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ter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3초

지하철 승강장안전문 설치에 따른 열차 화재시 승객 위험성평가와 방재방안 연구 (A study for risk analysis and disater prevention of the passengers when traincar fire on PSD Installed subway)

  • 황철승;김동성;이상곤;조원철;이태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555-560
    • /
    • 2007
  • This paper focused on the ways of disater prevention and risk analysis of the passengers setting up the hypothesis when urban rapid transit broke out fire in subway tunnel which is PSD(Platform Screen Door) installed environment. compared the flud dynamic changes and evacuation specifications whether PSD being installed or not, tried to search the effective ways for sustaining passengers safety.

  • PDF

레디믹스트 숏크리트의 적정 골재최대치수 제안을 위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for Proper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of Ready-mixed Shotcrete)

  • 마상준;최희섭;김동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7-55
    • /
    • 2008
  • 골계최대치수 및 골재의 품질상태 등이 숏크리트에 미치는 역학적 영향성을 실내실험과 현장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골계최대치수가 13mm에서 8mm로 작아질수록 유동 특성은 감소되었으나, 경화 콘크리트의 강도 및 동탄성계수는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골재최대치수 8mm인 경우가 10, 13mm인 경우보다 유동성, 시공성 및 내구성이 더욱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숏크리트 품질개선과 재료분리 최소화를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레디믹스트 숏크리트의 적정 골재최대치수는 공장생산방식을 통해 정제된 8mm 골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우리나라의 해상통신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in Korea Marine Communication)

  • 신현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143-152
    • /
    • 2008
  • 이 논문은 우리 나라의 해상 사고가 매년 600~700건씩 발생되어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해난 재해시 선박 통신의 역할은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가져오는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라 생각하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하였다.

  • PDF

소방시설관리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ask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of Fire Protection Management Workers)

  • 임경연;공하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130-139
    • /
    • 2019
  • 이 연구는 소방시설관리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과제를 제안하였다. 첫째, 배경원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연령, 직급, 월 급여, 총 경력, 자격증, 담당업무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력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의 하위 변수 중 물리환경, 직무요구,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는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친 반면에 관계갈등, 직무불안정은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업무 과부하의 실증적 원인 규명 연구와 소방시설관리업 조직차원의 스트레스 경감대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의 해양통신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in Korea Marine Communication)

  • 신현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27-534
    • /
    • 2013
  •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해난 사고가 매년 600~700건씩 발생되어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해난 재해시 선박 통신의 역할은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가져오는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라 생각하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지온탐사에 의한 저수지 제방의 누수 조사 (Delineation of water seepage in a reservoir embankment from ground temperature measurements)

  • 박삼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2호
    • /
    • pp.169-175
    • /
    • 1999
  • The water leakage of reservoir embankment usually occurs through water vein, which gives little influence on the embankment in a normal state. However, the embankment can be destroyed when the water level of reservoir increases with heavy rain in summer. Investigating the water vein and its path is therefore very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disater prevention and embankment protection. This paper presents survey results of one-meter-depth ground temperature and multi-point temperature logging in an embankment in Japan to delineate water veins and permeable formations. Four water veins have been predicted in the embankment by comparing measured one-meter-depth ground temperatures with the background ones which have no effect of water vein. The multi-point temperature logging was carried out in the borehole drilled at one of the predicted water veins. Depth and thickness of the permeable formation in the borehole can be determined from temperature restoration ratios with elapsed time. From these results we can find that the water leakage of reservoir embankment mainly occurs in sandy soil formation in the embankment.

  • PDF

빅데이터를 활용한 소규모 건축물 안전관리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ilding a Model for Safety Management of Small Buildings using Big Data)

  • 신동윤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3-2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ystem that manages the safety of buildings efficiently by finding the correlation of elements related to the safety of buildings and intuitively visualizing them.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data of small-scale buildings manag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 and an effective analysis visualization environment was established through pre-processing. We selected safety-vulnerable factors such as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completion date to find the relationship, and established a model to prioritize management to find vulnerable buil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