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ration of the white signal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A Study on the healing factors of Forest Sound

  • Yi, Eun-Young;Bae, Myung-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9권2호
    • /
    • pp.70-77
    • /
    • 2017
  • Where there are all the flowers, the songs of all kinds of insects and birds are put in, the sunshine and shadows flicker The forest through which the water sound flows is an optimum resting space. All living creatures in these spaces will awaken the five senses of humans and perhaps turn the sensibility index (EQ). The forest meditation in the forest, which can be an optimal shelter for the people who need it, needs to feel the reverence of nature, to refine emotions, to be a self-reflection, to have a mind to respect,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this paper, we tried to consider the cause of the influence of forest sounds on human hearing from the acoustical aspect. The type of sound source of forest was divided into four seasons of spring, summer, autumn, winter. And the change in the duration of the sound during the four seasons, so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ounds of the four seasons are as follows: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 in the ratio of sub-band energy is almost equal to the change in dB in frequency of the equal-light curve. To compare this phenomenon, the criterion for changing the sound duration of each forest is natural The main forms of the luminance curve, such as the change in the duration of the white signal in the sound, are determined by the minimum, maximum audible frequency and the most sensitive frequency band, and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of the other three inflection points Determines the overall shape of the equal-light curve.

지속시간항을 갖는 AR HMM을 이용한 잡음환경에서의 강인 화자인식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Robust Speaker Recognition System in Noisy Environment Using AR HMM with Duration-term)

  • 이기용;임재열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26-33
    • /
    • 2001
  • 기존의 AR HMM(auroreg ressive hidden morkov model)에 의한 화자인식 방법은 그 성능이 우수하나, 잡음에 대한 것이 고려되지 않아 실제 환경에 적용시 성능저하가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환경에 맞추기 위하여 관측 신호 모델에서 잡음을 고려하고, 화자인식 성능을 개선하고자 지속시간항 (duration-term)을 포함하는 AR HMM을 이용하여 잡음환경에서의 강인한 화자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100명의 화자 (남자 77명, 여자 23명)가 2주에 걸쳐 6번 발성한 숫자음 데이터베이스을 가지고, 백색잡음 및 자동차 잡음하에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으로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PDF

과도응답신호의 잡음제거기법 (A Denoising Method for the Transient Response Signal)

  • 안호일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8권3호
    • /
    • pp.117-122
    • /
    • 2001
  • 함정에 탑재되는 주요장비는 내충격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충격시험을 실시하고 계측된 신호는 최대충격가속도, 지속시간, 응답스펙트럼 등 충격응답신호의 신간이력을 분석한다. 그러나 계측된 신호는 배경잡음, 계측기오차, 케이블의 과도운동 등으로 충격성잡음과 백색잡음으로 인한 신호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충격시험으로부터 정확한 시간이력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잡음을 제거해야 한다. 충격성잡음은 중간값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백색잡음은 웨이블렛의 계수값을 축소함으로써 잡음이 제거된 충격응답신호의 시간이력으로부터 정도높은 최대충격, 지속시간 및 충격응답스펙트럼이 획득가능하다. 제안된 기법의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해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신호대잡음비가 30dB 이상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실제계측된 수중폭발충격신호에 적용시켜 향상된 충격응답스펙트럼을 추출하였다.

  • PDF

Joint synchronization and parameter estimation in OFDM signaling

  • Sara Karami;Hossein Bahramgiri
    • ETRI Journal
    • /
    • 제45권2호
    • /
    • pp.226-239
    • /
    • 2023
  • Challenges in cognitive radio and tactical communications include recognizing anonymously received signals and estimating parameters in a blind or semi-blind manner. In this paper, we examine this issue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ignaling. There are several parameters in OFDM signaling, and the blind receiver must extract and consider the synchronization issue. We assume that the blind receiver is aware of modulation type, OFDM, and not aware of chip duration and the length of cyclic prefix. First, we present new criteria based on kurtosis to estimate these parameters and compare their performance at different levels of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with methods based on correlation, kurtosis, maximum likelihood, and matched filter. Then, we perform synchronization and estimate the start time based on these criteria and several new criteria in two steps: fine and coarse synchronization. Finally, in a more practical setup, we present the idea of jointly estimating the mentioned parameters and the signal start time as coarse synchronization. We compare different criteria and show that one of the proposed criteria has the highest efficiency.

DFT를 이용한 잔향이 긴 음향 전달계의 임펄스 레스폰스 추정에 관한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Methods Estimating the Impulse Response of a System with Long Reverberation Time using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 김천덕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6-38
    • /
    • 1988
  • 이 논문은 긴 잔향을 갖는 실내의 음향전달계의 임펄스 레스폰스를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의 알고리즘으로 크로스 스펙트럼 (cross spectrum method)에 의해 구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첫째의 방법은 종래부터 사용되어온 방법으로 음원신호로서 백색잡음(white noise)을 사용한다. 따라서, 임펄스 레스폰스 추정시 매우 긴 시간창의 데이터와 다수회의 DFT를 행하여야 한다. 두번째 방법은 음원신호로써 짧은 지속시간의 랜덤노이즈(random noise)를 사용하여 첫번째 방법에서 DFT수행시 데이타의 시간창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하여 개발된 방법이다. 세번째 방법은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음원신호로써 짧은 지속시간의 두 종류의 확정산호를 교차하여 발생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DFT수행시 시간창의 길이는 두번째 방법과 같고 FFT 계산횟수는 5번으로 행할 수 있다. 이들 음원신호에 대해 잔향이 긴 음향전달계의 임펄스 레스폰스 측정은 전자계산기의연산처리능력과 임펄스 레스폰스 측정정도의 관점에서 비교 시험한 결과는 마지막 방법이 가장 유리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Immunohistochemistry of Janus Kinase 1 (JAK1) Expression in Vitiligo

  • Abdou, Asmaa Gaber;Maraee, Alaa;Yassien, Hossam;Sarhan, Mona
    • 대한병리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363-368
    • /
    • 2018
  • Background: Vitiligo is a chronic autoimmune disease in which the destruction of melanocytes causes white spots on the affected skin. Janus kinase (JAK) is a family of intracellular, non-receptor tyrosine kinases that transduce cytokine-mediated signals via the JAK-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pathway.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le role of JAK1 in the pathogenesis of vitiligo using immunohistochemical methods. Method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in a sample of 39 patients who presented with vitiligo and 22 healthy individuals who were age and sex matched as a control group. We used immunohistochemistry to evaluate JAK1 status (intensity and distribution) and assess the percentage of residual melanocytes using human melanoma black 45 (HMB45). Results: Intense and diffuse JAK1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indicate vitiliginous skin compared to normal skin (p<.001). Strong and diffuse JAK1 expression was associated with short disease duration, female sex, and lower percentage of melanocytes (detected by HMB45) (p<.05). Conclusions: JAK1 may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vitiligo, as indicated by intense and diffuse expression compared to control and association with lower percentage of melanocytes detected by HMB45 immunostaining.

다중 경로 채널에서 임펄스 라디오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Impulse Radios for Mu1tipath Channels)

  • 이호준;한병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1B호
    • /
    • pp.1501-1509
    • /
    • 2001
  • 최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한정된 주파수 자원의 효과적인 배분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의 근본적인 해결 방안으로서, 초광대역 시간도약 임펄스 라디오 시스템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임펄스 라디오 시스템은 PPM 변조된 데이터를 1 nsec 이하의 매우 짧은 펄스폭을 갖는 가우시안 모노사이클 펄스를 사용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전송 신호는 매우 낮은 전력의 수 GHz에 이르는 초광대역 스펙트럼을 갖게 되며, 기존의 통신 시스템에 거의 간섭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임펄스 라디오 신호의 다중 경로 전파 특성을 파악하고 다중 경로 환경에서 상관기를 사용하는 수신기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결정론적인 2-path 모델과 Saleh와 Valenzuela의 통계적 실내 다중 경로 모델을 고려하였다. 2-path 모델에 대하여 이상적인 기준 파형을 사용하는 상관기의 출력이 간접 경로의 지연 시간과 PPM 이진 데이터의 시간 지연의 상대적 차와 간접 경로의 경로 이득에 의존함을 보이고 모의 실험을 통하여 두 모델에 대한 임펄스 라디오의 비트 오율 특성을 관측하였다. 모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임펄스 라디오의 성능은 간접 경로의 지연 시간과 PPM 이진 데이터의 시간 지연의 상대적 차에 따라서 변하는 것이 관측되었다. 또한 기존의 AWG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채널 환경에서 사용되는 기준 파형을 다중 경로 채널에서 적용할 수 없음을 관측하였다.

  • PDF

3T MR 스핀에코 T1강조영상에서 적정의 숙임각 (3T MR Spin Echo T1 Weighted Image at Optimization of Flip Angle)

  • 배성진;임청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2호
    • /
    • pp.177-182
    • /
    • 2009
  • 목 적 : 영상진단영역에서 이용되고 있는 3T(T, tesla) MR의 스핀에코(SE, spin echo) T1강조영상(T1-Weighted image)기법에서 숙임각(FA, flip angle)의 변화에 따른 영상의 질을 나타내는 신호대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 대조도 잡음비(CNR, contrast to noise ratio)를 평가한 후 특이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을 줄이면서 CNR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정의 숙임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고식적 스핀에코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90$^\circ$ RF pulse 대신 50$^\circ$ RF pulse에서 130$^\circ$까지 10$^\circ$씩 증가시키면서 대뇌 T1강조영상을 획득하였다. 이 영상들에서 백질(WM, white matter), 회백질(GM, gray matter)과 배경(background)에서 각각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SNR를 구하였고, 기존의 T1 이완곡선 R1 = 1- exp ($\frac{-TR}{T1}$)으로, 즉 Ernst angle cos $\theta$ = exp ($\frac{-TR}{T1}$)과의 관계성으로 T1강조영상에서 WM과 GM의 SNR과 CNR의 정규성 검정과 비모수 검정인 Kruskal-wallis 분석으로 적정의 숙임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 : WM와 GM의 신호강도와 배경잡음 신호강도를 이용하여 SNR를 구한 결과 WM의 SNR는 숙임각 50$^\circ$보다 130$^\circ$에서 1.6배 정도 증가하였고, GM의 SNR는 약 1.9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두 조직의 SNR은 T1 이완곡선과 동일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R1 = 1- exp ($\frac{-TR}{T1}$)으로 분석한 SNR의 신호증가가 둔화되는 기점이 WM은 120$^\circ$의 숙임각에서, GM은 110$^\circ$ 이후로 나타나 두 조직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WM과 GM의 SNR는 130$^\circ$의 숙임각에서 높았지만 CNR에 있어서는 80$^\circ$에서 최고 높게 나타났으며, 80$^\circ$ 전후의 숙임각에서는 감소하였다. 결론 : 3.0T MR의 SE T1강조영상 기법에서 숙임각의 증가에 따라 SNR는 증가하였지만 CNR는 이전까지의 임상에서 사용하는 숙임각이 90$^\circ$ 보다 적은 80$^\circ$에서 CNR이 최고로 나타나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숙임각보다 10$^\circ$ 낮은 RF pulse duration time 사용함으로써 3T에서 문제로 제기된 SAR도 줄일 수 있었다. 앞으로 3.0T MR의 SE T1강조영상 기법에서 적정 숙임각을 사용함으로서 CNR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