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namic toe resistanc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4초

진동타입기의 사하중이 말뚝의 하중전이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ias Weight of Vibratory Pile Driver on Load Transfer Characteristics of Piles)

  • 이승현;김병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268-5273
    • /
    • 2013
  • 진동타입기에 의해 시공되는 말뚝 해석을 위해 해석기법을 개발하고 진동타입기의 사하중 크기 변화에 따른 해석결과를 분석하였다. 주면마찰에 대한 하중전이곡선은 사하중이 감소함에 따라 연직하향으로 이동하는 결과를 보였다. 사하중이 감소함에 따라 주면마찰에 대한 하중전이곡선의 형상은 점점 뚜렷한 코일 형상을 띄었다. 선단저항의 크기는 사하중의 크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선단저항에 대한 하중전이곡선의 형상은 주면마찰에 대한 하중전이곡선에서와 마찬가지로 사하중이 감소함에 따라 점점 뚜렷한 코일 형상을 띔을 알 수 있었다. 사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연직변위도 크게 계산되었으며 시간에 따른 연직변위의 형상에 있어서는 사하중이 감소함에 따라 마루와 골이 점점 뚜렷해지는 파형을 보였다.

A large-scale test of reinforced soil railway embankment with soilbag facing under dynamic loading

  • Liu, Huabei;Yang, Guangqing;Wang, He;Xiong, Baoli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2권4호
    • /
    • pp.579-593
    • /
    • 2017
  •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can be employed as railway embankments to carry large static and dynamic train loads, but very few studies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 that investigate their dynamic behavior under simulated wheel loading. A large-scale dynamic test on a reinforced soil railway embankment was therefore carried out. The model embankment was 1.65 meter high and designed to have a soilbag facing. It was reinforced with HDPE geogrid layers at a vertical spacing of 0.3 m and a length of 2 m. The dynamic test consisted of 1.2 million cycles of harmonic dynamic loading with three different load levels and four different exciting frequencies. Before the dynamic loading test, a static test was also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general behavior of the embankment behavior. The study indicated the importance of loading frequency on the dynamic response of reinforced soil railway embankment. It also showed that toe resistanc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ynamic behavior of the embankment. Some limitations of the test were also discussed.

Seismic evaluation of cemented material dams -A case study of Tobetsu Dam in Japan

  • Arefian, Amir;Noorzad, Ali;Ghaemian, Mohsen;Hosseini, Abbas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0권3호
    • /
    • pp.717-733
    • /
    • 2016
  • Trapezoidal Cemented Sand and Gravel Dam, namely Trapezoid CSG, is a new type of dam. Due to lack of dynamic studies in the field of CSG dam,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analyze Trapezoidal CSG dam using dynamic Finite element method with ABAQUS Software. To investigate possible earthquake-induced damages, fragility curves are plotted based on damage index, the length of the cracks created at the dam base and the area of cracked elements in the dam. The seismic analysis indicated that minimum and maximum tensions are generated in the heel and toe of the dam,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fragility curves, with increase in PGA, the possibility of the exceeding the defined limit state is increased. However, the rate of increment i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PGA=0.4 g. Also, the same result is achieved for the second limit state. The "area of cracked elements" is more conservative criterion than the "crack length at the dam base", especially at PGA<0.4 g. As conclusion, CSG dams, despite of being made of poor materials in comparison with concrete dams, show good resistance, and even in some situation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weighted concrete dams.

매개변수연구를 통한 진동타입말뚝 해석기법 평가 (Evaluation of Analysis Technique for Piles Driven by Vibration through Parametric Study)

  • 이승현;이수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749-1755
    • /
    • 2014
  • 진동해머에 의해 시공되는 말뚝의 해석기법을 개발하고 매개변수연구를 수행하여 개발된 해석기법의 신뢰성을 평가해보았다. 편심모멘트와 진동수에 따른 매개변수해석을 통해 구한 가속도를 비교분석해 본 결과 최대가속도의 크기는 대략적으로 편심모멘트에 비례하였으며 진동수의 제곱에 비례하였다. 또한 변위진폭은 편심모멘트에 비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진동수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는데 이러한 경향은 공운전시의 거동특성과 유사하다. 매개변수해석을 통해 구한 동적 하중전이곡선을 비교해 볼 때 편심모멘트와 진동수의 크기에 관계없이 최대 동적단위선단저항력의 크기는 동일하였으며 최대 동적단위주면마찰력의 크기는 편심모멘트에 영향을 받으나 진동수와는 무관하였다. 매개변수해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해 볼 때 개발된 해석기법은 합리적인 해석결과를 보인다고 볼 수 있다.

동재하시험결과 분석을 통한 송도지역 590MPa급 고강도 강관말뚝의 항타관입성 및 지지력 특성 분석 (Driveability and Bearing Capacity Characteristics Analysis of 590 MPa Grade High Strength Steel Pipe Pile at Songdo Area through Dynamic Load Tests)

  • 나승민;홍봉균;유한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81-90
    • /
    • 2011
  • 강관말뚝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개발되어 현장적용되고 있는 590MPa급 고강도 강관말뚝의 항타관입성과 지지력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천 송도지역에 총 18본의 다양한 지름/두께 및 강도별로 강관말뚝을 시공하고 이에 대한 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항타관입성은 일반강도와 고강도간의 타격횟수, 관입깊이, 건전도 등을 확인하여 비교하였으며, 파일 지지력은 동재하시험을 수행하고 대표 말뚝에 대해서는 정재하시험을 수행하여 동재하시험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동재하시험결과를 GRLWeap 해석결과와 비교하고 입력변수에 대한 역해석을 수행하여 향후 고강도 강관말뚝을 송도지역에 시공할 때 보다 적절한 항타장비 선정 및 지지력 예측이 가능하도록 표준관입시험의 N값을 이용한 지반반력계수에 대한 보정식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