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gnostic wax up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159초

디지털 복제로 만든 맞춤형 인공치로 제작한 임시의치와 임플란트 수술용 템플릿을 통한 임플란트 지지형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with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using digital duplication technique on customized artificial tooth, interim denture and implant surgical template: A case report)

  • 정대길;오경철;심준성;박지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97-404
    • /
    • 2019
  • 성공적인 임플란트 치료를 위해서는 식립부위의 골조직 및 연조직 상태(condition)도 중요하지만 식립 위치 또한 매우 중요하다. 잘못된 위치에 식립된 임플란트는 생물학적, 심미적, 기계적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올바른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최종 보철물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진단 왁스업 과정이 필요하다. 발치 후 사용 할 임시 의치의 인공치를 진단 왁스업 형태대로 제작하면 구강내에서 진단 왁스업 형태를 평가해 볼 수 있으며, 잘 적응된 임시 의치를 복제해 제작한 임플란트 수술용 템플릿으로 계획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증례에서는 진단 왁스업을 디지털 복제하여 의치용 인공치를 맞춤형으로 제작하였고, 이를 이용해 임시 의치를 제작하였다. 충분한 적응 기간을 거친 후 임시 의치를 복제하여 임플란트 수술용 템플릿을 제작한 다음, 이를 활용하여 계획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골유착을 위한 충분한 치유기간을 가진 다음 진단 왁스업 형태가 반영된 임플란트 지지형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최종 보철물 장착 후 6개월간의 경과 관찰 기간 동안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마모가 심한 환자의 전악 고정성보철물 제작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severe tooth wear using fixed prosthesis)

  • 김욱태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09-417
    • /
    • 2020
  • This case study is aimed at introducing a full-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severe tooth wear using fixed prosthesis. This is a case report of a patient with severe wear dentition with changing vertical dimension. In line with using prosthetic treatment, patient adaptation was verified with provisional restorations followed by diagnostic wax-up. Function, esthetics, and occlusal stability were verified during a 4-week follow up period. Prosthodontic reconstruction based on systemic analysis,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led to satisfactory results after delivery of definitive prosthesis. Prosthetic treatment of severe wear dentition was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successful. Dentists and dental technicians would be able to develop better treatment approaches using fixed dental prosthesis.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partially and fully edentulous patient with crown lengthening procedure: a case report

  • Seol, Hyon-Woo;Koak, Jai-Young;Kim, Seong-Kyun;Heo, Seong-Jo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2권2호
    • /
    • pp.50-53
    • /
    • 2010
  • BACKGROUND. In order to restore severely attrited teeth properly, surgical intervention in the form of a crown-lengthening procedure may be required. And also, proper diagnosis and treatment sequencing is critical to obtain a successful results. Adequate diagnostic wax-up ensures good esthetics and healthy periodontal tissue. CASE DESCRIPTION. This clinical case report describes a diagnostically based protocol for restoration on mandibular anterior teeth with crown lengthening procedure and the treatment of partially edentulous mandible combined with an edentulous maxilla. In addition, the effort to prevent the combination syndrome was described. CLINICAL IMPLICATION. An interdisciplinary diagnosis and examination through visualization of the desired results ensure conservative and more predictable outcome.

Full mouth rehabilitation on a bilateral condylar fractured patient using orthognathic surgery and dental implant

  • Park, Jee-Youn;Ahn, Kang-Min;Lee, Joo-Hee;Cha, Hyun-Suk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3권1호
    • /
    • pp.51-55
    • /
    • 2011
  • BACKGROUND. Mandibular displacement is a common complication of condylar fracture. In the mandibular displacement due to condylar fracture, it is difficult to restore both esthetics and function without using orthognathic surgery. CASE DESCRIPTION. This clinical report described a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the patient with bilateral condylar fractures and displaced mandible using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and simultaneous dental implant surgery. Mandibular position was determined by model surgery through the diagnostic wax up and restoration of fractured teeth. The precise amount of the mandibular shift can be obtained from the ideal intercuspation of remaining teeth. CLINICAL IMPLICATION. Mandibular displacement by both condylar fractures can be successfully treated by orthognathic surgery. Determination of occlusal plane and visualization from diagnostic wax up are mandatory for mandibular repositioning of model surgery. Stable occlusion and regular recall check up are needed for long-term outcome.

가압주조방식인 IPS Empress로 세라믹 주조체를 제작 후 적층 형 성한 라미네이트 제작 증례 (Laminate production by manufacturing ceramic casting body and laminating using IPS Empress: a pressure casting method)

  • 김욱태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81-86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observe the effect of laminate veneer on patient's teeth based on the manufacturing of laminate veneer restorations, which are produced by fabricating a ceramic cast body using IPS Empress, a pressure casting method and then forming the veneer by layering. Subsequently, we assessed the potential of its clinical application. Methods: This study discusses and preserves various treatment plans, such as diagnostic wax-up and treatment room diagnosis, for patients who visit the hospital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eeth due to diastema of maxillary teeth, inexperienced resin filling, lack of esthetics, and external teeth. A ceramic cast body is constructed using IPS Empress, which is an effective and aesthetic restoration pressure casting method to restore the veneer with a laminate made by layering. Results: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state, the frontal view of the patient after the final restoration showed the formation of a natural smile line; the space between the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was filled in synchronously with the adjacent teeth. In addition, the emergence profile is maintained by reducing the over-contour as much as possible. Conclusion: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is improved by providing them with a satisfactory natural smile.

Porcelain laminate veneer의 수복 (Porcelain Laminate Veneer Restoration)

  • 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2호
    • /
    • pp.191-200
    • /
    • 2012
  • 도재 라미네이트 비니어(Porcelain laminate veneer, PLV)는 아주 얇은 도재를 치면에 직접 적용시키는 술식으로 전치부 심미 개선을 목적으로 전부피개관 대신에 보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PLV의 성공을 높이기 위해 치질 삭제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 치아마다 법랑질 두께가 다양하고 증령에 따라 치관구조 역시 변화하기 때문에 치아 삭제시 주의가 필요하다. 즉 치아 순면을 따라 일관되게 삭제하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경우 법랑질이 얇아진 부위에서는 상아질이 노출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치아 삭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진단 납형제작을 통한 실리콘 인덱스와 아크릴릭 레진 mock-up을 이용한 방법은 최종적인 수복물의 형태에 기초하여 치아를 삭제할 수 있어 불필요한 법랑질 삭제를 줄이고 상아질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비정상적으로 배열된 치아 삭제시에도 적절한 삭제량 결정이 어려워 삭제량이 과도해지거나 부족해지기 쉬운데, 최종 보철물의 형태를 기준으로 실리콘 인덱스를 제작하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과개교합 환자에서 도재 라미네이트 비니어와 전부도재관을 이용한 심미수복 증례 (Esthetic improvement in patient with deep bite using porcelain laminate veneers and a full veneer crown)

  • 윤종상;신수연;이종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2호
    • /
    • pp.192-198
    • /
    • 2014
  • 본 증례는 심미적인 개선을 위해 내원한 30대 여성에서 도재 라미네이트 비니어(porcelain laminate veneer: PLV)와 전 부도재관을 이용하여 치료를 시행한 증례로서, 환자는 앞니가 튀어나오고 고르지 않다는 주소로 내원하였고 최소의 치아 삭제를 원하였다. 환자는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이었으며, 진단 납형 제작 시 이를 고려하기 위해 체크 바이트법을 이용하여 교합기에 마운팅 하였고, 진단 납형 제작한 상태의 mock-up을 이용하여 치아 삭제를 시행한 후 삭제량을 인덱스로 확인하였다. 보철물의 전체적인 색조의 조화를 위해 도재 라미네이트 비니어를 먼저 수복하였고, 전부도재관의 지대치 색상을 고려한 뒤 수복하여 만족스러운 심미성의 개선을 얻을 수 있었다.

전치부의 심미 수복을 위하여 Digital Smile Design을 적용한 증례 (Use of Digital Smile Design in esthetic restoration in anterior teeth: A case report)

  • 신세준;노관태;권긍록;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64-170
    • /
    • 2017
  • 다른 보철 수복에 비하여 전치부의 수복을 위해서는 치료 계획 단계에서 환자 요구도를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된다. 임상 사진과 프리젠테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Digital Smile Design (이하 DSD)방식은 치료 계획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어 환자 및 기공사과의 의사 소통이 용이하다. 본 증례에서는 기존 보철물에 대하여 심미적 불만을 갖고 있는 환자에서, 두 가지 방식으로 재수복을 진행하였다: (1) 심미 진단, 미소 설계와 의사소통을 위하여 DSD 방식을 이용하고, 임시 및 최종 보철물 제작에 전적으로 디지털 방식을 사용한 경우 (2) 미소 설계를 위해 진단 납형을 이용하고 보철물은 통법대로 제작한 경우. 이 증례에서 의사 소통의 측면에서는 DSD방식이 수월하였으나, (1)의 방법으로는 심미적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여, 예지성 있는 결과를 위해서는 성공적 의사 소통 이외에도 다양한 심미 요소를 고려한 진보된 형태의 미소 설계 도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심한 마모로 인하여 교합이 붕괴된 환자의 다양한 디지털 도구를 이용한 완전 구강회복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using various digital tools in a patient with collapsed bite due to severe attrition)

  • 문수인;이영후;홍성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백장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20-329
    • /
    • 2022
  • 생리적 마모는 일생 동안 불가피하게 일어나고 정상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병적인 마모는 교합면에 치명적 손상을 야기하고 심미 및 적절한 전방유도를 파괴 할 수 있다. 따라서 교합면 마모 회복을 위해서는 철저한 평가와 진단이 필요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치아 순면과 상악 치아 설면의 심한 마모를 보였다. 수직교합고경을 분석 하였고, 부족한 보철수복공간을 회복을 위해 수직교합고경을 높여서 치료하기로 하였다. 수직교합고경이 결정 된 후에는 보통 진단 왁스업을 하여 치료를 진행한다. 본 증례는 심한 마모로 인한 교합붕괴 및 수직교합고경이 상실된 환자에서, 기존의 진단왁스업 과정을 다양한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대체하였다. 진단왁스업은 소프트웨어에서 디자인되어 디지털로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임시보철물 검증을 통해, 수직교합고경 및 적절한 전방유도로 회복되었다.

광범위한 치질 상실로 인해 수직 고경 감소 환자의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a patient with loss of vertical dimension caused by severe tooth loss: a case report)

  • 윤아영;심혜원;안진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2-47
    • /
    • 2014
  • 광범위한 치아 상실과 마모로 인한 교합면의 파괴로 수직고경이 감소된 경우 안모의 변화, 전방 유도의 상실로 인한 반대 교합을 보일 수 있으며, 또한 턱관절의 문제를 발생 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교합 수직 고경의 증가를 통한 전악 수복을 고려할 수 있으며, 적절한 환자의 수직 고경 평가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80세의 남자 환자로 전반적인 보철계획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치아상실 및 마모에 따른 전치부의 반대 교합과 교합 수직 고경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진단 모형과 방사선 사진, 임상적 검사를 이용하여 교합 관계를 분석하여 교합 수직 고경 증가를 결정하였다. 진단 wax up을 시행하였고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3개월의 적응 기간 후 상악 고정성 보철물과 하악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로 최종 수복하였다. 장착 후 8개월경과 관찰 중이며 양호한 심미적 기능적 개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