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cument Similarity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7초

단어 및 단어쌍 별 빈도수를 이용한 문서간 유사도 측정 (Measurement of Document Similarity using Word and Word-Pair Frequencies)

  • 김혜숙;박상철;김수형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Ⅲ
    • /
    • pp.1311-1314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measure document similarity. First, we have exploited single-term method that extracts nouns by using a lexical analyzer as a preprocessing step to match one index to one noun. In spite of irrelevance between documents, possibility of increasing document similarity is high with this method. For this reason, a term-phrase method has been reported. This method constructs co-occurrence between two words as an index to measure document similarity. In this paper, we tried another method that combine these two methods to compensate the problems in these two methods. Six types of features are extracted from two input documents, and they are fed into a neural network to calculate the final value of document similarity. Reliability of our method has been proved by an experiment of document retrieval.

  • PDF

유사성 계수에 의한 문서 클러스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imilarity-Based Document Clustering System)

  • 우훈식;임동순
    •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9-124
    • /
    • 2002
  • Clustering of data is of a great interest in many data mining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document clustering, a document is represented as a data in a high dimensional space. Therefore, the document clustering can be accomplished with a general data clustering technique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document clustering system based on similarity among documents. The developed system consists of three functions: 1) gatherings documents utilizing a search agent; 2) determining similarity coefficients between any two documents from term frequencies; 3) clustering documents with similarity coefficients. Especially, the document clustering is accomplished by a hybrid algorithm utilizing genetic and K-Means methods.

  • PDF

GPU 병렬성을 이용한 문서 유사도 계산 성능 개선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ocument Similarity by using GPU Parallelism)

  • 박일남;배병걸;임은진;강승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9B권4호
    • /
    • pp.243-248
    • /
    • 2012
  • 정보검색 분야에서 벡터 모델, 문서 클러스터링 등은 입력 문서 개수가 증가할수록 유사도 계산 속도가 시스템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 유사도 계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사도를 계산하는 연산을 CPU 대신에 GPU를 이용하는 CUDA 프레임워크에서 병렬처리 기법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보편적인 방식인 CPU 환경에서 구현했을 때와 비교할 때 최대 15배까지 성능이 향상되었다. 또한, 기존의 CUDA 라이브러리인 CUBLAS와 Thrust를 사용한 방법보다도 각각 5.2배, 3.4배의 성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워드넷을 이용한 문서내에서 단어 사이의 의미적 유사도 측정 (Semantic Similarity Measures Between Words within a Document using WordNet)

  • 강석훈;박종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718-7728
    • /
    • 2015
  • 단어 사이의 의미적 유사성은 많은 분야에 적용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언어학, 인공지능, 정보처리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단어 사이의 의미적 유사성을 측정하는 문서 내의 단어 가중치 적용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워드넷의 간선의 거리와 깊이를 고려한다. 그리고 문서 내의 정보를 기반으로 단어 사이의 의미적 유사성을 구한다. 문서 내의 정보는 단어의 빈도수와 단어의 의미 빈도수를 사용한다. 문서 내에서 단어 마다 단어 빈도수와 의미 빈도수를 통해 각 단어의 가중치를 구한다. 본 방법은 단어 사이의 거리, 깊이, 그리고 문서 내의 단어 가중치 3가지를 혼합한 유사도 측정 방법이다.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다른 방법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 방법에 대비하여 성능의 향상을 가져왔다. 이를 통해 문서 내에서 단어의 가중치를 문서 마다 구할 수 있다. 단순한 최단거리 기반의 방법들과 깊이를 고려한 기존의 방법들은, 정보에 대한 특성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거나 다른 정보를 제대로 융합하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최단거리와 깊이 그리고 문서 내에서 단어의 정보량까지 고려하였고, 성능의 개선을 보였다.

Semantic Conceptual Relational Similarity Based Web Document Clustering for Efficient Information Retrieval Using Semantic Ontology

  • Selvalakshmi, B;Subramaniam, M;Sathiyasekar, 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9호
    • /
    • pp.3102-3119
    • /
    • 2021
  • In the modern rapid growing web era, the scope of web publication is about accessing the web resources. Due to the increased size of web, the search engines face many challenges, in indexing the web pages as well as producing result to the user query. Methodologies discussed in literatures towards clustering web documents suffer in producing higher clustering accuracy. Problem is mitigated using, the proposed scheme, Semantic Conceptual Relational Similarity (SCRS) based clustering algorithm which, considers the relationship of any document in two ways, to measure the similarity. One is with the number of semantic relations of any document class covered by the input document and the second is the number of conceptual relation the input document covers towards any document class. With a given data set Ds, the method estimates the SCRS measure for each document Di towards available class of documents. As a result, a class with maximum SCRS is identified and the document is indexed on the selected class. The SCRS measure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semantic relevancy of input document towards each document of any class. Similarly, the input query has been measured for Query Relational Semantic Score (QRSS) towards each class of documents. Based on the value of QRSS measure, the document class is identified, retrieved and ranked based on the QRSS measure to produce final population. In both the way, the semantic measures are estimated based on the concepts available in semantic ontology. The proposed method had risen efficient result in indexing as well as search efficiency also has been improved.

분포유사도를 이용한 문헌클러스터링의 성능향상에 대한 연구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ocument Clustering with Distributional Similarities)

  • 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7-283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분포 유사도를 문헌 클러스터링에 적용하여 전통적인 코사인 유사도 공식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보았다. 대표적인 분포 유사도인 KL 다이버전스 공식을 변형한 Jansen-Shannon 다이버전스, 대칭적 스큐 다이버전스, 최소스큐 다이버전스의 세 가지 공식을 문헌 벡터에 적용하는 방안을 고안하였다. 분포 유사도를 적용한 문헌 클러스터링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세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두 가지 실험을 준비하여 실행하였다. 첫 번째 문헌클러스터링실험에서는 최소스큐다이버전스가 코사인 유사도 뿐만 아니라 다른 다이버전스공식의 성능도 확연히 앞서는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두번째 실험에서는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1차 유사도 행렬로부터2차 분포 유사도를 산출하여 문헌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2차 분포 유사도가 전반적으로더 좋은 문헌 클러스터링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클러스터링에서 처리 시간과 분류 성능을 함께 고려한다면 이 연구에서 제안한 최소 스큐 다이버전스 공식을 사용하고, 분류 성능만 고려할 경우에는 2차 분포 유사도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지능적인 웹문서 분류를 위한 구조 및 프로세스 설계 연구 (A Study on Building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Intelligent Web Document Classification)

  • 장영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6권4호
    • /
    • pp.177-183
    • /
    • 2008
  • This paper aims to offer a solution based on intelligent document classification to create a user-centr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llowing user-centric linguistic expression. So, structures expressing user intention and fine document classifying process using EBL, similarity, knowledge base, user intention, are proposed. To overcome the problem requiring huge and exact semantic information, a hybrid process is designed integrating keyword, thesaurus, probability and user intention information. User intention tree hierarchy is build and a method of extracting group intention between key words and user intentions is proposed. These structures and processes are implemented in HDCI(Hybrid Document Classification with Intention) system. HDCI consists of analyzing user intention and classifying web documents stages. Classifying stage is composed of knowledge base process, similarity process and hybrid coordinating process. With the help of user intention related structures and hybrid coordinating process, HDCI can efficiently categorize web documents in according to user's complex linguistic expression with small priori information.

  • PDF

마코프 논리 기반의 시맨틱 문서 검색 (Semantic Document-Retrieval Based on Markov Logic)

  • 황규백;봉성용;구현서;백은옥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6호
    • /
    • pp.663-667
    • /
    • 2010
  • 본 논문은 질의 문서와 의미가 유사한 문서를 검색하는 문제를 다룬다. 이 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접근법은 각 문서를 bag-of-words 형태로 표현한 후, 코사인 유사도 등의 거리 기준에 기반하여 유사 문서를 판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문서에 출현하는 단어에만 의존하는 검색 방법은 의미적 유사성을 제대로 반영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데이터 기반의 감독 학습(supervised learning) 기법과 관련 온톨로지 정보를 마코프 논리(Markov logic)에 기반하여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단어들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표현한 온톨로지와 유사도가 태깅된 문서 데이터에서 마코프 논리 망(Markov logic network)을 학습하며, 학습된 마코프 논리 망과 문서 데이터 및 새로 주어진 질의 문서에 대한 추론을 통해 질의 문서와 의미적으로 유사한 문서를 검색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접근법은 서울시의 민원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수집된 실제 민원 데이터에 적용되었으며, 적용 결과, 단순한 문서 간 거리에 기반한 유사 문서 검색 기법에 비해 월등히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문장 정보량 기반 문서 추출 요약의 효과성 제고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document extraction summary based on the amount of sentence information)

  • 김은희;임명진;신주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3호
    • /
    • pp.31-38
    • /
    • 2022
  • 문서 추출 요약 연구에서는 문장 간 관계를 기반으로 중요한 문장을 선택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문장의 도합유사도를 이용한 한국어 문서 요약에서는 문장의 도합유사도를 문장 정보량으로 보고, 이를 기준으로 중요한 문장을 선택하여 요약문을 추출하였다. 그러나 이는 각 문장이 전체 문서에 기여하는 다양한 중요도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장의 정량적 정보량과 의미적 정보량을 기반으로 중요한 문장을 선택하여 요약문을 제공하는 문서 추출 요약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추출 문장 일치도는 58.56%, ROUGE 점수가 34로 비교 연구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딥러닝 기반 방법과 비교해 추출 방법은 가볍지만 성능은 유사하였다. 이를 통해 문장 간 의미적 유사성을 기반으로 정보를 압축해 나가는 방식이 문서 추출 요약에서 중요한 접근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빠르게 추출된 요약문을 기반으로 문서 생성요약단계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문서 내용의 계층화를 이용한 문서 비교 방법 (Document Clustering Methods using Hierarchy of Document Contents)

  • 황명권;배용근;김판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335-2342
    • /
    • 2006
  • 웹의 비약적인 성장으로 웹에는 무수한 정보를 축적하고 있으며, 특히 텍스트 문서는 인간에 의해 가장 쉽게 그리고 많이 이용되는 형식이라 하겠다. 텍스트 문서의 효율적 검색을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확률을 이용한 방법, 통계적인 기법을 이용한 방법, 벡터 유사도를 이용한 방법, 베이지안 자동문서 분류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방법들은 문서의 특징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고, 의미적 검색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문서를 미리 분류하는 기존의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유사한 문서를 의미적으로 찾아내기 위한 새로운 문서 분류의 척도를 제안하며 이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방법은 문서의 내용을 의미적인 계층으로 표현하고 중요 도메인에 가중치를 두며, 문서들간의 도메인 가중치와 도메인 내의 개념 일치도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