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al Core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6초

Dual Core 시스템에서 Shared Memory 기능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Shared Memory in the Dual Core System)

  • 장승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7-33
    • /
    • 2008
  • Linux에서 사용되는 Shared Memory는 동일한 메모리 영역에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이다. 본 논문은 Linux 운영체제에서 지원해 주는 System V의 IPC 중 하나인 Shared Memory를 Dual Core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도록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커널 단계에서 처리되는 SVR(System V Release) 형식의 Shared Memory를 다룬다. 기존의 공유메모리 방식은 단일 처리기를 이용한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dual core를 이용하여 공유메모리 처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Dual Core 시스템에서 공유 메모리 기능 구현은 기존의 단일 처리기 시스템에서보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공유 메모리를 이용한 프로세스의 동작이 별개의 CPU에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성능 향상을 꾀한다.

Dual Core 시스템에서 Shared Memory 기능 설계 (The Design of the Shared Memory in the Dual Core System)

  • 장승주;이광용;김재명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448-1455
    • /
    • 2008
  • 본 논문은 대부분의 Linux 운영체제에서 지원해 주는 System V의 IPC 중 하나인 Shared Memory를 Dual Core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도록 설계한다. Linux에서 사용되는 Shared Memory는 동일한 메모리 영역에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이 다. 본 논문에서는 Shared Memory의 큰 두 갈래 중 커널 단계에서 처리되는 SVR(System V Release) 형식의 Shared Memory를 다룬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운영체제의 공유 메모리 기능을 Dual Core 시스템에서 동작하도록 설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Dual Core 시스템에서 공유 메모리 기능 설계 방안은 듀얼 코어를 활용하여 기존의 단일 처리기 시스템에서보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공유 메모리를 이용한 프로세스의 동작이 별개의 CPU에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성능 향상을 꾀한다.

이중형코어를 갖는 W형 단일모드 광섬유의 전파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W-type Single Mode Fiber with Dual Shape Core)

  • 김정근;이대형;최병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7-63
    • /
    • 1991
  • 본 논문에서는 이중형 코어(Dual Shape Core)를 갖는 W형 단일모드 광섬유의 전파특성을 이론적으로 조사하였다. 스칼라 근사화방법을 이용하여 넓은 파장범위에서 저분산을 갖는 이중형 코어 W 형 단일모다 광섬유의 설계변수를 계산하였다. 그 계산결과를 단일형코어를 갖는 기존의 W형 광섬유와 비교하였을 때 보다 큰 코어반경을 갖고, 코어내의 모드필드의 접속효과가 보다 큼을 확인하였다.

  • PDF

수종 코어용 복합레진 수복재의 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ERIAL PROPERTIES OF VARIOUS COMPOSITE RESINS FOR CORE BUILD-UP)

  • 신수일;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2호
    • /
    • pp.191-199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recently developed domestic composite resins for core filling material (Chemical, Dual A, Dual B;Vericom, Korea) and to compare them with other marketed foreign products (CorePaste, Den-Mat, USA;Ti-Core, Essential Dental Systems, USA;Support. SCI-Pharm. USA). Six assessments were made:working time. setting time. depth of polymerization. flexural strength. bonding strength. and marginal leakage. All items were compared to ISO standards. All domestic products satisfied the minimum requirements from ISO standards (working time:above 90 seconds. setting time:within 5 minutes).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lexural strength than Core Paste. Dual A and B could. especially. reduce the setting time to 60 seconds when cured with $600mW/cm^2$ light intensity. All experimental materials showed 6 mm depth of polymerization. Bond strengths of Ti-Core and Dual B materia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materials. Furthermore. three domestic products and Ti-Core could reduce the microleakage effectively.

두께에 따른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의 중합 (Polymerization of dual cured composites by different thickness)

  • 김윤주;진명욱;김성교;권태엽;김영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3호
    • /
    • pp.169-176
    • /
    • 2008
  • 본 연구는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에서 재료의 두께, 충전방법 및 중합방법에 따른 중합도를 미세경도 시험을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으로는 MultiCore Flow (Ivov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와 Bis-Core (Bisco Inc., Schaumburg IL, USA)를 사용하였다. 시편의 제작은 각각 두께가 2(단일충전), 4 (단일충전), 6 (단일충전과 적층충전), 8 (단일충전과 적층충전) ㎜의 Teflon mold에 재료를 주입한 다음 할로겐 광중합기 (Optilux 501, Kerr, Danbury, USA)를 사용하여 광중합하거나 암실에서 30분 동안 기다린 후(자가 중합) Teflon mold에서 제거하였다. 제거한 시편은 $37{\circ}C$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각 시편의 윗면과 아랫면을 2000번 연마제와 PoGo system (Dentsply, Konstanz, Germany)을 이용하여 마무리하였다. Digital microhardness tester (FM-7, Future-Tech Corp.,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경도값(Knoop hardness number)을 측정하였으며 윗면의 경도값/아랫면의 경도값을 이용하여 경도비를 계산하였다. 계측치는 one-way ANOVA로 통계 분석 후 사후검정은 Scheffe 다중비교법을 이용하였다.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의 중합도에 대한 두께의 영향을 보면 재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2, 4, 6 mm 군에서는 MulriCore Flow와 Bis-Core 모두 두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8 mm 군에서는 MultiCore Flow의 아랫면에서 다른 두께의 군보다 낮은 경도값을 보였다. 충전방법에 따른 중합도의 차이를 보면, 재료의 두께나 재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6 mm 군에서는 단일충전군과 적층충전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8 mm 군에서는 Bis-Core에서는 차이가 없는 반면 MultiCore Flow에서는 단일충전한 군이 적층중전한 군보다 낮은 경도비를 보였다. 중합방법에 따른 중합도의 차이를 보면, 재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Bis-Core의 경우에는 윗면과 아랫면 모두에서 이중 중합 시킨 군이 자가 중합 시킨 군보다 높은 경도값을 보였다. 그러나 MultiCore Flow의 경우, 윗면에서는 이중중합 시킨 군이 더 높은 경도값을 보였지만 아랫면에서는 더 낮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코어용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을 깊은 와동에 충전할 경우 적층충전이 추천되며, 또한 광중합을 해 줌으로써 더 좋은 물리적 성질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두께에 따른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의 중합 (Polymerization of dual cured composites by different thickness)

  • 김윤주;진명욱;김성교;권태엽;김영경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8년도 Spring Scientific Meeting(the 129th) of Korean Academy if Conservative Dentistry
    • /
    • pp.169-176
    • /
    • 2008
  • 본 연구는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에서 재료의 두께, 충전방법 및 중합방법에 따른 중합도를 미세경도 시험을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으로는 MultiCore Flow (Ivov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와 Bis-Core (Bisco Inc. Schaumburg IL, USA)를 사용하였다. 시편의 제작은 각각 두께가 2 (단일충전). 4 (단일충전), 6 (단일충전과 적층충전), 8 (단일충전과 적층충전) mm의 Teflon mold에 재료를 주입한 다음 할로겐 광중합기 (Optilux 501 Kerr, Danbury, USA)를 사용하여 광중합하거나 암실에서 30분 동안 기다린 후(자가 중합) Teflon mold에서 제거하였다. 제거한 시편은 $37^{\circ}C$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각 시편의 윗면과 아랫면을 2000번 연마제와 PoGo system (Dentsply, Konstanz, Germany)을 이용하여 마무리하였다. Digital microhardness tester (FM-7, Future-Tech Corp.,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경도값(Knoop hardness number)을 측정하였으며 윗면의 경도값/아랫면의 경도값을 이용하여 경도비를 계산하였다. 계측치는 one-way ANOVA로 통계 분석 후 사후검정은 Scheffe 다중비교법을 이용하였다.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의 중합도에 대한 두께의 영향을 보면 재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2, 4, 6 mm군에서는 MultiCore Flow와 Bis-Core 모두 두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8 mm 군에서는 MultiCore Flow의 아랫면에서 다른 두께의 군보다 낮은 경도값을 보였다. 충전방법에 따른 중합도의 차이를 보면 재료의 두께나 재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6 mm 군에서는 단일충전군과 적층충전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8 mm 군에서는 Bis-Core에서는 차이가 없는 반면 MultiCore Flow에서는 단일충전한 군이 적층충전한 군보다 낮은 경도비를 보였다. 중합방법에 따른 중합도의 차이를 보면, 재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Bis-Core의 경우에는 윗면과 아랫면 모두에서 이중 중합 시킨군이 자가 중합시킨 군보다 높은 경도값을 보였다. 그러나 MultiCore Flow의 경우, 윗면에서는 이중중합 시킨 군이 더 높은 경도값을 보였지만 아랫면에서는 더 낮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코어용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을 깊은 와동에 충전할 경우 적층충전이 추천되며, 또한 광중합을 해줌으로써 더 좋은 물리적 성질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ual Core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공유 메모리 사용 기능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Efficient Shared Memory in the Dual Core System)

  • 장승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43-544
    • /
    • 2009
  • 본 논문은 Linux에서 사용되는 Shared Memory는 동일한 메모리 영역에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Shared Memory의 큰 두 갈래 중 커널 단계에서 처리 되는 SVR(System V Release) 형식의 Shared Memory를 다룬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운영체제의 공유 메모리 기능을 Dual Core 시스템에서 동작하도록 구현한다.

철도 변전설비를 위한 싸이리스터 이중 컨버터 전력 시스템의 제어 기법 (Control Algorithm of Thyristor Dual Converter Power System for Railway Power Substations)

  • 한성우;이창희;김영우;문동옥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73-579
    • /
    • 2015
  • A control algorithm of thyristor dual converter power system is proposed in this study for a railway power substation. The thyristor dual converter can use regenerative power without an additional system using control algorithm. An autonomous voltage and mode change method is also proposed to provide uninterrupted power to the railway. A 10 kW reduced model of the thyristor dual converter power system is built and tes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control algorithm.

강도저항형 코어와 프레임 구조의 진동주기차를 이용한 듀얼프레임 제진시스템의 응답특성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Dual-frame Passive Control System with the Natural Period Difference between the Strength Resistant Core and Frame Structure)

  • 김태경;최광용;오상훈;유홍식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273-282
    • /
    • 2015
  • In this study, shaking table test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dual frame passive control system for seismic performance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system. The proposed system was separated into two independent frameworks that are strength resistant core and frame structure by connecting to the damper. Moreover, the seismic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proposed system has been verifi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roposed system with an existing core system. As a result of the shaking table test, acceleration and displacement responses of dual-frame vibration control system are decreased than those of the existing strength resistant type core system. In the case of the core system, while the damage was concentrated on the column of first floor, the damage of the dual system was dispersed in each layer. The damage also was concentrated on the damper, almost no damage occurs to the structural members. It has been emphasized that installed dampers in the proposed dual system reduce the input energy of whole structure by absorbing seismic input energy, which leads overall system damage to be reduced.

소프트 에러 발생 시 자동 복구하는 이중 코어 지연 락스텝 프로세서의 설계 (Design of a Delayed Dual-Core Lock-Step Processor with Automatic Recovery in Soft Errors)

  • 김주호;양성현;이성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683-68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차량 전자 시스템에서 소프트 에러와 공통 고장에 대응하기 위해 두 개의 코어를 지연 동작시킨 후 그 결과를 비교하는 D-DCLS(Delayed Dual Core Lock-Step) 프로세서를 설계하였다. D-DCLS는 어느 코어에서 에러가 발생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각 코어를 에러가 발생하기 이전 시점으로 되돌려야 하는데 파이프라인 스테이지 상의 모든 중간 계산값을 되돌리기 위해서는 복잡한 하드웨어 수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쉽게 구현하기 위해 분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마다 모든 레지스터 값을 버퍼에 저장해 두었다가 에러가 발생하면 저장된 레지스터 값을 복구한 후 'BX LR' 명령어를 수행하여 해당 분기 시점으로 자동 복구하도록 하였다. 제안하는 D-DCLS 프로세서를 Verilog HDL로 설계하여 에러가 감지되었을 때 자동으로 복구한 후 정상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