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tachograph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8초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의 운행기록 데이터 디지털 인증 시스템 (Digital Tachograph Vehicle Data Digital Authentication System)

  • 강준규;김유원;임웅택;전문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7-5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로부터 수집된 운행기록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디지털 인증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국내의 경우 수집된 운행기록 데이터가 위변조 되지 않은 신뢰성 있는 정보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안하는 방법은 전자서명을 이용하여 전송된 운행기록 데이터가 위변조 되지 않았음을 증명할 수 있다. 디지털 인증을 위한 서명 값 생성은 운행기록 데이터의 해시 값을 구하여 전자서명 생성키로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 위변조에 대한 확인은 전자서명 값으로부터 전자서명 검증키를 사용하여 해시 값을 구하여 보관된 해시 값과 일치 여부 확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제안하는 방법은 시스템 구현 및 실험을 통하여 운행기록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함을 확인하였다.

Real-time Dangerous Driving Behavior Analysis Utilizing the Digital Tachograph and Smartphone

  • Kang, Joon-Gyu;Kim, Yoo-Won;Jun, Moon-Seo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37-44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ssistance method to enable safe driving through analysis of dangerous driving behavior using real-time alarm by vehicle speed, azimuth data and smartphone. For this method, smartphone is receiving driving data from digital tachograph using communication. Safe driving habit is a very important issue to commercial vehicle because that driver's long time driving than other vehicle type driver. Existing methods are very inefficient to improve immediately dangerous driving habits during driving because proceed driving behavior analysis after the vehicle operation. We propose the new safe driving assistance method that can prevent traffic accidents by real-time and improve the driver's wrong driving habits through real-time dangerous driving behavior analysis and notification the result to the driver. We have confirmed that the method in this paper will help to improve driving habits and can be applied through the proposed method implementation and simulation experiment.

개선된 디지털 운행기록장치 운행기록 데이터 포맷 (An Improved Vehicle Data Format of Digital Tachograph)

  • 강준규;김유원;임웅택;전문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77-8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국토교통부 운행기록의 배열순서를 개선한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의 운행기록 데이터 포맷을 제안한다. 상용차에 의무적으로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운행기록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고 공공기관에서는 이들 운행기록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 관리지침에 의하여 정의된 운행기록의 배열순서를 전송 포맷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운행기록 데이터 배열순서는 제조사마다 상이하고 국토교통부의 운행기록 포맷도 개선할 부분이 있다. 시스템 구현 및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데이터 포맷이 국토교통부 운행기록의 배열순서를 기반으로 개선되었음을 증명하였다.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를 활용한 실시간 위험운전행동분석 구현 (Implementation of Real-time Dangerous Driving Behavior Analysis Utilizing the Digital Tachograph)

  • 김유원;강준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5-6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를 활용하여 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실시간 위험운전행동 분석 및 경고를 통한 운전습관 개선과 안전운전 지원이 가능한 방법을 제안한다. 대부분의 교통사고와 에코 드라이빙은 자동차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운전습관을 자동화된 방법으로 실시간 분석 및 경고로 잘못된 운전습관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제안 방법에 대한 구현 및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으로 운전자의 위험운전행동에 대한 실시간 분석 및 경고를 해줌으로써 운전습관 개선 유도와 안전운전을 지원하여 에코 드라이빙에 실제로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디지털 자동차운행기록계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저장을 위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a Reliable Data Storage in a Digital Tachograph)

  • 백승훈;손명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권2호
    • /
    • pp.71-78
    • /
    • 2012
  • 디지털 자동차운행기록계는 교통안전법에 따라 자동차의 운행상황과 교통사고 상황과 함께 자동차의 속도, 거리, 브레이크 상황, 가속도, GPS 위치 등을 자동적으로 저장장치에 기록하는 장치이다. 유럽에서는 디지털 자동차운행기록계 장착이 2005년부터 모든 트럭에게 의무화되어 있고, 대한민국은 2011년부터 신규로 등록되는 사업용 차량은 의무적으로 장착해야 하며, 해가 지날수록 의무적으로 장착해야하는 자동차의 범위가 확대되어가고 있다. 이 장치는 운전자의 일일 운행 현황 분석 및 사고 분석을 위하여 사용된다. 자동차 사고는 장치의 안정성을 예측불가능하게 한다. 그래서 불확실한 상황아래에서 최대한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는 실제 디지털 자동차 운행기록계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논문은 이 장치의 설계와 구현에 있어서 저비용의 하드웨어 자원으로 안전하게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저용량이지만 안정적인 1차 저장장치와 대용량을 저비용으로 구현한 2차 저장장치로 구성된 계층적 저장 기법을 제안한다. 1차 저장장치는 용량이 SLC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로그 구조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로그 구조의 단점인 느린 부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방향 부분 검색 기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1차 저장장치의 부팅 시간을 50분의 1로 감소시킨다. 추가적으로 사고 순간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법도 제시한다. 이 방법으로 저비용의 내장형 시스템에서 사고순간의 운행기록 시간을 일반적인 방법의 저장시간의 1/20만큼 단축하였다.

차량운행 데이터의 효율적인 업로드를 위한 파일변환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ile Conversion System for Efficient Upload of Vehicle Operation Data)

  • 안정섭;하일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36-542
    • /
    • 2016
  • 화물 및 여객 운송사업자는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Digital Tachograph)를 차량에 장착하여 그 운행기록을 일정한 형태로 변환하여 정부기관에 보고하여야 한다. 하지만 운행기록 장치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변환하여 제출하는 절차가 복잡해서 컴퓨터 환경에 접근하기 어렵거나 컴퓨터 이용에 익숙하지 못한 대부분의 개인 운송업자에게는 큰 불편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용 모바일 장치를 통해 간편한 방법으로 정부기관에 제출할 수 있도록 운행기록파일을 정부기관의 요구형태로 변환하는 모바일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실제 운행기록 장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제안한 시스템에 입력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파일을 변환하고, 변환된 파일을 데이터 뷰어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제안된 기능이 적절하게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사업용 자동차의 DTG 설치 단기 효과분석 (Short-Term Impact Analysis of DTG Installation for Commercial Vehicles)

  • 이석준;이청원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49-59
    • /
    • 2012
  • 최근 사업용 자동차에 대한 다양한 대책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가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1년 1월 1일부터 단계별로 사업용 자동차의 디지털 운행기록장치(DTG, Digital Tachograph) 장착을 법적으로 의무화하였으며, 2011년 이후 교통안전공단에서는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를 활용한 운행기록분석시스템을 구축 중에 있다. 운행기록분석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운전자의 위험운전행동, 운행거리 등 실시간 운행기록을 바탕으로 한 기대효과를 분석한 사례는 국내외 모두 미미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행기록분석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자료와 운수회사 자료를 바탕으로 운전자별 위험운전행동변화 추이, 교통사고변화 추이 및 교통사고 절감비용, 연료소모량 변화 추이 및 연료비 절감비용, $CO_2$를 중심으로 한 사회적 편익 증가효과를 추정하였다. 또한 위험운전행동건수를 통해 차량을 3개의 위험운전그룹으로 구성하여 연료비 절감비용과 사회적 편익 증가효과를 재추정하였다. 고위험운전군의 연비는 저위험운전군 대비 버스, 택시는 약 15%이상 낮고 트럭은 30%이상 낮다. 고위험운전군에서 저위험운전군간 $CO_2$ 배출량의 격차는 버스, 택시, 트럭이 각각 25%, 25%, 42%로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어 저위험군으로 전이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실시간 운행기록을 활용한 안전 및 경제적, 사회적 기대효과를 단기간이지만 거시적인 측면에서 효과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향후 장기간 자료가 수집될 경우 효과분석 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 기반 가축관련 운송차량 이동경로 분석을 통한 가축전염병 노출수준 평가 (Assessment of Livestock Infectious Diseases Exposure by Analyzing the Livestock Transport Vehicle's Trajectory Using Big Data)

  • 정희현;홍정열;박동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34-143
    • /
    • 2020
  • 아프리카 돼지 열병의 세계적인 확산과 함께 가축전염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가축관련 운송차량은 가축전염병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제기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가축관련 운송차량의 이동성과 관련한 실증적인 방역절차와 기준이 마련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가축방역시스템의 축산시설 방문이력 데이터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의 DTG(Digital Tachograph)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축관련 운송차량이 이용한 도로이용정보를 추출하고, 각 차량의 링크별 점유시간을 집계하여 노출도 지표로 제시하였다. 총 274,519행의 가축관련 운송차량의 통행궤적이 추출되었으며 링크별, 존별 노출도를 정량적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축관련 운송차량의 사전 모니터링 및 사후 방역방침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