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visualization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22초

A Visualization Jump Lists tool for Digital Forensics of Windows

  • Weng, Shiuh-Ku;Tu, Jung-Y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1호
    • /
    • pp.221-239
    • /
    • 2020
  • In this paper, a visualization digital forensics tool, called JumpList Analyzer, is implemented. The tool can analyze the complicated Jump Lists files, and then the results are demonstrated by visualization. To compare the proposed tool with the other Jump Lists tools, the proposed tool is the only one can display the analyzed results by visualization. The visualization will help the investigators more easily to find the evidence than the other tools showing the analyzed results by texts only. In the experiment, the proposed JumpList Analyzer is demonstrated its convenience at identifying artifacts for doing digital forensics in a financial fraud case. In addition, the proposed tool can also be used to reveal the computer user's behavior or background.

CiteSpace 적용을 통한 디지털 보존 지식영역 비주얼화 연구 (A Study on Visualization of Digital Preservation Knowledge Domain Using CiteSpace)

  • 김희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89-104
    • /
    • 2005
  • 디지털 보존 주제분야를 중심으로 지식영역 비주얼화(knowledge domain visualization)를 시도하였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1990년부터 2005년까지의 기간 동안의 Web of Science DB를 중심으로 총 74건의 문헌을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지식영역 비주얼화를 위하여 사용한 툴은 서지DB를 중심으로 비주얼 데이터마이닝 결과를 제공하는 Java 어플리케이션인 CiteSpace이다. 분석 결과, 디지털 보존 분야의 핵심적인 지식 영역은 최신정보기술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보존전략, 정보네트워크와 보존시스템, 전자정부와 지식관리의 세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 정보 시각화를 위한 DMM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DMM System for Flight Information Visualization)

  • 허화라;박명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15-121
    • /
    • 2011
  • The flight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the aircraft is the system which is widely used to the threat against low altitude tasks and terrain altitude. Bu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system because of restrictions that GPS data and huge geographic information should be stored. In this paper, it proposes economic DMM (Digital Moving Map) system for flight information visualization from open-source-base. First, the flight information is transferred from X-Plane through UDP and then demonstrated on the DMM system. In the proposed DMM system, flight information is visualized on the map information downloaded from an ArcGIS Map server using the mapping data between the present altitude of the aircraft and the terrain altitude. The result of this paper could be used an economic tool in the field of flight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the game algorithm research.

Lymphovenous anastomoses with three-dimensional digital hybrid visualization: improving ergonomics for supermicrosurgery in lymphedema

  • Will, Patrick A.;Hirche, Christoph;Berner, Juan Enrique;Kneser, Ulrich;Gazyakan, Emre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8권4호
    • /
    • pp.427-432
    • /
    • 2021
  • The conventional approach of looking down a microscope to perform microsurgical procedures i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injuries, anti-ergonomic postures, and increased tremor and fatigue, all of which predispose microsurgeons to early retirement. Recently, three-dimensional (3D) visualization of real-time microscope magnification has been developed as an alternative. Despite its commercial availability, no supermicrosurgical procedures have been reported using this technology to date. Lymphovenous anastomoses (LVAs) often require suturing vessels with diameters of 0.2-0.8 mm, thus representing the ultimate microsurgical challenge. After performing the first documented LVA procedure using 3D-augmented visualization in our unit and gaining experience with this technique, we conducted an anonymized in-house survey among microsurgeons who had used this approach. The participants considered that 3D visualization for supermicrosurgery was equivalent in terms of handling, optical detail, depth resolution, and safety to conventional binocular magnification. This survey revealed that team communication, resident education, and ergonomics were superior using 3D digital hybrid visualization. Postoperative muscle fatigue, tremor, and pain were also reduced. The major drawbacks of the 3D visualization microscopic systems are the associated costs, required space, and difficulty of visualizing the lymphatic contrast used.

기록물의 인터랙티브 시각화 적용에 관한 연구 - 국가기록원 기록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to the Collection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 유지윤;김지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1-67
    • /
    • 2016
  • 최근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기록물들이 증가하면서 이를 기술하고 접근을 제공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미국, 호주, 영국 등 해외의 문화유산기관에서는 방대한 양의 기록을 한 눈에 브라우징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랙티브 시각화를 도입하여 기록물에 접근하는 방식을 다양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티브 시각화 기법을 기록물에 적용하기 위해 인터랙티브 시각화의 필요성을 조명하고 해외 문화유산기관의 인터랙티브 시각화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한 공통된 시각화 요소 및 기법을 적용하여 국가기록원의 기록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시각화하였다.

멜로디 비교 시각화를 통한 음정 교정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Tone Correction System Through a Visualization of Melody Comparison)

  • 이혜인;박주현;이석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1호
    • /
    • pp.156-161
    • /
    • 2014
  • With the proliferation of digital music, public's interest in music and desire to sing well are increasing. This paper presents the implementation of a tone correction system through a visualization of comparison between music and humming data. For this we extract MIDI note from music and humming data and then design a matching engine using DTW algorithm which is for robust matching results against local timing variation and inaccurate tempo. This system is expected to correct the user's wrong tone by visualization and feedback from the result.

Understanding Business from Business Report Visualization

  • Tanlamai, Uthai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1호
    • /
    • pp.57-71
    • /
    • 2009
  • The visualization of business reports has received greater attention from information system scholars. Tables, graph and charts are often used to represent vast amount of complex numerical data and spreadsheet visuals become a de facto standard in business.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individual's cognitive differences on business report visualization instead of providing "one visual fits all type of reports." It is argued that reports with data augmented by appropriate visuals will affect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an individual's learning outcomes and subsequently his or her decision making processes. It is argued here that report visualization can augment the usefulness of contents and enhance many desirable features of reports as specified in those proposed models.

  • PDF

사운드 데이터의 3D 시각화 방법 (Method for 3D Visualization of Sound Data)

  • 고재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331-33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운드 데이터를 3차원 입체 이미지로 시각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운드 데이터의 시각화는 사운드데이터의 음역채널을 텍스트베이스형태의 스크립트 제작한 후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수행한다. 알고리즘은 음역 채널 설정단계, 사운드 시각화용 화면프레임 설정단계, 단위 입체이미지 구현체 특성정보 설정단계, 사운드 데이터 음역 채널 검출단계, 사운드 시각화단계등 총 5단계로 이루어지며, 마우스등의 입력장치로 최소한된 입력신호조작으로 3D 시각화를 수행한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애니메이터가 할 수 없는 양을 가진 사운드 파일을 이용해, 애니메이터가 작업하는 시간과 제시한 연구방법을 이용한 작업시간을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3D 시각화 방법이 창의적 예술적 이미지를 제작에 저비용, 고효율 방법임을 부각하였다. 향후, 게임엔진에서 렌더링 과정을 거치지 않는 방법으로 사운드 데이터의 실시간 시각화 방법을 연구할 예정이다.

수치영상을 이용한 도로 3차원 시각화 기법(Poster) (The 3D Visualization Method of Roads Using Digital Imagery)

  • 이종출;이영도;김남식;서동주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65-368
    • /
    • 2003
  • In this study, we get a digital imagery about the objective road and visualize it as three dimensional so called 3D. That is to say that we manage the road trough computerized data or 3D and we can expect to get efficiency of the human resources and economical, timely efficiency which is needed to maintain and manage the road.

  • PDF

DX 전환 환경에서 EDA에 대한 재고찰 (A study on rethinking EDA in digital transformation era)

  • 고승곤
    • 응용통계연구
    • /
    • 제37권1호
    • /
    • pp.87-102
    • /
    • 2024
  •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란 기업이나 조직이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영업 활동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변화시키거나 새롭게 혁신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 고객 경험 개선 그리고 새로운 사업의 발굴 등을 위하여 다양한 디지털 기술들 - 클라우드 컴퓨팅, IoT, 인공 지능 등 - 의 활용이 요구된다. 또한 시장, 고객 그리고 생산 환경에 대한 지식과 통찰을 도출할 수 있도록 올바른 데이터의 선택, 분석 가능한 상태로의 데이터 전처리(preprocessing) 그리고 목적에 적합한 체계적인 분석들에 대한 올바른 프로세스 정립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디지털 빅 데이터의 유용성은 적합한 전처리와 함께 정보 및 가설 탐색 그리고 지식과 통찰의 시각화를 위한 탐색적 데이터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 EDA)의 올바른 적용이 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EDA의 철학과 기본 개념에 대하여 재고찰과 함께 효과적인 시각화를 위하여 시각화 핵심 정보, 그래프 문법(grammar of graphics)에 기초한 정보 표현 방법 그리고 최종 시각화 검토 기준인 ACCENT 원칙을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