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IS model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ERIS모델 기반 창업지속요인 분석: 조직 리질리언스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tart-up Sustainability Factors Based on ERIS Model: Focusing on the Organization Resilience)

  • 김인숙;양지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5호
    • /
    • pp.15-2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성과모델인 ERIS모델과 조직 리질리언스를 중심으로 창업지속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과 수정된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조직 리질리언스를 중심으로 한 ERIS모델 기반 창업지속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ERIS모델 기반 창업지속요인은 창업가, 자원, 산업환경, 전략의 4가지 분류와 하위구분 8개, 세부요인 54개로 분석되었으며 수정된 델파이 기법을 통해 창업지속요인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 리질리언스를 중심으로 ERIS모델 기반 창업지속요인을 구조화한 결과, 리더십, 문화, 사람, 시스템, 환경의 5가지 분류 아래 ERIS모델에 기반하여 창업지속요인을 구조화하여 통합 프레임웍(ERIS-R)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선행연구 분석결과, 다양한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창업성공과 창업지속성의 개념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둘째, ERIS모델을 기반으로 한 창업성과와 창업지속성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공통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직 리질리언스를 중심으로 창업지속요인에 대한 수정된 델파이 분석 결과, 창업가 개인과 기업의 일반적 특징은 실제로 창업지속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 리질리언스 개념을 중심으로 창업지속요인을 ERIS모델에 기반하여 분석했다는 것과 점차 확장되고 있는 창업 육성·지원 분야에서 ERIS모델에 전략(Strategy)을 시스템(System)으로 포괄하여 조직 리질리언스(Organization resilience)를 R로 연결한 통합 프레임웍(ERIS-R)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창업기업에서는 수시로 직면하는 다양한 위기상황에 대해 예측, 예방 및 극복할 수 있는 창업기업 지속성을 높일 수 있으며, 창업기업 지원 기관에서는 창업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지원할 수 있는 육성 및 지원 정책 개발, 성과관리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ICT 스타트업 스케일업 성공요인 연구: ERIS 모델 적용 사례연구 (A Study on Scale-Up Success Factors for ICT Startups: A Case Analysis Using ERIS Model)

  • 황정섭;심다현;이정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89-101
    • /
    • 2021
  • 창업 초기 창업가의 역량이 미진하고, 자원이 풍부하지 않으면서 네트워크에 한계가 있는 스타트업은 지속적 스케일업이 어렵다. 본 연구는 ICT 스타트업 중에서 스케일업에 성공한 �� 스타트업을 사례로 선정하여 ERIS 모델을 기반으로 ICT 스타트업이 성공하는 첫 단계에서 발생하는 스케일업 과정에 대한 사례분석을 진행했다. 분석결과, 창업가의 경험적 역량, 다양한 산업 간의 지식의 융합, 공공기관 주도의 연구개발 과제의 참여, 고객과 기업간의 소통 채널 운영, 프로젝트형 캠페인의 활용이 ICT 스타트업의 스케일업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적으로 본 연구는 ERIS 모델이 향후 ICT 스타트업의 스케일업과 신시장 기업 성공요인 분석 모델로써 의미가 있음을 확인 및 검증한 것에 그 의미가 있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ICT 스타트업의 초기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스케일업을 하기 위한 전략적 전개의 참조사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스타트업의 현황 및 성공요인 분석: (주)우아한형제들의 사례를 통하여 (The Success Factors of Domestic Start-up Companies: Case of Woowa Brothers)

  • 황세희;김경미;박현준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71-87
    • /
    • 2020
  • 새로운 고용창출과 경제성장의 핵심동력으로서 스타트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됨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스타트업의 현황과 성공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타트업으로 시작해 유니콘기업으로 성장한 (주)우아한형제들의 성공요인을 ERIS모델과 성장단계별 모델로 구분하여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ERIS모델 성공요인은 창업자요인과 독특한 문화를 고유한 자원으로 인식한 자원요인, 블랜딩을 통한 산업환경 요인과 사업 확장으로 플랫폼 다각화를 진행한 전략요인이 주축이 되었다. 성장단계별 성공요인은 기존의 경쟁자와 차별화를 두었다는 점이며 상업화단계에서는 새로운 사업모델이 시장의 신뢰를 얻으면서 수익을 상승시켰고, 젊은 층의 공감을 얻은 공격적인 마케팅은 국내·외 투자사로부터 대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할 수 있었고, 성장단계에서는 매니아 중심의 마케팅을 유지하면서 플랫폼 다각화 전략을 펼친 것이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주)우아한형제들의 성공요인 분석이 더 많은 국내 유니콘기업의 탄생을 위한 밑거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A Systematic Review Study on the Start-Up Sustainability Factors by Franchises Growth Cycle in Korea : Focusing on the ERIS Model

  • Kim, Insook;YANG, Jihee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2권2호
    • /
    • pp.23-33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such as development of sustainable support policies and performance management evaluation to support sustainable management of domestic franchises by deriving the sustainable growth cycle of domestic franchis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is based on systematic review study. We combined search terms such as "Start-up", "Sustainability" and "Success" with four databases, RISS, KISS, e-article and DBpia and searched a total of 1,219 articles published by April 21, 2021. In the process, 35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fter an expert review, excluding documents whose overlapping documents, gray zones (e.g., reports, conference presentations, etc.), degree papers, foreign language literature,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not related to the Sustainability factors. Using ERIS model, which is applied to research on the results of startup, and the franchise's growth cycle, which reflects the growth stage of franchises, we analyzed the factors behind the sustainability of franchise.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the sustainability of franchise has continued since 2009 in Korea, and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al welfare in addition to venture, start-up and management. Second, sustainability factors of franchise were analyzed from the ERIS performance model indicating the performance of venture, and the 68 subfactors were derived. Third,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 sustainable growth of franchise startups in each franchise's growth cycle. Conclusions: It is significant that through this study, we provide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hat sustain sustainability of franchises, policy suggestions, and presente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y. Theoretical suggestion is that the main reason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franchise in each domestic franchise is based on the ERIS performance model.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the headquarters and Franchisor can use it to establish and evaluate 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the business growth cyc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and performance management evaluation of franchise start-up support policies to support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domestic franchises.

ICT융합 유형별 스타트업 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ICT Convergence type-specific start-up enterprise - mainly the case study -)

  • 이서한;노승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203-215
    • /
    • 2014
  • 창업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있지만 ICT융합 스타트업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ICT융합분야에서 스타트업 기업을 대상으로 성공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10개의 성공한 스타트업 기업의 사례를 바탕으로 ERIS모델을 활용하여 총 29가지의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ICT융합 사업화 형태를 소프트웨어 R&D 중심, 소프트웨어 마케팅 중심,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결합한 R&D 중심,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결합한 마케팅 중심으로 구분하였다. 성공요인 가운데 창업자와 연관된 역량이 가장 많았으며 전문적인 지식, 패러다임 속에서 사업기회의 포착 등을 들 수 있다. ICT융합이라는 기존의 스타트업 기업과 다른 형태의 사업화 과정에서 나타난 성공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스타트업 기업을 4가지 형태로 유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창업실패 요인 분류 및 실패 패턴 분석 (Determinants and pattern of entrepreneurial failure)

  • 신중경;하규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5호
    • /
    • pp.257-265
    • /
    • 2013
  • 창업실패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상장기업의 도산원인을 도출하는데 주력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실패원인과 실패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20개 창업기업의 실패사례를 바탕으로 신생의 어려움과 ERIS모델을 활용하여 창업실패 원인을 도출하였다. 국내 창업기업들에게는 경영능력 부족, 연구개발 및 제품화 실패, 판로 확보 어려움과 같은 신생의 어려움이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창업 실패과정을 사업준비 부족형, 자원획득 실패형, 전략부재형, 마케팅 실패형으로 유형화 하였다.

AER(Asan Entrepreneur Review)사례를 통한 스타트업 기업의 성공요인 분석 (Analysis of Start-up Success Factors by AER Case)

  • 이상조;남정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2호
    • /
    • pp.39-50
    • /
    • 2018
  • 본 연구는 아산나눔재산의 AER사례를 중심으로 스타트업의 성공요인을 ERIS모델을 기반으로 창업단계, 상업화단계, 정착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스타트업의 ERIS모델별 성공요인으로 창업단계에는 창업가의 창업 이력 및 경력, 분야경험 및 전문지식, 신속한 판단력과 문제해결이며, 구성원의 역량 및 팀웍, 네트워크, 정부의 창업지원 등이다. 상업화단계에는 사업화 및 투자자금 확보, 타이밍, 차별화전략, 해외진출, 고객의견 수용 등이며, 성장(성숙)단계에는 신제품 출시 및 다각화, 조직문화의 수립 등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각 단계별 성공요인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모색하였다.

창업기업의 성장단계별 성공요인 연구: ERIS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Success Factors of Successful Start-up by Step: Focus on ERIS Model)

  • 고경선;남정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6호
    • /
    • pp.71-86
    • /
    • 2023
  • 창업은 국가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위험한 선택으로 인식되고 있다. 창업의 실패는 개인의 재산 손실 뿐만 아니라 국가의 경쟁력 악화와 같은 광범위한 부정적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코스닥 상장 요건의 수익성·매출액 최소기준 이상의 성과를 달성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의 수준에 도달하거나, 매각 또는 상장으로 EXIT을 달성한 창업기업을 성공한 창업기업으로 보고 23명의 성공한 창업가들의 실질적인 경험과 지각을 기반으로 계층화 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통해 창업 성공요인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특히, ERIS 모델을 활용하여 창업가, 자원, 산업, 전략의 4개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 창업의 다양한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창업의 성장단계별 특성에 따른 성공요인의 변화와 중요도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여 각 단계별로 창업가들이 직면하는 도전과 기회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창업기 성공요인의 상위요인의 중요도 순서는 창업가, 자원, 산업, 전략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창업가의 창업가정신과 특수 역량, 일반역량 그리고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성장기 성공요인의 상위요인의 중요도 순서는 창업가, 자원, 산업, 전략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역량과 창업가정신, 그리고 인적자원과 조직자원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성공한 창업가의 관점에서 창업 성공요인을 분석하여, 창업자들과 정책 입안자들에게 유용한 통찰과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편의점 창업 성장단계에 따른 성공요인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uccess Factors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 of Convenience Store Startup)

  • 권용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261-276
    • /
    • 2020
  • 본 연구는 성공 소상공인 창업자의 창업 이전 단계부터 성장단계까지 단계별 성공요인을 파악하여 창업 초기 인지한 성공요인과 성공 후 인지한 성공요인을 통해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성공한 편의점 가맹점주를 대상으로 창업 준비단계부터 초기, 성장단계에 따라 성공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전기적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소상공인 창업의 성공요인은 창업기업 성과(performance)에 대한 연구에서 적용하는 ERI모델과 ERIS모델을 활용하여 프랜차이즈 편의점 창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했으며, 성장단계에 따른 성공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프랜차이즈 성장단계를 반영한 Sasser et al.(1978)의 다점포 외식기업 수명주기(The multisite service firm life cycle)를 활용하여 성공요인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성공한 가맹점의 핵심 요인은 첫 점포 입지선정, 전략적 추가 점포 입지선정, 성공적인 재계약으로 나타났다. 창업자의 특성에 따라서는 진취적 성향의 가맹점주는 전략적 추가 점포 입지선정, 상권방어 등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였고,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가맹점주는 관리적 측면에서 점포운영, 재계약 등에 적극적인 자세로 경영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창업 준비단계에서는 창업가 마인드가 중요하며, 창업 전주기에서는 창업자의 경영전략의 중요성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성장단계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창업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였다.

'글로벌 유니콘 클럽' 기업의 특성 및 기업가치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19년 '유니콘 클럽' 기업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lobal Unicorn Club' and the Factors Influencing its Valuation: Focusing on the 'Unicorn Club' in 2019)

  • 이영달;오소영;윤여은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6호
    • /
    • pp.1-26
    • /
    • 2020
  • '기업 생태계'에서 '유니콘'이란 표현법은 2013년 'Aileen Lee'에 의해 명명된 이래, 특히 한국에서 '스타트업 생태계'의 국제적 수준 비교의 차원에서 활발하게 다루어졌다. 정부 차원에서는 이를 정책적 목표로 설정하여, '2022년까지 유니콘 기업 20개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이와같이 '유니콘 클럽 기업'에 대한 현상은 정책적 목표 차원에서 다루어지며, 대중적으로 크게 확산된데 반해, 본 현상의 실체와 본질적 이해 목적의 학술적 연구는 충분치 못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2019년 기준 '글로벌 유니콘 클럽' 기업 479개를 대상으로 이들의 특성을 다면적/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동안 주로 국가별 '유니콘 기업' 수 및 산업 분류 기준 일반현황 중심의 대중적 소개가 주된 내용이었다면, 본 연구는 투자자를 포함한 기초현황을 상세 분석하였고, 사례분석을 포함한 질적 탐색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초 선행연구가 부족한 관계로, 군집분석, 판별분석, 다층 회귀분석 등 양적 탐색을 함께 수행하였다. 그리고 개별기업의 '기업가 요인-산업(시장)환경 요인-자원 요인-전략 요인', 즉 'ERIS 모델'에 기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앞서 분석한 특성 요인 및 투자자 특성과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이들을 토대로 '기업 생태계' 관점에서 '유니콘 현상'을 바르게 이해하고, 또한 정책적 측면에서 이를 생산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