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namic Panel Data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4초

A Test for Autocorrelation in Dynamic Panel Data Models

  • Jung, Ho-Sung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7-173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n autocorrelation test that is applicable to dynamic panel data models with serially correlated errors. The residual-based GMM t-test is a significance test that is applied after estimating a dynamic model by using the instrumental variable(IV) method and is directly applicable to any other consistently estimated residuals. Monte Carlo simulations show that the t-test has considerably more power than the $m_2$ test or the Sargan test under both forms of serial correlation (i.e., AR(1) and MA(1)).

  • PDF

A TEST FOR AUTOCORRELATION IN DYNAMIC PANEL DATA MODELS

  • Jung, Ho-Sung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34권4호
    • /
    • pp.367-375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n autocorrelation test that is applicable to dynamic panel data models with serially correlated errors. The residual-based GMM t-test is a significance test that is applied after estimating a dynamic model by using the instrumental variable (IV) method and is directly applicable to any other consistently estimated residuals. Monte Carlo simulations show that the t-test has considerably more power than the $m_2$ test or the Sargan test under both forms of serial correlation (i.e., AR(1) and MA(1)).

외환위기 이후 생산성 추이와 교육훈련효과 - 상장제조기업 자료를 이용한 동적 패널 분석 - (The Productivity Trend and the Effect of the Corporate Education & Training after Financial Crisis - A Dynamic Panel Data Analysis using the Listed Manufacturing Companies' Data -)

  • 반가운
    • 노동경제논집
    • /
    • 제32권2호
    • /
    • pp.95-124
    • /
    • 2009
  •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상장제조기업의 생산성 추이 및 교육훈련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환위기 이후 상장제조기업은 시간이 흐를수록 저 생산성 국면에 빠지게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상장제조기업의 고용 없는 성장, 물적 투자 없는 성장, 인적자본투자 없는 성장 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생산성이 높은 기업의 고용비중이 늘고, 낮은 기업의 고용비중이 주는 효율적인 노동시장이 거의 작동하지 않았다. 또한 교육훈련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기 위해 동적 패널 분석을 실시할 경우 교육훈련의 과소투자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훈련의 생산성에 대한 지나치게 높은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는 모순적 현상이 상당 부분 해결되었다.

  • PDF

동적 다변량 그래프의 연속적 분석을 위한 질의 모델 설계 및 구현 (A Query Model for Consecutive Analyses of Dynamic Multivariate Graphs)

  • 배예찬;함도영;김태양;정혜진;김동윤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03-11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동적 다변량 그래프 데이터의 연속적 분석이 가능한 질의 모델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먼저, 질의 모델을 판별함수 설정과 시간에 따른 통합 방법 선택의 두 단계로 설계하고, 질의 패널, 그래프 시각화 패널, 속성 패널로 구성된 질의 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또한, 그래프 표현에는 노드-링크 다이어그램과 Force-Directed Graph Draw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였으며, 질의 결과로 선택된 대상들에 효과를 적용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처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세계 소형 무기 거래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설계한 동적 다변량 그래프 질의 모델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동적 그래프의 연속적 분석이 가능한 새로운 질의 모델을 설계하는 것을 통해, 기존 모델이 동적 그래프를 시점별로 이산적으로만 분석할 수 있는 한계를 개선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추세 분석이나, 복잡계 네트워크 해석 등 동적 그래프를 사용하는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시도별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경유제품 수요함수 추정 (Estimation of diesel fuel demand function using panel data)

  • 임찬수
    • 에너지공학
    • /
    • 제26권2호
    • /
    • pp.80-92
    • /
    • 2017
  •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5년까지의 16개 시도별 경유수요량, 경유제품 판매가격(유통단계), 및 총 부가가치생산의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패널GLS, 고정효과(Fixed Effect), 확률효과(Random Effect) 및 동적패널(Dynamic Panel) 모형을 통해 국내 경유수요함수를 추정하고, 이를 통해 가격탄력성과 소득탄력성을 추정하였다. 단기 가격탄력성은 -0.2146(패널GLS), -0.2886(고정효과), -0.2854(확률효과), -0.1905(동적패널)로 추정되었고, 단기 소득탄력성은 0.7379(패널GLS), 0.4119(고정효과), 0.7260(확률효과), 0.4166(동적패널)로 추정되었는데, 모두 비탄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가격탄력성과 장기 소득탄력성은 동적패널을 통해 추정하였고, 각각 -0.4784, 1.0461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경유 수요는 소득에 증감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비탄력적이나, 장기적으로는 탄력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추가로 서울지역을 기준으로 지역변수를 더미변수(Dummy Variables)로 하여 각 지역의 경유수요로의 효과를 검정하였는데, 10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되었다.

The Impact of Inflation on Chinese Housing Bubble -Empirical Study Based on Provincial Panel Data-

  • 고풍목;판강지;장연연
    • 부동산연구
    • /
    • 제27권1호
    • /
    • pp.33-44
    • /
    • 2017
  • 최근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이 부동산 가격의 상승을 유발시킨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6-2014년의 중국 성별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인플레이션이 중국 부동산시장의 버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정태 및 동태(static and dynamic) 패널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인플레이션이 중국 부동산 버블형성의 주요 원인이며 중국 동부지역에서 그 영향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는 더불어 중국부동산거품이 일정 정도 시장자체조정기제의 영향을 받았다는 흥미로운 현상을 발견했다.

Puget Sound Transportation Panel을 이용한 활동참여와 통행행동의 Dynamic SEM (Dynamic Structural Equation Models of Activity Participation and Travel Behavior using Puget Sound Transportation Panel)

  • 최연숙;정진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29-14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사회, 경제적 특성과 활동참여, 통행행동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개인의 사회 경제적 특성을 시간 변동 외생변수와, 시간 불변동 외생변수로 설정하고 개인의 활동참여와 통행행동에 관한 변수를 내생변수로 설정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991년, 1992년 미국 Puget Sound 지역의 Transportation Survey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Panel 자료의 변수 간 복잡한 상호관계를 규명해 내기 위하여 Dynamic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구축하였다. 활동참여와 통행행 동에 관한 10개의 내생변수와 개인의 사회, 경제적 특성인 10개의 외생변수를 사용하여 모형추정을 한 결과, 개인의 생계활동에 의해 유지활동과 여가활동은 시간적 제약을 받고, 여가활동은 유지활동에 제약을 받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개인의 사회경제지표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활동 패턴은 과거 연도의 각 활동 지속시간과 통행패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Panel 자료 분석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보다 충실한 활동기반모형의 구축을 위해서는 Panel 자료의 구축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된다.

SP 패널데이터의 Bias를 고려한 동적모델 (Dynamic Model Considering the Biases in SP Panel data)

  • 남궁문;성수련;최기주;이백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3-75
    • /
    • 2000
  • SP 데이터는 데이터 수집의 효율이 RP 데이터 보다 높고 장래의 교통 시스템의 조건이나 속성에 대한 응답자들의 태도를 조사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SP 데이터는 주요하게 두 가지 편위를 가지고 있는데 SP 설문조사시에 발생하는 응답편위와 SP 패널조사시에 발생하는 누락편위이다. 이러한 SP 데이터의 편위가 수정되지 않으면 장래의 잘못된 교통수요예측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SP 모델의 편위와 상태의존을 고려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6개의 횡단면 모델과 동적모델을 제안하였다. 횡단면 모델 중 RP데이터의 선택결과를 고려한 모델을 이용하여 SP모델의 편위를 보완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할 수 있었으며 동적모델의 경우에 패널데이터의 상태의존도를 지수함수로 가정하여 상태의존도를 고려한 동적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패널조사시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누락데이터에 의한 누락편위를 모델에 고려하기 위하여 WESML방법을 적용하여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그 결과 상태의존도를 보다 세밀하게 제어함으로서 모델의 설명력을 개선시키고 향후 SP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동적모델의 적용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델의 유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전주시의 외각 지역인 호남제일문 방향에서 도심으로 접근하는 3개의 주경로(천변로, 기린로, 팔달로)에 대한 패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모델을 구축하였다.

  • PDF

Empirical Study of Dynamic Chinese Corporate Governance Based on Chinese-listed Firms with A Panel VAR Approach

  • Shao, Lin;Zhang, Li;Yu, Xiaohong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1호
    • /
    • pp.5-13
    • /
    • 2017
  • Purpose - In this article, a dynamic model like a VAR is an appropriate choice for estimating the possible interrelationship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firm performance as a dynamic proces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Data of this work are collected from Chinese stock exchange including 350 Chinese-listed firms during the period of 1999-2012. We hypothesize that this interrelationship dynamically exists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firm performance. To examine the correlation, a panel Vector Auto-regression (PVAR) approach generated by GMM method is utilized to test the possible dynamic relation embedded in corporate governance. Another two dynamic analysis solutions such as orthogonalized impulse-response function and variance decomposition are also used simultaneously. Results -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e evidence that dynamically endogenous relationship exists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firm performance. Further, there is a dynamical correlation between investment and performance. Impulse response and variance decomposition illustrate that impact of a shock to variables themselves is the main source for their variability. Conclusions - The conclusion in this study is that there is a bidirectional and inter-temporal effect between proportion of ownership and corporate performance for a long run in accordance with impulse response function.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corporate governance in China is more market oriented.

반복횡단면자료의 패널화에 대한 연구: 농가경제조사의 경우 (Constructing Panel Data Using Repeated Cross-sectional Survey Data : A Case of Farm Household Survey and Its Analysis)

  • 강석훈;방태경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2호
    • /
    • pp.89-112
    • /
    • 2011
  • 본 연구는 농가경제조사를 패널자료화한 결과와 패널화된 자료를 이용하여 실제로 자료를 분석하는 예를 제시하였다. 본고의 분석결과 예시는 농가경제조사와 같은 반복횡단면자료의 경우 사후적으로 패널화함으로써 다양한 동태분석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횡단면가중치의 존재를 감안하였을 때 종단면가중치 문제도 비교적 수월하게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할 때 최근 통계청에서 새롭게 패널조사를 실시하려는 계획을 수립, 집행하고 있는 바, 이와 더불어 통계청에서 기존에 실시하고 있는 유사한 구조의 반복횡단면조사의 경우에도 패널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물론 이러한 패널화 작업의 이점은 실제로 패널조사로 진행되고 있는 사업체조사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에는 사업체 횡단면자료의 패널화작업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