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L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1초

Dietary ε-Polylysine Decreased Serum and Liver Lipid Contents by Enhancing Fecal Lipid Excretion Irrespective of Increased Hepatic Fatty Acid Biosynthesis-Related Enzymes Activities in Rats

  • Hosomi, Ryota;Yamamoto, Daiki;Otsuka, Ren;Nishiyama, Toshimasa;Yoshida, Munehiro;Fukunaga, Kenji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43-51
    • /
    • 2015
  • ${\varepsilon}$-Polylysine (EPL) is used as a natural preservative in food.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ssess the beneficial functions of dietary EP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inhibition of neutral and acidic sterol absorption and hepatic enzyme activity-related fatty acid biosynthesis following EPL intake. EPL digest prepared using an in vitro digestion model had lower lipase activity and micellar lipid solubility and higher bile acid binding capacity than casein digest. Male Wistar rats were fed an AIN-93G diet containing 1% (wt/wt) EPL or L-lysine. After 4 weeks of feeding these diets, the marked decrease in serum and liver triacylglycerol contents by the EPL diet was partly attributed to increased fecal fatty acid excretion. The activities of hepatic acetyl-coenzyme A carboxylase an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which are key enzymes of fatty acid biosynthesis, were enhanced in rats fed EPL diet. The increased fatty acid biosynthesis activity due to dietary EPL may be prevented by the enhancement of fecal fatty acid excretion.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EPL was mediated by increased fecal neutral and acidic sterol excretions due to the EPL digest suppressing micellar lipid solubility and high bile acid binding capacity. These results show that dietary EPL has beneficial effects that could help prevent lifestyle-related diseases such as hyperlipidemia and atherosclerosis.

Egg phospholipids exert an inhibitory effect on intestinal cholesterol absorption in mice

  • Lee, Yoojin;Han, Catherine Y.;Bae, Minkyung;Park, Young-Ki;Lee, Ji-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4호
    • /
    • pp.295-301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Consumption of cholesterol-rich foods, such as eggs, has a minimal effect on circulating cholesterol levels in healthy humans. To gain insight, we investigated whether phospholipids rich in eggs (EPL) interfere with intestinal cholesterol absorption in vivo. MATERIALS/METHODS: To investigate the acute effect of EPL on intestinal cholesterol absorption, male C57BL/6J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6, 11, or 19 mg of EPL for three days. We also tested the effect of chronic EPL consumption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the small intestine and the liver in mice with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a. Male C57BL/6J mice were f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HF/HC; 35% fat, 0.25% cholesterol, w/w) diet for 4 weeks to induce hypercholesterolemia, and subsequently the mice were either fed 0, 0.4 or 0.8% (w/w) of EPL for 6 weeks. RESULTS: Intestinal cholesterol absorp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highest dose of acute EPL administration compared to control. Chronic EPL supplementation did not significantly alter intestinal cholesterol absorption nor plasma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the small intestine and the liver, EPL supplementation minimally altered the expression of genes which regulate cellular cholesterol levels. CONCLUSION: Although chronic EPL consumption was not able to counteract hypercholesterolemia in HF/HC-fed mice, acute EPL administration decreased intestinal cholesterol absorption. This study provides in vivo evidence that acute administration of PLs in eggs prevent cholesterol absorption in the intestine, suggesting a mechanism for a minimal effect of egg consumption on circulating cholesterol levels.

EPL을 활용한 교육이 초등학생의 고등사고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igh-level Thinking)

  • 김동만;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405-408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 EPL 관련 연구들을 조사 및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통해 초등학생의 고등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전체 효과 크기의 산출과 다양한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로 초등학생의 고등사고력 및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EPL 교육의 실제적 효과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일반화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1)EPL을 활용한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고등사고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교수학습 도구임이 확인되었고, 2) EPL을 활용한 교육은 창의적 사고력, 논리적 사고력 등의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3) App Inventor, Scratch, Dolittle 등이 고등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SW교육 콘텐츠 개발의 학습자 선호 분석 (Analysis of Learners' Preferences in SW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91-699
    • /
    • 2017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SW 교육 중요성이 증대되어 다양한 교육적 방법과 도구들을 활용한 SW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SW 교육 도구를 활용한 교수학습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예비교사들의 EPL 수업후 산출된 결과물을 학과별, 학점별, 유형별로 분석하여 예비교사들의 EPL 콘텐츠 선호유형, 선호하는 개발과목 및 개발대상과 그들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과별로 개발과목과 유형은 차이가 있었으며, 유형별로 개발과목과 대상에도 차이가 있었으나 학점별로 개발과목과 유형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EPL 수업에 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고 EPL 관련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 진영학;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5-36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된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EPL)에 관한 논문 31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학습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자료로부터 45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고, 효과크기의 변인 간 차이에 대해 t검정 및 F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EPL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1.01, $U_3$지수는 84.38%로 나타나 EPL 수업은 전통적 프로그래밍 수업에 비해 34.38% 학습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재변인별로 분석한 결과는 교과별, 간행형식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령별로는 고등학생보다 초 중학생에게 조금 더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실험설계별로는 단일집단 전후검사설계보다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설계에서 통계적으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셋째, 종속변인별로는 전체 EPL 효과크기가 창의성 1.90, 문제해결력 1.25, 논리적 사고 1.18, 학습동기 0.81, 학업성취도 0.59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EPL은 전통적인 교수 학습방법보다 학습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학습에서 학습양식에 따른 프로젝트 완성 능력의 차이 검증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in Project Completing Abilities Depending on a Learning Style using an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 장윤재;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12
    • /
    • 2011
  •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이하 EPL)는 많은 연구를 통해 사고를 확장하고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개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EPL의 다양한 적용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고 있으나, EPL의 효과적인 적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EPL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대학교 4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양식에 따른 프로젝트 완성 능력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첫째, 정보처리방법에 따라 프로젝트 완성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반성적 성찰을 선호하는 학습자의 점수가 높았다. 둘째, 학습양식에 따라서는 분산자 유형 학습자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EPL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프로젝트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요소 탐색을 통해 학습자들이 구현할 아이디어에 대한 반성적 성찰 활동에 대한 지도와 구체적인 계획을 통한 구현 학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PDF

초등학교 정보교육을 위한 EPL 적용 분석 (Application and Analysis of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for Elementary Informatics Education)

  • 이미현;구덕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85-91
    • /
    • 2011
  • 정보교육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알고리즘 고안과 문제 해결을 수행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그러나 프로그래밍 언어 도구 자체를 익히고 사용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기에 초등학생들은 프로그래밍 언어 도구를 익히는 과정을 거치면서 그 흥미가 점점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프로그래밍을 Drag & Drop 방식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결과물을 프로그래밍 중에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를 이용하여 12주 동안 매주 1시간씩 교육하기 위한 학습 내용을 구성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EPL은 초등학생들의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흥미를 유발 및 유지할 수 있고, 창의력과 논리력 신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문제 중심의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스크래치 EPL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연구 (A study of Scratch Education Programming Language Curriculum using Problem-Based Storytelling Strategies)

  • 채수오;허경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83-88
    • /
    • 2010
  • 본 논문은 다양한 사고력 향상을 위한 문제 중심의 이야기를 만들어 스크래치 EPL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에 접목시켜 전통적 수업방식인 시범, 실습 프로그래밍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문제해결력, 프로그래밍 학습에 대한 흥미도를 통하여 새로 개발한 문제 중심의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스크래치 EPL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의 효과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이야기에 문제상황을 가미한 스크래치 EPL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흥미도를 향상 시키는 내용임을 검증한다.

  • PDF

수행시간 중심의 초등 EPL 교육이 초등학생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Execution Time-oriented the Elementary EPL Education on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문우종;부용호;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33-241
    • /
    • 2020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육 방법으로 수행시간 중심의 초등 EPL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생 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전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OO대학교에서 실시한 초등학생 교육 기부 프로그램의 지원자 표집에 의한 지원자 표본 25명을 대상으로 6일간 1일 7차시씩 42차시를 진행하였다. 한국정보과학교육연합회에서 주최한 '비버챌린지(Korea Bebras Challenge 2018)'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수행시간 중심의 초등 EPL 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CPS에 기반한 스크래치 EPL이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PS-based Scratch EPL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rogramming Attitude)

  • 조성환;송정범;김성식;이경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77-88
    • /
    • 2008
  •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생들의 창의력, 문제해결력, 논리적 사고력 향상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하지만,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 문법과 구조를 이해하고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는데 너무 많은 노력을 요구하는 등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학습자에게 프로그래밍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우기 쉽고, 직관적이며,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인 '스크래치'를 CPS(Creative Problem Solving) 모형을 활용해 적용해봄으로써 중학교 남녀 학습자에게 있어 문제해결력 향상과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