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Data

검색결과 2,313건 처리시간 0.035초

재난 전조 정보 추출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f the extraction algorithm of the disaster sign data from web)

  • 이창열;김태환;차상열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40-150
    • /
    • 2011
  • 지구 온난화로 생활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대형 재난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 발생시 복구에 많은 자원을 투입하고 있지만, 재난의 예방 만큼 효과적인 대책은 없을 것이다. 재난전조 정보란 하인리히 법칙에 따라 예고되는 재난에 대한 전조이며, 이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대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초점이다. 웹에 산재된 정보로부터 전조 정보를 정확히 추출하기 위한 기반이 되는 단어(명사)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확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로 도출된 단어는 분석적인 연구결과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실제 데이터를 적용하면서 지속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일일상황보고를 중심으로 재난안전 데이터 관리 체계의 유형화 (Classification of Disaster Safety Data Management System based on Daily Situation Report)

  • 이규;정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290-29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행정안전부에서 발행하는 국민 일일상황보고서와 재난 연감 및 재해 연보 등을 활용하여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 선언하고 있는 자연 재난 15종, 사회 재난 7종의 총 22종을 대상으로 재난 안전 데이터를 조사하고, 이들 재난의 데이터 특성에 따라 재난을 유형화하였다. 재난 안전 데이터는 행정안전부의 일일상황보고 자료를 대상으로 자연재난 656건, 사회재난 1,104건으로 총 1,760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 상황 관리를 위한 재난 안전 데이터 체계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대응과 복구 단계의 활동과 관련된 데이터를 재난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재난 발생 후 시간적 흐름에 따라서 수행하는 관리 활동들을 기반으로 재난 안전 데이터에 대한 특성과 재난 안전 관리 절차 등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재난 관리 업무 수행을 위한 재난 안전 데이터 유형을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유형 분류는 유사성이 높은 재난은 서로 통폐합하고, 향후 재해연보나 재난연감 등의 국가통계 데이터 구축에 활용될 수 있도록 확장성 및 상호 연계성을 고려하였다.

온톨로지 기반 재난 전조 정보 분석 기술 연구 (A Study of the Disaster Sign Data Analysis Technologies Based on Ontology)

  • 이창열;김태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220-228
    • /
    • 2011
  • 재난전조정보란 웹으로부터 재난이 예상되는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거나, 관련자가 재난전조정보 사이트의 신고를 통하여 제공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확인을 거친 정보이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에 대하여 자동으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정보를 분석하기 위하여 가장 대표적인 재난 유형 4가지(교량, 공사장, 건축물, 축대 및 옹벽)에 대하여 온톨로지 구조를 정의하였다. 온톨로지 구조에 따라 과거 유사 사례 DB를 구축하였으며, 해당 사례로부터 재난 발생에 대한 규칙을 도출하고, 규칙 사이에 가중치 적용을 통하여 규칙 정보를 일반화하였다. 도출된 규칙은 재난 전조 정보에 적용하였으며, 규칙의 가중치를 통하여 해당 정보를 점수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실제적인 구현을 통하여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재난 전조정보에 대한 점수는 사건 사례의 품질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시스템의 성능은 데이터 업그레이드에 따라 계속 증가할 것이다. 또한 규칙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 보정이 필요할 것이다.

재난정보 표준화를 통한 환경 재난정보 수집 및 활용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Unstructured Environmental Disaster by Using Disaster Information Standardization)

  • 이동섭;김병식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4호
    • /
    • pp.236-242
    • /
    • 2019
  • 본 연구는 재난정보 표준화를 목표로 다양한 재난 및 사고에서 생성되는 정형, 비정형 문서를 전자화된 문서로 변환하여 환경재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환경재난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개발하였다. 최근 4차 산업 시대를 통해 다양한 지능화 기술들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환경재난, 재난관리 등의 분야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며, 환경재난 관리 업무와 융합되어 활용되고 있다. 재난정보관리는 단순히 재난업무를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환경재난 이력정보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재난관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환경재난을 관리하는 중요한 요소는 재난정보이다. 재난정보는 재난의 발생에서 진행, 대응 및 계획까지의 재난 전주기에 대한 정보를 전자화된 정보로 관리하고 처리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그러나, 자연, 사회, 환경재난에 대한 상황, 대응, 대비, 복구의 정보는 주로 보고서의 형태인 핸드아웃이나 비정형 정보로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비정형 재난안전정보는 관리 부실에 의해 사라지거나 폐기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비정형 재난안전정보는 재난정보로서의 관리를 위해 인식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화된 기술을 활용하여 인쇄되거나 스캐너에 의해 이미지 또는 문서로 생성된 재난 보고서를 전자화된 문서로 변환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으며, 그 후 변환된 재난정보는 재난정보관리 코드체계에 맞추어 정리하여 재난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정형, 비정형 재난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스마트 재난관리의 시작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렇게 생성된 환경재난 정보는 재난정보 코드체계와 연계하여 표준화된 형식으로 관리한다. 재난코드체계는 재난 별 발생 진행 상황, 피해 규모, 대처사항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표준을 구축하였으며, 향후 이러한 많은 재난 데이터와 이력정보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스마트 재난관리 및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Nursing Students' Disaster Awareness, Disaster Preparedness, and Disaster Nursing Competency

  • Hye-Mi PARK;Tae-Hoon KIM;Jae-Young KIM;Ji-Eun KIM;Ji-Eun KIM;Ga-Eul PARK;Ji-Won BAEK;Yu-Jin SHIN;Ji-Yeon KIM;Yun-mi KIM
    • 웰빙융합연구
    • /
    • 제6권4호
    • /
    • pp.51-61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by identifying nursing students' disaster awareness, disaster preparedness, and disaster nursing competency and confirm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0 student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E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13 to May 24, 2023. Results: Disaster awareness averaged 72.91±7.46 points, disaster preparedness averaged 2.82±2.81 points, and disaster nursing competency averaged 44.11±10.76 points. Disaster preparedness and disaster nursing competenc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ith disaster nursing education experience than in those without experience. Disaster aware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aster preparedness (r=.20, p <.001), and also with disaster nursing competency (r=.37, p <.001). Disaster prepared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aster nursing competency (r=.49, p <.001). It was found that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was high when the disaster awareness (B=0.472, p<.001), and the disaster preparedness (B=1.561, p<.001) was high. Conclusions: The results show it is possible to improve students' disaster nursing competency by strengthening education on disaster awareness and disaster preparedness. Thus, specific efforts and future research are needed to develop disaster nursing education.

Knowledge Model for Disaster Dataset Navigation

  • Hwang, Yun-Young;Yuk, Jin-Hee;Shin, Sumi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9권4호
    • /
    • pp.35-49
    • /
    • 2021
  •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multiple diverse datasets, it is essential to have an efficient method to provide users with the datasets they require. To address this suggestion, necessary datasets should b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atasets. In particular, in order to discover the necessary datasets for disaster resolution, we need to consider the disaster resolution stage. In this paper, in order to provide the necessary datasets for each stage of disaster resolution, we constructed a disaster type and disaster management process ontology and designed a method to determine the necessary datasets for each disaster type and disaster management process step. In addition, we introduce a method to determine relationships between datasets necessary for disaster response. We propose a method for discovering datasets based on minimal relationships such as "isA," "sameAs," and "subclassOf." To discover suitable datasets, we designed a knowledge exploration model and collected 651 disaster-related datasets for improving our method. These datasets were categorized by disaster type from the perspective of disaster management. Categorizing actual datasets into disaster types and disaster management types allows a single dataset to be classified as multiple types in both categories. We built a knowledge exploration model on the basis of disaster examples to ensure the configuration of our model.

재난안전연구데이터 통합관리·활용을 위한 전략 수립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the Strategies for Integrated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Disaster & Safety Research Data)

  • 류신혜;윤희원;김대욱;최선화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3호
    • /
    • pp.1789-1803
    • /
    • 2022
  • 데이터의 증가와 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통합 데이터 전략 및 정책 수립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연구 분야에서도 국가주도적으로 연구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인프라 사업 및 관리·활용 체계 마련이 이뤄지고 있으며 국내 역시 연구데이터의 검색과 공유를 위한 플랫폼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국가 재난과 안전관리 총괄 연구기관으로서 재난안전과 관련한 방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으나, 일관성 있는 데이터 관리 체계 및 생산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 부재, 데이터 활용을 위한 전문인력과 관리 정책 부족 등 원활한 데이터 관리 및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해 재난안전연구데이터의 통합 관리, 활용을 위한 기본계획과 목표모델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원내 데이터 통합 관리의 필요성과 실제 수요를 기반으로 데이터 표준화 및 관리 체계 일원화, 전담 조직/인력 구성 등 차별화된 데이터 거버넌스 마련의 필요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도출된 시사점을 반영한 목표모델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파일럿 모델 구축 및 주요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향후 재난안전연구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행 과제로 삼고자 한다.

엔터프라이즈 재해복구시스템 구축을 위한 데이터 복제 방안 연구 (Research on Data Replication Method for Building an Enterprise Disaster Recovery System)

  • 강현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411-417
    • /
    • 2024
  • 재해 발생 시 주요 IT 인프라 중단을 최소화하고 연속적인 비즈니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재해복구 계획 및 재해복구시스템의 구축은 반드시 필요하다. 재해복구시스템 구축과정에서 데이터 복제는 재해 발생 시 중단 없는 연속적인 비즈니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복구의 핵심요소로 데이터 복제방식은 시스템 구성환경과 재해복구 목표수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재해복구시스템 구축에서 구성환경과 재해복구 목표수준에 적합한 데이터 복제방식 결정 방안에 대해 제시한다. 또한 복제방식 결정 절차를 적용하여 재해복구시스템을 구축하고 구축 결과를 분석한다. 재해복구시스템 구축 후 재해 상황에서 재해복구센터로 서비스가 전환, 정상적인 서비스가 진행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모의 테스트를 진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해복구시스템 구축 단계에서는 체계적으로 최적의 데이터 복제방식의 선정이 가능했다. 구축된 재해복구시스템은 연속적인 비즈니스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재해복구센터로 서비스 전환되는 시간 RTO는 3.7시간으로, Tier 2였던 재해복구 수준이 목표수준 RTO 4시간 이내, RPO=0으로 개선되었다.

산지재해 발생 위험지역 분석을 위한 드론의 적용 (Application of Drones for the Analysis of Hazard Areas in Mountainous Disaster)

  • 이정훈;전계원;전병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5-70
    • /
    • 2018
  • Terrain data for disaster analysis in hazardous or disaster areas is not only important but also needs to be built quickly. In particular, the introduction of drones is in the early stages of research using drones in a variety of fields such as shooting, analyzing and managing hazardous areas. It is expected that drone will be faster, safer and more effective than existing data collection method in case of small scale disaster hazard area and disaster area where equipment or manpower input is difficult. Therefore, in this study, drone shooting was performed for hazardous areas in mountainous roads located in Samcheok city, Gangwon province, and ground reference points were measured by RTK-GPS. The measured data were converted into DSM (Digital Surface Model) data by coordinate correction using Pix4D postprocessing program and then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hazard area of mountainous area.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it is effective to identify the risk by using the basic terrain data obtained from the drones.

수치지도를 이용한 연안재해지도 작성 방안 (The Methods of Coastal Disaster Mapping Using Digital Map)

  • 정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5호
    • /
    • pp.373-379
    • /
    • 2007
  • Natural hazards such as typhoon, flood, landslide affect both coastal and inland areas more often according to increasement of severe and unusual weather. To provide adequate coastal disaster mitigation strategies, coastal disaster prevention system using GIS is very useful. Application methods of digital map on this issue was discussed in this study. For developing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system, the data structures related to disaster monitoring is needed to be revised for interdisciplinary framework. To improve the current coastal disaster mapping methods, GIS based new model for coastal disaster mapping was suggested. In this study, coastal GIS showed the attribute data and structures of coastal disaster mapp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