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Etiquett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을 위한 기침예절 지식과 실행수준 및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 연구 (Knowledge, Compliance, and affecting factors of the Cough Etiquette to Prevent th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Transmission on Convergence Study)

  • 김옥선;윤성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389-398
    • /
    • 2018
  • 본 연구는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을 위한 기침예절에 대한 지식과 실행수준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2018년 8월 13일부터 9월 19일까지 19세 이상 성인 25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213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기침예절 지식과 실행수준은 100점으로 환산 시 평균 지식수준이 $70.99{\pm}19.92$점, 실행수준은 $70.63{\pm}10.25$점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기침예절 지식과 실행수준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다중회귀분석에서 기침예절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평소 손수건을 가지고 다님, 평소 휴지를 가지고 다님, 일평균 손씻기 횟수, 기침예절에 대해 알고 있음, 기침예절 지식 수준이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확인된 기침예절 실행 영향 요인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기침예절 실행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BLE 기반 스마트 에티켓 시스템 및 App 개발 (Development of Smart Etiquette System based on BLE and App)

  • 홍성표;조영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803-810
    • /
    • 2017
  • 오늘날 IT산업의 눈부신 발전으로 개인 스마트폰을 1개 이상을 소유하고 보유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강의실이나 도서관, 공연장 등 정숙을 요구하는 장소에서 스마트폰을 매너모드로 설정하지 않아 부적절한 상황이 생기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제안 시스템은 공공장소 또는 에티켓 지역으로 지정된 장소에 입장 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기능 일부를 제한(진동, 무음, 촬영, 인터넷 사용)하여 스마트폰의 에티켓 지킴이 역할을 자동 수행 하며, 해당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이전상태 복귀 기능을 자동 제공한다. 또한 초경량 저전력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에 적용되고 있는 Bluetooth 통신을 기반으로 자율 디바이스 연결 및 서비스 인지형 네트워크 기술이 복합된 시스템이며, H/W의 변형 없이 다양한 형태의 기능 추가 및 Service 확대가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Cyberbullying and a Mobile Game App? An Initial Perspective on an Alternative Solution

  • Singh, Manmeet Mahinderjit;Ng, Ping Jie;Ya, Kar Ming;Husin, Mohd Heikal;Malim, Nurul Hashimah Ahamed Hassai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3권3호
    • /
    • pp.559-572
    • /
    • 2017
  • Cyberbullying has been an emerging issue in recent years where research has revealed that users generally spend an increasing amount of time in social networks and forums to keep connected with each other. However, issue arises when cyberbullies are able to reach their victims through these social media platforms.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cyberbullying and like traditional bullying; it causes victims to feel overly selfconscious, increases their tendency to self-harm and generally affects their mental state negatively. Such situations occur due to security issues such as user anonymity and the lack of content restrictions in some social networks or web forums. In this paper, we highlight the existing solutions, which are Intrusion Prevention System and Intrusion Detection System from a number of researchers. However, even with such solutions, cyberbullying acts still occurs at an alarming rate. As such, we proposed an alternative solution that aims to prevent cyberbullying activities at a younger age, e.g., young children. The application would provide an alternative method to preventing cyberbullying activities among the younger generations in the future.

한국형 미디어교육 모형의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n Media Educational Model)

  • 이란;현은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62-473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 인근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각각 수행된 미디어 심성모형 관련 두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한국 상황에 적합한 한국형 미디어 교육 모형을 문헌 고찰을 통해 제안하였다. 미디어 교육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서구의 대표적 미디어 교육 모형, 즉 버킹엄의 창작 중심 교육 모형, 홉스의 실천 중심 교육 모형, 포터의 분석 중심 교육 모형, 밴후저의 세계관 중심 교육 모형을 검토해 보고, 이들 각 모형들의 장점들을 종합한 후, 한국의 수요자들의 필요를 반영하여 이를 수정하고 재편하였다. 새로 개발된 수요자 중심 교육 모형은 '세계관과 관점,' '사용(접근),' '분석과 평가,' '성찰,' '사회적 실천' 단계로 구성된 순환 모형인데, 각 단계는 앞서 살펴본 4개의 대표적 모형이 각각 강조하고 있는 각 목표 영역의 핵심 내용들을 차용하되 한국 수요자들의 특수한 현실을 반영했다. 중독이나 사이버 폭력 등의 미디어 사용태도에 관한 필요는 '세계관과 관점' 영역에 반영하였고, 인쇄 매체인 도서의 미디어로서의 위상 교육은 '사용(접근)'에, 디지털 미디어의 높은 사용 빈도의 현실은 '사회적 실천' 영역에 반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