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Spot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3초

소형가열면에서 CHF 발생시 Bubble 및 Dry Spot의 현상학적 거동 R-113의 수조비등 (Phenomenological behavior of Bubbles and dry spots at CHF on a short heated wall: Pool boiling of R-113)

  • 정흥준;김복득;천세영;노희천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D
    • /
    • pp.189-194
    • /
    • 2001
  • A simultaneous visualization of the behavior of bubbles and dry spots has been carried out for pool boiling of R-1l3 on a horizontal heater. From video imaging and image processing analysis, the formation of bubbles and dry spots occurs simultaneously, and therefore they should be considered as a synchronized concept rather than independent identities. The dry spot density is equivalent to the active site density in the region before CHF. At CHF point, large dry areas due to the coalescence of neighboring dry areas cover the heater surface.

  • PDF

RTM 공정의 실시간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 Time Control of Resin Transfer Molding)

  • 이도훈;박윤희;이우일;엄문광;변준형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9-82
    • /
    • 2003
  • In case of performing resin transfer molding (RTM), race track effects and non-uniform fiber volume fraction may cause undesirable resin flow pattern and thus result in dry spots, which affec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nished parts. In this study, a real time RTM control strategy to reduce these unfavorable effects is propos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and experiment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scheme is demonstrated.

  • PDF

수생균의 분비물질에 의한 Chlorella fusca의 성장 및 대사조절 (Regulation of Growth and Metabolic Activities of Chlorella fusca by Release Products of Some Aquatic Fungi)

  • Hassan, S.K.M.;Fadl-Allah, E.M.;Kobbia, I.A.;Shoulkamy, M.A.
    • 한국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81-190
    • /
    • 1990
  • The growth and biochemical activities of Chlorella fusca were studied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ither filtrates or mycelial mats of Saprolegnia ferax and Pythium graminicola. Low concentrations of both fungal filtrates exerted increase in total count, dry weight and in the biosynthesis of photosynthetic pigments, carbohydrates and nitrogen content. High concentrations showed inhibitory effect on both growth and biochemical activities of Chlorella fusca. Supplementation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dry mycelial mats of either fungi the culture of Chlorella showed elevation in biomass, dry weight, and biosynthesis of carbohydrates and nitrogen content especially at low concentrations. The contents of photosynthetic pigment were inhibited only at low concentrations. Neither the culture filtrate of Pythium nor Saprolegnia had cellulolytic activity, although polygalacturonase enzymes were detected, whereas chloroform-extract of both fungal filtrates showed blue spots under long wave light (366 nm).

  • PDF

보리의 생육초기 염 스트레스에 따른 생리적 반응과 프로테옴 변화 (Physiological and Proteomic Responses of Barley Seedlings to Salt Stress)

  • 김대욱;윤성근;박형호;황종진;한옥규;박태일;정건호;이재은;김선림;정영호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37-545
    • /
    • 2011
  • 본 연구는 간척지에서 재배가 가능한 내염성 보리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겉보리 두 품종을 대상으로 생육 초기 염 스트레스에 따른 생리적 반응과 잎 프로테옴의 발현 양상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토양의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보리의 건물중은 무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상록보리는 무처리구에 비해 건물중 감소가 작았으며, 선우보리는 컸다. 2. 염처리에 따른 잎의 엽록소 함량을 나타내는 SPAD 값은 상록보리가 57.6으로 47.6인 선우보리보다 높았으며, Na+의 함량은 선우보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K+/Na+의 비율은 상록 보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이차원전기영동에 의하여 염 스트레스에 의한 잎 프로테옴의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47개 단백질 spot이 발현양의 차이를 나타냈다. 품종별로 발현양이 증가한 단백질 spot은 상록보리와 선우보리에서 각각 17개와 14개로 나타났고, 발현양이 감소한 단백질 spot은 상록보리와 선우보리에서 각각 28개 및 27개로 확인되었다. 4. 염처리에 따른 발현양의 차이를 보이는 18개 단백질을 동정한 결과 ribosomal protein 등 기능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이 보고된 10개의 단백질과 ankyrin repeat domain protein 등 스트레스 조건에서의 역할이 명확하지 않은 4개의 단백질 및 Os02g0753300 등 기능 및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알 수 없는 2개의 단백질이 동정되었다.

공중이용시설 근무자 및 이용자의 자각증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e Symptoms of Workers and Users in Public Facilities)

  • 이종대;손부순;황보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5-183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subjective symptoms of workers and users in selected 5 public facility groups(offices, performance halls, private crammers, wedding halls and indoor sports facilities), located in Seoul,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Overall as subjective symptoms that were worse at public facilities than those usual, following responses appeared: I have a headache, My eyes are dry or feel irritated or itching, I feel eyestrain or my eyes are bloodshot, My nose was stuffy, I have a cough, I feel dry in the throat or inflammation happens, I feel oppressed in the breast or sometimes have difficulty in breathing, My skin gets dry, My skin is itching or has some spots, I feel like vomiting, I feel easily tired or sleep, I lose my concentration and I feel my memory is falling, I feel dizzy, I feel depressed, I feel being sharp and feel tension, I feel muscular pain or stiffness on shoulders, back and neck. Also, we compare with normal subjective symptoms scores and subjective symptoms scores in public facilities. The highest subjective symptoms score in at normal was my skin gets dry(2.35 points) and subjective symptoms score in public facilities was I feel eyestrain or my eyes are bloodshot(2.61 points).

RTM 공정의 실시간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 Time Control of Resin Transfer Molding)

  • 전영재;엄문광;변준형;이우일
    • Composites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35-43
    • /
    • 2005
  • 여러 복합재료 성형공정 중에서, Resin Transfer Molding(RTM)은 부피가 크고 일체형의 고성능 제품을 생산하기에 적합한 공정으로 주목받고 있다. 금형충전 중, 섬유 예비성형품과 금형벽면간의 밀착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발생하는 Race-track 현상과 금형재의 섬유예비성형품의 압착, 접힘, 뭉침 등에 의한 섬유부피분율의 불균일성과 같은 예기치 못한 영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유동선단이 불안정해지고, Dry spot 생성에 따른 제품의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조건을 적용한 이상적인 성형공정과 Race-track 현상 및 불균일한 섬유부피분율 등의 조건을 적용한 실제적인 성형 공정간의 실시간비교를 통한 공장변수 조절과 유동선단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이러한 결함을 줄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수치해석을 통해 투과율 Map구성과 압력조절 등을 이용한 제어기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실제공정에서 가능한 여러 가지의 결함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제어를 시도하여 만족한 만한 수지의 충전을 얻을 수 있었다.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seudocercospora pyricola Causing Leaf Spots on Aronia melanocarpa

  • Park, Sung-Hee;Choi, In-Young;Seo, Kyoung-Won;Kim, Jin-Ho;Galea, Victor;Shin, Hyeon-Dong
    • Mycobiology
    • /
    • 제45권1호
    • /
    • pp.39-43
    • /
    • 2017
  • Leaf spot disease on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was observed at several locations in Korea during 2014-2015. Leaf spots were distinct, scattered over the leaf surface and along the leaf border, subcircular to irregular and brown surrounded by a distinct dark color, and were expanded and coalesced into irregularly shaped lesions. Severely infected leaves became dry and fell off eventually. The causative agent was identified as Pseudocercospora pyricola. Morphological observations and phylogenetic analyses of multiple genes, includ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r,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actin, and the large subunit ribosomal DNA were conducted. The pathogenicity test was conducted twice yielding similar results, fulfilling Koch's postulate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P. pyricola infection of A. melanocarpa globally.

Dry-ice Pellet Cleaning 적용 옥외 금속문화재 표면 페인트 및 유성물질 제거방법 비교 연구 (Application Study of Dry-ice Pellet Cleaning for Removing Oil Paint and Lacquer of Outdoor Metal Artifacts)

  • 이지은;조남철;이종명;유재은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7-228
    • /
    • 2012
  • 문화재의 훼손은 다양한 형태로 발생된다. 특히 옥외에 노출되어 있는 금속문화재의 표면 손상은 인위적인 훼손인 페인트나 유성물질 성분의 낙서 등과 같은 행위로 유물의 역사적, 미술사적 가치를 저하시킨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dry-ice pellet cleaning을 페인트 및 유성물질을 제거하는데 적용하였으며 결과를 습포법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습포법으로 제거할 경우 유성페인트는 제거는 되었으나 금속 표면에 얼룩이 남아 있었으며 락카 스프레이는 제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수지가 들떠 있는 현상이 나타났다. Dry-ice pellet cleaning으로 유성페인트를 제거한 경우 표면관찰, 색도계, FT-IR, SEM 분석을 통해 유물 표면에 손상 없이 깨끗하게 제거되었으며 락카 스프레이로 제거한 경우 육안 관찰로는 깨끗하였으나 SEM 관찰 결과 미세 입자가 표면에 남아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dry-ice pellet cleaning의 대체 가능성과 한계성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울진토양에서의 137Cs 및 90Sr 분포 (Distributions of 137Cs and 90Sr in the Soil of Uljin, South Korea)

  • 송지연;김완;맹성진;이상훈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1권1호
    • /
    • pp.49-55
    • /
    • 2016
  • 연구배경: 우리나라 표층토양 중 원자력 발전소 주변 지역인 울진군을 중심으로 $^{137}Cs$$^{90}Sr$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토양 속 방사성핵종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한국토양에 발생한 $^{137}Cs$$^{90}Sr$의 농도에 대한 기준자료 확보와 원자력시설 주변 환경영향 평가의 강화가 목적이다. 재료 및 방법: 원자력 발전소 인근 10 km이내의 지역 14곳에서 2011년 4월 표층토양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깊이에 따른 분포 조사를 위하여 40 cm 까지의 토양을 덕구, 후정, 매화 지역에서 채취하였다. $^{137}Cs$의 농도는 HPGe 감마분광시스템으로, $^{90}Sr$의 농도는 방사평형상태의 $^{90}Y$을 기체 유동식 비례계수기로 계측하였다. 결과 및 논의: 표층토양에서 $^{137}Cs$의 방사능농도는 $<0.479-39.6Bq{\cdot}(kg-dry)^{-1}$(평균 $7.51Bq{\cdot}(kg-dry)^{-1}$), $^{90}Sr$의 방사능 농도는 $0.209-1.85Bq{\cdot}(kg-dry)^{-1}$(평균 $0.74Bq{\cdot}(kg-dry)^{-1}$)이었다. 방사능비($^{137}Cs/^{90}Sr$)는 9.67로서 전지구적 초기 방사성 낙진의 1.75보다 큰 값을 보였는데, 이는 낙진 이후 $^{90}Sr$의 심층으로의 빠른 이동성 때문이다. 깊이에 따른 분포는, 덕구와 후정의 토양에서 $^{137}Cs$ 의 농도가 표층토양에서 가장 높고 깊이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90}Sr$의 방사능농도는 표층 및 깊이 30 cm 부근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표층토양 방사능 농도와 표층토양 변수들(pH, 유기물함량, 입도)과의 선형 핏팅에서는 $^{137}Cs$ 방사능과 유기물함량 사이에 상당한 상관관계(결정계수 $R^2=0.6$)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울진 토양의 $^{137}Cs$$^{90}Sr$의 방사능농도 범위는 한국 다른 지역의 값과 유사함을 확인하였고 $^{137}Cs$ 방사능과 유기물함량 사이에 상당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