈에 부착된 반사거울의 기울어진 각으로 조절되어진다. 바이메탈은 열전소자(TEC)에 의해 가열되거나 냉각되며 이로 인해 구부림이나 펴짐으로 인하여 반사거울을 움직이게 한다. TEC에 가해지는 전기신호로 원하는 광감쇠량을 얻을 수 있다. 제작된 소자는 0.5 dB의 삽입손실, 0.2 dB의 편광의존성 손실 및 40 dB 이상의 가변변위를 보였다. 반응 시간은 약 5초였다.

유연한 투명 전자기 간섭 차폐 필름의 기술개발 동향 (Technical Trends of Flexible, Transparen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Film)

  • 임현수;오정민;김종웅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1-29
    • /
    • 2021
  • Recently, semiconductor chips and electronic component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in IT devices such as wearable watches, autonomous vehicles, and smart phones.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device malfunctions that may occur due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eing entangled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electromagnetic wave emissions from wearable or flexible smart devices have detrimental effects on human health. Therefore, flexible and transparen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ing materials and films with high optical transmittance and outstanding shielding effectiveness have been gaining more attention. The EMI shielding films for flexible and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s must exhibit high shielding effectiveness, high optical transmittance, high flexibility, ultrathin and excellent durability. Meanwhile, in order to prepare this EMI shielding films, many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and results regarding excellent EMI shielding performance of a new materials such as carbon nano tube (CNT), graphene, Ag nano wire and MXene have recently been reported. Thus, in this paper, we review the latest research results to EMI shielding films for flexible and transparent device using the new materials.

딥벨트를 이용한 일회성 가로막 호흡운동이 가로막 움직임과 노력성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ute diaphragmatic breathing exercise using DiP Belt on diaphragm motion and forced vital capacity)

  • 이재석;강태욱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7-65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diaphragmatic breathing exercise using a DiP Belt(Diaphragmatic Pressure Belt)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diaphragmatic motion and forced vital capacity. Design: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s: A total of 44 subjects(15 male, 29 fema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measured the diaphragmatic motion with a sonography and the Forced Vital Capacity(FVC) was measured with a digital spirometer. After 4 weeks, the subjects were intervened the diaphragmatic breathing exercise using a DiP belt and were remeasured for diaphragm motion and FVC. Results: After exercise intervention, quiet breathing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change in diaphragmatic motion and showed a moderate effect size (p<.01, Cohen's d = -0.53). In addition,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deep breathing and showed a high effect size (p<.001, Cohen's d = -1.32). The mean diaphragmatic contraction pressure in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peak diaphragmatic contraction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p<.05). Both diaphragmatic contraction pressure showed small effect sizes (respectively Cohen's d = -0.28, -0.33). In spirometr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and FEV1/FVC% all in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ly peak expiratory flow increased significantly and showed a small effect size (p<.05, Cohen's d = -0.41). Conclusion: The DiP belt diaphragmatic breathing exercise that the principle of visual feedback can correct diaphragm breathing in a short time, so it is a useful breathing exercise device that can help the diaphragm breathing exercise in the right way in clinical practice.

새로운 정공차폐 층 (Hole blocking layer)으로 DCJTB 도핑된 24MeSAlq를 이용한 백색유기발광다이오드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DCJTB-Doped 24MeSAlq as a New Hole-Blocking Layer)

  • 김미숙;임종태;염근영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1-234
    • /
    • 2006
  • To obtain balanced white-emission and high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a deep blue emitter made of N,N'-diphenyl-N,N'-bis(1-naphthyl)- (1,1'-biphenyl)-4,4'-diamine (NPB) emitter and a new red emitter made of the Bis(2,4 -dimethyl-8-quinolinolato)(triphenylsilanolato)aluminum(III) (24MeSAlq) doped with red fluorescent 4-(dicyanomethylene)-2-tert-butyl-6-(1,1,7,7-tetramethyljulolidyl-9-enyl)-4H -pyran (DCJTB) were used and the device was tuned b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DCJTB-doped 24MeSAlq and $Alq_3$. For the white OLED with 10 nm thickness DCJTB (0.5%) doped 24MeSAlq and 45 nm thick $Alq_3$, the maximum luminance of about 29,700 $Cd/m^2$ could be obtained at 14.8 V. Also, Commission Internationale d'Eclairage (CIE) chromaticity coordinates of (0.32, 0.28) at about 100 $Cd/m^2$, which is very close to white light equi-energy point (0.33, 0.33), could be obtained.

리프팅 스킴의 2차원 이산 웨이브릿 변환 하드웨어 구현을 위한 고속 프로세서 구조 및 2차원 데이터 스케줄링 방법 (A Fast Processor Architecture and 2-D Data Scheduling Method to Implement the Lifting Scheme 2-D Discrete Wavelet Transform)

  • 김종욱;정정화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2권4호
    • /
    • pp.19-2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리프팅 스킴의 2차원 고속 웨이블릿 변환에서 2차원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고, 내부 메모리 사이즈를 감소시키는 병렬 처리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의 리프팅 스킴을 이용한 병력 처리 2차원 웨이블릿 변환 구조는 행 방향의 예측, 보상 연산 모듈과 열 방향의 예측 보상 연산 모듈로 구성되며, 2차원 웨이블릿에서 역 방향 변환을 위해서는 행 방향의 결과가 나와야 하고, 열 방향 연산을 위한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행 방향의 샘플 데이터 수만큼의 시차를 갖고 발생함으로 내부 버퍼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제안하는 구조에서는 행 방향 연간에 있어서 짝수 행과 홀수 행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구조와 데이터 흐름을 구성하여 속도를 향상시키고, 열 방향 연산의 시작 지연 시간을 단축 시켰다. 그리고, 행 방향 처리 결과를 버퍼에 저장하지 않고 열 방향 연산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열 방향 처리 모듈을 개선하였다. 제안하는 구조는 입력 데이터를 4개의 분한 셋으로 분할하여 기존의 2개의 입력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에서 4개의 입력 데이터를 동시에 받아 처리 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흐름과 각 모듈의 연산 제어를 구성하였다. 그 결과 행 방향연산 속도를 향상시키고, 열 방향 연산 수행의 지연을 줄여 내부 버퍼 메모리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었다. 제안하는 데이터흐름과 하드웨어 구조를 이용하여 VHDL을 이용하여 설계한 결과 기존의 $N^2/2+\alpha$의 전체 처리 시간을 $N^2/4+\beta$로 줄이는 결과를 얻었고, 내부 메모리 역시 기존의 방법에 비해 최대 $50\%$까지 줄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이 길었다. D, F 2개 시험구의 부화된 계통수는 각 48계통, 29계통으로 전체 조사계통의 15.6%, 9.4%를 차지하였다. D, F시험구의 평균부화비율은 각 54.5%, 71.6%였으며 평균사란비율은 각 33.0%, 25.0%였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보면 D, F 두 시험구 모두 최청사란비율이 일반계통보다 높게 나타나 월년잠종의 2년간 냉장보존을 위해서는 최청사란비율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최청 조건의 재검토가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L)보다 높았다. 특히, 0.5 mM의 salicylic acid를 처리한 경우는 control에 비해 1.74배로 증가하였다. Methyl jasmonate 100 mM을 배양 6일째 첨가했을 때의 세포생장 변화를 보면, 첨가 후 2일이 지나면서부터 세포의 양이 크게 감소하기 시작하여 첨가 4일 후부터는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methyl jasmonate를 처리 후 4일이 지나면 세포가 모두 죽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ethyl jasmonate 100 mM을 첨가한 후 4일째에 수확한 세포로부터 나온 oleanolic acid의 앙은 5.3 mg/L로 매우 적었다. 반면에 첨가 후 2일째에 수확한 세포로부터 나온 양은 94.1 mg/L로 control (43.4 mg/L)에 비해 2.17배로 증가되었다.재래시장과 백화점에서 시판되고 있는 계란 총 446개에 대해서도 동일한 절차와 방법으로 조사하였던바, 재래시장에서 구입했던 계란의 난각부분(Egg-shell)에서만 가금티푸스(fowl Typhoid)의 병원체인 S. gallinarum이 1주$(0.2\%)$만이 분리되었고, 기타 세균으로서는 대장균군이 역시 난각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고,

태양의 위치에 따른 광파이프 시스템의 실내 주광환경평가 (Assessment of Daylight Environment on Light Pipe System Under Different Solar Position)

  • 신화영;김정태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78-86
    • /
    • 2008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daylight environment of a light pipe system according to sun movement. A light pipe system has been mounted on the roof of the windowless full scale model: the solar spot has diameter of 0.65m and is 1.3m long, giving an aspect ratio of 1:2. The full scale model was installed on the rooftop of the SHINAN apartment in Yongin city that has no obstructions against sunlight. The test room is equipped with sensors for the measurements of the internal illuminance and has an area of 6m(W)$\times$6m(D)$\times$4m(H). The system has been monitored with a data-logger to evaluate the cumulative distribution of illuminance on a floor-plane from 16th, April to 29th, May, 2008 over one month and selected clear sky condition. For the daylight performance of floor area, the totally 49 measuring points has been used to determine the internal illuminance and an HP datalogger(HP34970A) records the measurements for one consecutive month. The horizontal external illuminance has been measured with two outdoor sensors.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monitoring light pipe system with internal/external illuminance ratio and cumulative frequency distribution of floor-plane illuminance are discussed The results show that lightpipe is proficient device for introducing daylight into the building. However It provided different daylight indoor environment with wide or narrow Interquatile range of illuminance, internal/external illuminance ratio and cumulative frequency distribution according to solar positions under suuny sky condition. For more achieving the improvement of lightpipes also include energy savings, user visual comfort with various indicators; seasonal solar height, room and lightpipes geometries.

Pb/La 조성에 따른 ( Pb, La ) $TiO_3$ 박막의 특성 변화 (Characteristics of the ( Pb, La ) $TiO_3$ Thin Films with Pb/La Compositions)

  • 강성준;정양희;윤영섭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1호
    • /
    • pp.29-37
    • /
    • 1999
  • La 농도에 따른 PLT 박막을 sol-gel법으로 제작하여, La 농도가 PLT 박막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양을 조사하였다. La 농도가 5 mol%에서 28 mol%로 증가함에 따라 10KHz의 주파수에서 비유전률은 428에서 761로 증가하였고 유전손실은 0.063에서 0.024로 감소하였으며, 누설전류밀도는 150kV/cm의 전기장에서 6.96${\mu}A/cm^2$에서 0.79${\mu}A/cm^2$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La 농도에 따른 PLT 박막의 이력곡선을 측정한 결과, La의 농도가 5mol%에서 28mol%로 증가함에 따라 잔류분극은 9.55${\mu}C/cm^2$ 에서 1.10${\mu}C/cm^2$ 으로 항전계는 46.4kV/cm에서 13.7kV/cm로 감소하였다. La 농도를 5 mol%에서 28 mol% 까지 변화시킨 PLT 박막에 대한 피로특성을 조사한 결과, La 농도가 증가할수록 피로특성이 현저히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La 농도가 28mol%인 PLT 박막의 경우, 상유전상을 가지며 5V에서 전하축적밀도와 누설전류밀도는 각각 134fC/${\mu}cm^2$과 1.01${\mu}A/cm^2$ 이었으며, La 농도가 10mol%인 PLT 박막은 6.96${\mu}C/cm^2$의 잔류분극과 40.2kV/cm의 항전계를 가졌다. 또한 ${\pm}5V$ 의 사각펄스를 $10^9$회 가한 후에도 잔류분극의 값이 약 20% 감소하는 비교적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La이 10mol% 와 28mol% 첨가된 PLT 박막은 각각 NVFRAM과 차세대 DRAM 용 캐패시터 절연막으로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망한 재료라 생각할 수 있다.

  • PDF

폐광산 인근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중금속 오염도 평가 (Risk Assessment about Heavy Metals Contamina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at Abandoned Mine Area)

  • 안재민;장순영;황향란;박대한;이봄내;김샛별;이광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0-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 36개 폐광산 인근지역에서 생산되는 25개 농산물 1,059건에 대하여 카드뮴, 납, 비소 오염도 조사와 더불어 위험평가를 실시하였다. 정량한계는 카드뮴 0.59 ㎍/kg, 납 0.42 ㎍/kg, 총비소 0.55 ㎍/kg, 무기비소 화학종에서는 arsenite [(As(III)) 1.74 ㎍/kg], arsenate[(As(V)) 2.25 ㎍/kg]이었으며, 직선성은 모두 0.9995 이상으로 나타났고, 무기비소의 함량은 arsenite (As(III))와 arsenate(As(V))의 합으로 하였다. 평균 회수율은 카드뮴 96.3-97.7%, 납 95.8-98.2%, 총비소 96.1-98.0%, arsenite 94.8%, arsenate 115.4% 이었고, C.V.% (Coefficient of Varidation)는 모두 5% 미만으로 나타났다. 농산물의 중금속 평균 함량은 도라지 0.244±0.164 mg/kg, 대파 0.145±0.133 mg/kg, 참깨 0.124±0.136 mg/kg, 고사리 0.109±0.070 mg/kg, 취나물 0.103±0.093 mg/kg, 마늘 0.071±0.063 mg/kg의 순으로 카드뮴의 오염도가 높았고, 납은 참깨 0.040±0.085 mg/kg, 도라지 0.039±0.056 mg/kg, 고구마 0.034±0.058 mg/kg, 들깻잎 0.034±0.016 mg/kg, 호박 0.032±0.065 mg/kg, 매실 0.028±0.012 mg/kg의 순으로 높은 오염도를 보였다. 무기비소는 쌀에 한하여 조사되었는데 평균 0.082±0.035 mg/kg의 오염도를 보였다. 카드뮴의 경우 쌀 1.19×10-1 ㎍/kg b.w./day(14.37% of PTMI), 대파 2.77×10-2 ㎍/kg b.w./day(3.34% of PTMI), 감자 2.08×10-2 ㎍/kg b.w./day(2.51% of PTMI), 사과 1.39×10-2 ㎍/kg b.w./day(1.67% of PTMI), 양파 1.13×10-2 ㎍/kg b.w./day(1.37% of PTMI)의 순이었고, 납의 경우 사과 1.29×10-2 ㎍/kg b.w./day (2.05% of PTWI), 고구마 7.49×10-3 ㎍/kg b.w./day (1.19% of PTWI), 쌀 7.15×10-3 ㎍/kg b.w./day (1.14% of PTWI), 호박 5.01×10-3 ㎍/kg b.w./day (0.79% of PTWI), 양파 4.80×10-3 ㎍/kg b.w./day (0.76% of PTWI)의 순으로 납 노출량이 높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 25개 품목 농산물을 모두 일시에 섭취한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카드뮴은 PTMI 대비 28.21%, 납은 PTWI 대비 7.94%, 무기비소는 쌀 단일품목에 한해 PTWI 대비 15.16%의 위해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에서 진행하였던 중금속에 대한 인체 위해정도는 우려할 수준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