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tylum brightwellii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우리나라 황해의 해산 돌말류 Ditylum brightwellii (West) Grunow의 형태학적 특징에 의한 두 유형 (Classification into Two Types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rine Diatom Ditylum brightwellii (West) Grunow in Yellow Sea, Korea)

  • 이진환;윤석제
    • ALGAE
    • /
    • 제22권4호
    • /
    • pp.253-259
    • /
    • 2007
  • This study deals with the taxonomy of the marine diatom Ditylum brightwellii (West) Grunow: shape, size and ratio, marginal ridge, labiate process, areolation, and seasonal distribution are all considered. Ditylum brightwellii were divided into two type; prism- and cylinder-shaped. Comparisons between specimens from the Yellow Sea were made on, (1) shape- prism types are prismatic-shaped and/or regular square or right-angled tetragon, cylinder types are cylinder-shaped and/or long right-angled tetragon in the girdle view, respectively; (2) size and ratiodiameters of prism types are 82.1 ± 2 μm, while those of cylinder types are 21.2 ± 5 μm and ratio of pervalvar axis/diameter- prism types cells are 1.0-1.5, but cylinder types are 3.9-5.5; (3) marginal ridges- prism types have dotted, while those of the cylinder-type cells have piece, slotted or fimbriated on the marginal ridge; (4) labiate process- both prism- and cylinder-types are central part in valve face, but length of labiate processes of prism types are longer than those of cylinder types; (5) cell margin- the girdle margin show many shallow furrows in prism type and smooth in cylinder type; (6) areolation- both prism- and cylinder-types are a radial pattern in the valve center, but areolae of prism types are larger than those of cylinder types; (7) seasonal distribution- cylinder types are dominated in summer and prism types in the other seasons.

해양 녹조류 Tetraselmis suecica, 규조류 Ditylum brightwellii, 와편모조류 Prorocentrum minimum에 대한 Aroclor 1016과 비스페놀 A의 독성 효과 (Toxic effects of Aroclor 1016 and bisphenol A on marine green algae Tetraselmis suecica, diatom Ditylum brightwellii and dinoflagellate Prorocentrum minimum)

  • 비니타 에베네저;기장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06-312
    • /
    • 2016
  • 미세조류는 수환경으로 유입되는 독성물질의 배출기준을 설정하거나 환경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환경변화의 잠재적 생물지표이다. 본 논문에서 해양 미세조류인 녹조류 Tetraselmis suecica, 규조류 Ditylum brightwellii, 와편모조류 Prorocentrum minimum에 대한 내분비 교란물질(EDCs) 비스페놀 A (BPA)와 Aroclor 1016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처리한 EDCs에 대하여 각각의 종은 매우 다른 민감도 차이를 보였다. 각 종에 대한 50% 영향농도($EC_{50}$)는 Aroclor 1016가 BPA보다 더 유해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미세조류중에서 규조류 D. birghtwellii(0.037 mg/L BPA과 0.002 mg/L Aroclor 1016)가 다른 종보다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수서생태계에로 배출되는 기준 농도 이상의 EDCs가 해양 생물에게 유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제시해 준다.

진동만의 살조세균의 동태와 살조 특성 (The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Algicidal Bacteria in Chindong Bay)

  • 김무찬;유흥식;옥미선;김창훈;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9-367
    • /
    • 1999
  • 적조 다발지역인 진동만에서 살조세균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8년 5월 19일부터 7월 7일까지, chlorophyll-a 및 살조세균의 계수$\cdot$분리하였고, 분리한 살조세균의 살조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기간동안 살조세균의 밀도는 $6.0\times10^1\~6.4\times10^5$cell $\ell^{-1}$의 범위에서 변동하였으며, chlorophyll-a의 농도의 증가 및 감소에 대하여 각각 1주일의 lag time을 두고 이와 동일한 변동양상을 나타내었다. 현장시료에서 분리된 3종의 살조세균 H519S5-4, H605S5-15 및 H605S5-22 균주의 살조범위를 침편모조류 Heterosigma akashiwo와 Chattonelia sp., 와편모조류 Gymnodinium catenatum, Gyrodinium impudicum 및 Cochlodinium polyklikoides, 규조류 Chaetoceros sp., Cescinodiscus granii, Ditylum brightwellii 및 Thalassiosira rotula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H60585-22 균주는 실험에 사용된 9종의 미세조류를 전부 사멸시켜 광범위한 살조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균주 H605S5-15는 H. akashiwo, G. catenatum, T. rotula 및 Chattonella sp.에 대하여, H519S5-4는 H. akashiwo, Chattonella sp., Chaetoceros sp. 및 G. catenatum에 대하여 살조력을 나타내었다. 살조유형은 3종 모두 세포 외 물질을 분비하여 살조하는 살조인자분비형 세균으로 나타났다. 세균이 나타내는 살조력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군집동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연안에서 적조의 급격한 소멸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선박평형수 처리 시스템 효율 검증을 위한 해양 플랑크톤 생사판별시 Neutral red 염색법 적용 가능성 연구 (Application of Neutral Red Staining Method to Distinguishing Live and Dead Marine Plankton for the Investigation of Efficacy of Ship's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 현봉길;신경순;정한식;최서열;장민철;이우진;최근형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4호
    • /
    • pp.223-231
    • /
    • 2014
  • 선박평형수를 통한 외래종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2004년 선박평형수관리협약을 채택하였다. 이 협약에 따르면 앞으로 대부분의 선박들은 선박평형수 처리시스템을 통해서 해양 생물을 사멸 또는 제거시킨 후 배출해야 하며, 이는 플랑크톤의 생사판별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으로 선박평형수 처리후 생사판별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fluorescein diacetate assay (FDA) 염색방법의 제한성과 이의 대안으로 Neutral red (NR) 염색방법사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FDA 염색법은 대부분의 플랑크톤 염색에 되어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Ditylum brightwellii 을 제외한 모든 식물플랑크톤 대해서 낮은 염색 효율(전체 평균 염색 효율 <50%)을 보였으며, 식물플랑크톤이 갖는 고유한 형광(적색)에 간섭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DA는 형광파장에 노출된 후 빠르게 색이 바래지는 경향도 관찰되었다. 반면에 NR은 조사된 모든 동 식물플랑크톤 개체수에 대해서 90% 이상의 높은 염색 효율을 보였다. 두 염색법 모두 포르말린을 이용해서 사멸시킨 동 식물플랑크톤에 대해서는 염색이 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NR 염색법을 이용한 동 식물플랑크톤 생사판별은 매우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2002-2007년 통영바다목장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및 생체량에 따른 우점종의 변동 및 관계 (Vari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tanding Crops and Biomass of Phytoplankton Dominant Species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s from 2000 to 2007)

  • 정승원;권오윤;이진환
    • ALGAE
    • /
    • 제23권1호
    • /
    • pp.53-61
    • /
    • 2008
  • In order to understand vari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tanding crops and biomass of phytoplankton dominant species for the long term periods, this study was seasonally investigated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s from 2000 to 2007. Total 268 taxa representing 217 Bacillariophyceae, 46 Dinophyceae, 4 Dictychophyceae, 1 Euglenophyceae were observed in phytoplankton communities. Dominant species consisted of 5 species as standard in standing crops: Chaetoceros curvisetus (18.01%), Chaetoceros socialis (12.95%), Skeletonema costatum (8.39%), Chaetoceros compressus (6.87%), Asterionellopsis glacialis (5.02%). However, to determine dominant species as biomass concept, Ditylum brightwellii, Guinardia striata, Rhizosolenia spp. and Skeletonema costatum were occupied with dominant species (19.67%). As determining for cell sizes, dominant species were divided with two groups such as micro- and nanophytoplankton (standing crops) and mesophytoplankton (biomass). However, Skeletonema costatum in anophytoplankton was associated to affect fluctuation between standing crops and biomass.

마산항의 환경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의 년변화 (Environmental Studies on Masan Bay 2. Annual Cycle of Phytoplankton)

  • 유광일;이종화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4-38
    • /
    • 1976
  • 식물플랑크톤이 해양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일차생산자로서 중요할 뿐 아니라 이들의 공간분포와 시간분포를 파악하는 일은 생산구조의 규명에 있어서도 불가결한 일이라 하겠다. 한편 연안역 특히 내만성인 환경의 인위적인 영양화에 따른 미소 생물의 이상번식은 정상적인 생산구조에 큰 영향을 주며 또한 다른 해양생물 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마산만은 전형적인 국지내만성인 만으로 해수의 유동이 적을 뿐 아니라 도시 폐수와 산업폐수의 유입이 커서 남해안의 다른 만에 비하여 부영양화가 빈발해서 적조현상이나 독수대의 형성이 다발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이곳에서의 해양생물의 동태를 파악함은 시급한 일이라 하겠으며 수질오염에 대한 생물지표성과 기준치를 규명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Jinhae Bay 1. Annual Cycle Of Phytoplankton Population, 1976-1978

  • Yoo, Kwang-Il;Lee, Jin Hwan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6-31
    • /
    • 1979
  • 1976년 7월부터 1978년 5월까지 2년동안 매 기수월에 진해만의 6개 정점에서 식물성플랑크톤군집의 년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수온은 2.28$^{\circ}C$~25.48$^{\circ}C$, 염분도는 27.42 ~33.90 , pH는 8.0~8.5, 투명도는 0.5m~0.8m, 용존산소량은 2.23ml/l~12.32ml/l의 분포를 보였다. 식물성플랑크톤의 출현종수는 30속, 79종, 2품종, 3변종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우점종은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hyalina, Leptocylindrus danicus, Chaetoceros curvisetus, Chaetoceros costatus, Nitzschia pungens, Nitzschia seriata였으며, Chaetoceros affinis, Chaetoceros curvisetus, Coscinodiscus centralis var. pacifica, Ditylum brightwellii, Navicula distans, Nitzschia pungens, Pleurosigma elongatum, Thalassiorira hyalina, Thalassiothrix frauenfeldii등은 출현빈도에 있어서 이 지역의 대표종이었다. 출현종의 생태적 구분은 연안종이 67.86%로서 내만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현존량의 계절적인 변화는 808~12,461,000 cell/l까지 심한 변화폭을 보이고 있으며, 1976년 7월, 11월, 1977년 5월, 9월, 1978년 5월에 $10^{6}$ cells/l대의 대발생이 있었다. 대발생때의 다양성지수는 1976년 7월에 0.5625~1.0345로 낮은 값을 보여 Skeletonema costatum에 의한 대발생이었으며, 11월의 3.0702~4.1019의 높은 값을 보인때는 18~33종의 다양한 출현종에 의한 것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