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Perceptio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5초

안전 및 재난인식, 안전교육지각이 재난대처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aster and safety cognition, and safety education perception on disaster preparedness)

  • 최효원;김진영;김민채;박정희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1-111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o improve disaster preparedness by identifying disaster and safety cognition, safety education perception and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disaster preparedness. Methods: Selected articles were programmed statistically by SPSS to analyze 162 third and fourth-year students in Chungcheong-do, from December 1, 2022 to December 31, 2022.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ith the effect of disaster and safety cognition, safety education perception, and disaster preparedness was analyzed by t-test and ANOVA. Results: Disaster prepared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aster and safety cognition (r=.499, p<.001) and safety education perception (r=.328, p<.001). Furthermore, the influencing factors on disaster preparedness were sex (β=0.17, p<.011), disaster and safety cognition (β=0.39, p<.001), and 28% was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Preparing educational method for strengthening safety and disaster cognition requires improving the disaster preparedn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a new educational approach to program development to elevate disaster and safety cognition at the university level.

재난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isaster Awareness on Government Trust)

  • 이영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7-63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사회재난에 대한 위험인식 수준이 정부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위험 인식 수준 차이와 사회재난 위험인식 수준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예비조사에서 위험성 정도가 높은 3개 사회재난 유형(조류독감, 미세먼지, 핵발전소)을 추출하였으며, 본 조사는 20세 이상 한국인 성인 남녀 1,1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재난 인식 수준은 사회재난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재난에 대한 자발성, 개인적 지식, 친숙도, 심각성, 두려움, 회복가능성 위험은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재난에 대한 지연성 위험 인식은 정부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재난에 대한 과학적 지식, 통제가능성, 치명성, 발현시기 위험 인식은 정부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서술하였다.

간호학생의 재해관련 경험, 재해간호에 대한 인식 및 재해간호 핵심수행능력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 안은경;김선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6호
    • /
    • pp.257-267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재해관련 경험, 재해간호에 대한 인식과 재해간호 핵심 수행능력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재해간호 교육과정의 개발 및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결과, 전체대상자 중 20.3%가 재해를 직접 경험하거나 목격한 경험이 있고, 75.6%의 대상자가 재해관련 교육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해간호 인식 정도는 25점 만점에 평균 18.16점이었고, 핵심 수행 능력은 75점 만점에 평균 41.56점으로 나타났다. 재해간호 인식 정도는 핵심 수행 능력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155, p<.05).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재해현장에서 요구되는 핵심 수행능력을 반영한 교육내용의 표준화와 재해간호 영역에서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보건교사의 재난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on Disaster Nursing Competency of School Health Teachers)

  • 강유진;문미경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1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y among school health teach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10 school health teachers at the offfice of education in G province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aster nursing competen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terms of clinical nurse work experience (t=3.40, p=.001) and disaster education experience (t=2.80, p=.006). Disaster perception and disaster nursing competenc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43, p<.001). In final analysis, disaster perception (𝛽=.35, p<.001), career as a nurse (𝛽=.23, p=.009), experience in disaster education (𝛽=.17, p=.048)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isaster nursing competenc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aster perception should be raised to improve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of school health teachers. Speicalized disaster nursing & health education based on their experience before appointing school health teachers and disaster response simulation training tailored to school field conditions should be regularly conducted.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isk Characteristic and Risk Perception on Risk Severity of Natural Disaster)

  • 송해룡;김원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98-207
    • /
    • 2013
  • 본 연구는 자연재해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 심각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재해 위험평가 차원에서 일반 공중이 인식하는 자연재해의 심각성을 분류한 결과, 지변재해, 풍수해, 한해로 분류되었고, 자연재해 중 태풍을 가장 심각한 자연재해로 인식하였다. 자연재해 대한 위험특성은 '친근하지 않은', '과학에 의해 알려지지 않은', '발견할 수 없는' 등이 비교적 높은 평균을 보여 자연재해를 미지의 위험영역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둘째, 공중이 인식하는 자연재해 위험특성과 위험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이 위험평가 차원의 심각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위험특성은 위험평가 차원의 심각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연재해 중에서도 호우나 태풍, 홍수와 같은 풍수해를 지변재해나 한해보다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공중의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인식이 위험평가 차원의 심각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인식은 자연재해의 심각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연재해 심각성 중에서도 풍수해를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및 사고원인 특성이 재난안전인식에 미치는 영향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Accident Cause Characteristics on Disaster Safety Perception)

  • 오후;임동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0-8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level of disaster safety perception (disaster safety importance, accident possibility, personal safety, and regional safety) of local residents,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individual and accident cause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method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saster safety importance and accident possibility were higher as residents who had experience in safety education and were willing to visit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in the province. Second, disaster safety importance was higher as the cause of the accident was the lack of response 119 and police. And accident possibility was higher as the cause of the accident was the lack of prior treatment b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hird, personal safety and regional safety were higher for men, and especially personal safety was lower as residents with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regional customized disaster safety policies based on the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who are policy consumers.

재난인식과 재난관련 태도 및 자아탄력성이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of the Factors Influencing of Disaster Perception, Disaster Attitudes and Self-Resilience on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 송환;김혜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351-359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재난인식과 재난관련 태도, 자아탄력성이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학생들은 미래 간호사로서 재난의 최전선에서 상황에 대비해야 하는 직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간호학생들의 위험에 대한 재난인식, 재난관련 태도 및 실천력이 중요하다. 재난간호 핵샘수행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탄력성이었고 재난관련 교육, 재난관련 태도 순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간호학생들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 부분에 초점을 맞춘 재난관련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와 재난관련 다양한 교육을 통하여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융합적 실습교육과 재난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일본 기업의 재난 대비활동 인식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Business Activities about Disaster Preparedness between Korea and Japan)

  • Kwon, YungTaek;Yoon, MyungO;Choi, HeeCheo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383-391
    • /
    • 2013
  • 본 연구는 기업의 재난 대비활동에 대한 기업의 인식과 현황에 대해 서울과 동경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한국은 일본에 비해 자연재해에 대해 위험도의 인지가 매우 낮았으며, 방재계획 작성, 재해시 직원에 대한 응급지원과 지역사회에 대한 지원의사도 일본에 비해 미미하였다. 다만, 직원의 피난과 귀사계획은 일본보다 더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는데, 한국은 민방위 계획에 의거한 소집이 규정되어 있는 데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일본의 경우에, 기업의 재해대책과 관련하여 기업이 활용하여 독자적으로 계획할 수 있을 만큼 상세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 있었고, 그 또한 지속적으로 개선된다는 점이 한국이 앞으로 벤치마킹해야 할 부분이다. 이러한 차이는 기본적으로는 정부의 기업 재해대책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에 기반한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나19로 인한 개인정서와 사회변화 인식이 엔데믹 이후 재난대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s of Personal Emotion and Social Change Perception caused by COVID-19 on Disaster Response Perception after the Post-Endemic)

  • 이완택;임성현;조창익;이종석;정득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8호
    • /
    • pp.127-136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우리나라 국민이 경험한 팬데믹의 개인정서와 사회변화 인식이 엔데믹 이후 재난대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한국언론 진흥재단에서 실시한 「코로나19 이후 국민의 일상 변화 조사」를 사용하였고, 996명(남 508명, 여 488명)을 연구대상으로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긍정정서와 사회변화 인식 요인들은 재난대처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동체의식은 재난대처 인식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코로나19 부정정서를 완화시켜 주는 조절효과가 있었다. 엔데믹 이후 재난대처 인식에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재난 상황시 우리나라 사회에 대한 자긍심과 안정감을 갖는 코로나19 긍정정서와 공동체의식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엔데믹 이후 재난 발생 상황에서 수행되는 정부의 선행 및 후속 조치 방안들이 국민에게 자긍심과 안정감을 주는 체계적인 재난대처 메뉴얼과 컨트롤 타워가 더 강력하게 요청되며, 국민에게는 재난 상황에서 개인적인 행동과 판단으로 대처하기보다는 재난을 함께 극복하려는 공동체의식이 요청됨을 시사한다.

강원도 노인의 수해경험과 재해인식에 관한 연구 -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비교 - (Disaster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Older People in Gangwon Province: A Comparison of Elderly Men and Women)

  • 정순둘;기지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57-6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주요 수해지역인 강원도 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수해경험과 재해인식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성별로 비교해 본 후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노인의 재해취약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06년 집중호우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은 강원도 인제군과 평창군의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183명을 대상으로 수해경험과 재해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에 따른 수해경험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재해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재해재발인식수준이 높았지만 실제 재해발생에 대한 지식이나 대응능력은 남성노인보다 낮았다. 또한 학력이 낮고, 소득수준이 낮으며 무배우자의 혼자 사는 여성노인이 많이 이들을 재난취약집단으로 간주하고 성별을 고려하는 적합한 대응체제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