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ble Jeopard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이중위험은 여전히 작동되는 것인가? 아시아-서구권의 교차문화적 연구 (Does the double jeopardy phenomenon work?: Asian-Western cross-cultural validation.)

  • 손영석;나경수;한상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57-163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과 뉴질랜드환경에서 시장점유율에 따른 브랜드들의 이중위험에 대한 주제로 작은 시장점유율을 가진 브랜드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단위당 낮은 판매가격을 유지하게 됨으로 판매량이 감소되고 수익이 줄어드는 현상을 뉴질랜드와 비교 연구하였다. 14개의 FMCG 제품군을 중심으로 진행된 연구결과 고 시장점유율을 통한 높은 이익 전략은 서구권의 국가인 뉴질랜드보다 아시아권 국가인 한국에서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나타나며, 특히 점유율이 높은 시장에서 1위 브랜드인 경우에는 약 15%의 가격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이에 반해 뉴질랜드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주목 행동: 피키캐스트 콘텐츠의 노출과 관여 행동을 중심으로 (Attention Behavior to Mobile Content: Focusing on Exposure and Involvement of Pikicast Content)

  • 김은미;박현아;임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2-21
    • /
    • 2017
  • 이 연구는 주목 행동을 노출과 관여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여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주목 행동의 특징을 살펴보고, 주목 행동들 간에 어떤 관계를 갖는지 피키캐스트의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탐구하였다. 우선, 이 연구는 이중위험효과(double-jeopardy)가 모바일 콘텐츠에서도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노출과 관여의 상관관계를 검증했다. 또한 플랫폼별, 주제 속성별(연성 및 경성)로 주목 행동이 어떻게 다른 양상을 띠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바일 플랫폼에서도 노출과 관여 간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플랫폼별로 주목 행동, 특히 공유 행동이 다른 양상을 띠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주제 속성별로는, 연성 콘텐츠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반응인 댓글 수, 공유 등의 주목 지표들이 연관되어 있는 반면, 인지적인 노력이 필요한 경성 콘텐츠에 대해서는 소비시간과 완독률 같은 주목 지표들이 연관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이용자 중심의 관점에 치중했던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콘텐츠 중심의 관점으로 모바일 환경에서의 주목 행동의 본질을 새롭게 이해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한국 관세법상 가산세에 관한 연구 - 행정형벌 병과와 중가산세 조항의 위헌 여부 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nalty Tax under the Korean Customs Act-Focusing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Adminstrative Penalty Imposed together and Heavy Penalty Tax)

  • 박민규
    • 무역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85-201
    • /
    • 2021
  • This paper analyzes the penalty tax system under the Customs Act of Korea and examines whether the penalty tax provision violat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when imposed on a person who does not made import declaration intentionally or travelers who has not been made an import declaration of their carry-on items. It examines the provisions that adopt a penalty tax as a means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ustoms law. In relation to penalty tax, the case studies of the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are analyzed by major issues such as the legal nature of the penalty tax, whether the penalty tax is unconstitutional, and the reasons for exemption from the penalty tax. There is no reasonable basis for the high penalty tax imposed on travelers' carry-on items for which import declaration has not been made.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penalty tax imposed when an import declaration is not made and the penalty tax on traveler's carry-on ite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imit on penalty tax and to create new regulations to exempt or reduce penalty tax when punished by administrative punishment to avoid double jeopardy.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ustoms Act by converting the penalty tax into civil penalty that does not presuppose the faithful and accurate performance of tax obligations by the taxpayer. The government revised the penalty tax system in the Customs Act in 2019, but there are still many types of penalty tax and there are elements that are unconstitutional. It seems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lower the burden on the people by improving the system for the penalty tax system.

강력범죄 피의자의 신상공개에 대한 법적 고찰 (A Legal Analysis of Identity Revelation of Malicious Crime's Suspect)

  • 정철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56-168
    • /
    • 2012
  • 최근에 강도, 살인, 강간 등 강력범죄의 발생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추가적인 범죄피해의 예방과 국민의 알권리의 보장을 위해 범죄인에 대한 신상공개제도를 입법화하고 이를 확대하려는 경향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는 재판절차를 통해 형이 확정되지 아니한 특정 범죄의 피의자의 얼굴 등 신상을 수사단계에서 공개하는 입법을 가능하게 하여, 피의자의 얼굴 공개를 허용하는 것을 뼈대로 한 '특정강력범죄 처벌에 관한 특례법 개정안'이 2010년 4월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그러나 특정 강력범죄에 대한 신상공개가 범죄피해의 예방에 큰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경험적으로 확인된 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법원의 판결이 있기도 전에 피의자의 신상정보가 언론에 공개됨으로써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피의자의 프라이버시나 인격권 및 공정한 재판을 권리와 같은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헌법상 무죄추정의 원칙, 적법절차의 원칙, 이중처벌금지의 원칙(일사부재리의 원칙), 명확성의 원칙, 과잉금지의 원칙에도 위배되고, 형법상 책임원칙에도 위배된다 할 것이다.

Ethnic Differences in the Adjustment to Poverty and Disability among Unmarried Elderly Americans : An Analysis of Multi-State Transitions in Living Arrangements from 1984-1990

  • 박경숙;프랜시스골드샤이더;로저애버리
    • 한국인구학
    • /
    • 제22권1호
    • /
    • pp.123-151
    • /
    • 1999
  • 미국사회에서 노인의 거주지 적응양식은 인종간에 차이가 크다. 일반적으로 소수인종노인은 백인 노인에 비하여 자녀와 함께 사는 경향이 강하다. 이에 대하여 문화적 입장에서는 소수인종은 백인에 비하여 가족부양규범이 강하다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 경제적 입장에서는 소수인종은 그들의 생애를 지배하는 빈곤 때문에 규모의 경제를 통하여 가계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확대가족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노인이 질병과 빈곤에 적응하는 방식에 있어 인종간 차이를 검토함으로써 기존의 경제학적 논의와 문화적 논의의 적합성을 검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노인의 거주지 적응에 대한 문화적 영향과 관련하여 두가지 가설을 검정하고 있다. 첫째,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빈곤과 질병상황에서 가족으로부터 더 오랜기간 보호를 받는지를 검토한다. 둘째,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건강이 악화될 때 더욱 신속하게 가족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분석을 위해서 1984년에서 1990년기간 동안 실시된 "고령화에 대한 종단적 조사(Longitudinal Survey on Aging)"를 이용하여 마르코비안 다중생명표 모형과 사건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수인종 노인은 가족부양규범의 문화적 이점을 그다지 크게 다지고 있지 않다. 인종간 사망력과 시설입소의 차이를 통제할 때,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보다 흔하게 자녀동거에서 단독거주형태로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거주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백인 노인은 소수인종에 비하여 질병상태와 관련하여 자녀와 동거하는 경향이 더 강하다. 사망력과 시설입소의 인종간 차이를 통제할 때 소수인종노인이 백인노인보다 쉽게 자녀동거에서 단독거주로 이행하는데 이는 소수인종에서 가족부양체계가 불안정함을 의미한다. 또한 빈곤시에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쉽게 자녀와 떨어져 살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소수인종 노인에 대한 가족의 지원은 그 가족의 경제적 제약속에서 매우 안정적이지 못함을 시사한다. 못함을 시사한다.

  • PDF

취업남녀의 시간부족인식과 시간활용: 1999년과 2009년의 생활시간자료 비교 (A Study on Perceived Time Pressure and Time Use: Focusing on the Employed Men and Women in Korea by Using 1999 and 2009 Time Diary Data)

  • 차승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5권3호
    • /
    • pp.131-151
    • /
    • 2011
  • This study attempted to estimate the level of perceived lack of time in Korean society, to link it to time management and to identify the possible association that accounts for time shortage. I employed the gender perspective in order to reveal the dynamics and complexity of the perception of a lack of time in the population. The sample for the study was drawn from the 1999 and 2009 Korean time diary data collected by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the original data, I selected a sample of second shift families(men and women who are presently working and raising children) living in metropolitan areas(including Seoul and six major urban areas in Korea). The dependent variable was time pressure measured by a single-item question on a four-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working mothers perceived a greater time shortage as compared to working fathers. The time use pattern showed change during the periods, indicating that people worked fewer hours in paid labor and enjoyed more leisure hours and personal care hours. However, on average, people seemed to have experienced a greater time lack in 2009 as compared to 1999. The results from the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 revealed that even though there were similarities in the impact of relevant factors, men's perception of a lack of time was more closely linked with their work role and social status, while for women, this perception was influenced by work and family duties. This indicates that Korean working mothers and fathers are facing a double jeopardy of time shortage in terms of combining their work and family roles. As a result, the level of time pressure by gender is converging toward a "never enough" phase. These findings generated policy implications and detailed suggestions.

  • PDF

대구지역 대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섭취상태 (Studies on Nutrient Intake and Food Habit of College Students in Taegu)

  • 최미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8호
    • /
    • pp.918-926
    • /
    • 1999
  • This study was an investigation of nutrient intake and food habit of college students in Taegu. A total of 200 apparently healthy college students living in Taegu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24-hour recall were obtained from subjects. The following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made on all participants: weight, height, waist and hip circumferences, and bioimpedence. Dietary habits and energy expenditure wer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Among the subjects 8.3% were obese and 17.7% were underweight in male and 38.8%, respectively. The average intake of nutrients and energy were below the RDA in male(except protein, vitamin C and phosphate) and female(except vitamin C and phosphate), whereas phosphorus intakes well exceed the RDAs for both groups. Lowest mean intake as percentile of RDA were calcium and riboflavin in male, and calcium and iron in female. The mean adequacy ratio(MAR), an index of overall dietary quality was 0.735 for males and 0.730 for females.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were under 1.0 for vitamin A(0.91), B2(0.628), Ca(0.074), Fe(0.845) in male students and vitamin B2(0.752), Ca(0.649), Fe(0.594) in female students. The alcohol consumption level was negatively correlated (p<.05)with thiamin, ascorbic acid, carbohydrate, and energy consumption in male students. Also the alcohol consump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p<.05) with milk consumption in male students. Thus, unfavorable nutritional patterns of alcohol drinkers put them at double jeopardy regarding micronutrient intake and bone health.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nutrient intake in the college student in Taegu is considerably lower than RDA. Another important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an unacceptable calcium and iron status was prevalent in a high percentage of subjects in the college student.

  • PDF

기러기 아빠의 분거가족 결정과 유지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wild-geese fathers' experiences of decision-making and maintenance in separated families)

  • 김주현;송민경;이현주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4호
    • /
    • pp.107-133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 확산되는 기러기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기러기 아빠의 분거가족경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7명의 기러기 아빠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한 후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거가족 경험의 일반적 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기러기 아빠의 분거가족경험은 전후 맥락과 시간성을 고려하여 가족분거 결정단계와 초기단계, 유지단계로 구분되었고 5개의 상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먼저, 가족분거 결정단계는 "조기유학의 내·외적 필요" 로 나타났고, 가족분거 초기단계는 "가족이탈의 해방과 결핍" 으로 도출되었으며 가족분거 유지단계는 "고갈된 독거인의 삶", "가족없는 공간을 채움", "분거기간의 장기화: 와도 걱정, 안와도 걱정" 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가족분거를 경험한 기러기아빠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장애인에서 노인으로: 장애와 노령의 접점에서 살펴본 장애인의 나이 들어감에 관한 연구 (On the Cross of Disability and Old Age)

  • 신유리;김정석;김경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4호
    • /
    • pp.143-167
    • /
    • 2016
  • 고령화시대의 진전과 함께 노령화, 노인, 노후 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나, 장애인의 그것에 대한 연구는 부진한 형편이다. 장애인들 또한 불가역적인 노화는 필연적인 경험이 되며, 장애와 노화의 중첩에 따른 이중적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이십여 년 이상 장애를 갖고 삶을 이어온 사오십대의 장애인들을 통해 장애와 나이 들어감의 동시적 진행과 공존의 모습을, 그리고 죽음의 의미를 탐색하려는 의도를 가진다. 이를 위해 초점집단 면접이 실시되었으며 나이 듦에 대해 자신의 경험을 풍부하고 분명하게 묘사하고 전달할 수 있는 사례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자료분석 결과에 의하면, 장애인들의 노화는 대체로 이차장애를 수반하는 한편, 노화와 그에 수반되는 경험들이 장애의 그것을 압도하기도 하는 현상이 목격된다. 그러나 이들의 노령은 비장애인들과의 노령과는 그 접점을 찾지 못하고, 여전히 노인들내에서도 장애인으로서의 차별을 절감하게 된다. 장애인은 나이 들어감에 따라 본인 또한 노인이 된다고는 느끼지만, 사회적으로는 여전히 노인보다는 장애인으로의 장벽에 둘러싸여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이 직면하는 나이 듦과 죽음을 삶의 한 과정으로 수용하는 가운데 오늘을 유의미하게 살아내는 의지의 장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비록 탐색적이나마, 비장애인들과는 또 다른 모습으로 나이 들어가는 삶의 경험을 해석하는 장애인들의 노화를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