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quake Return Period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2초

지진 재현주기에 따른 하천 제방의 지진취약성 분석 (Seismic Vulnerability Analysis of River Levee by Earthquake Return Period)

  • 김경오;한희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679-68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공용 중인 하천 제방을 대상으로 포항지진파를 재현주기 200년, 500년, 1000년 그리고 2400년으로 생성하여 지진취약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재현주기에 따른 지진취약성 분석을 위해 하천 제방에 측점을 설정하여 제방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진 발생 시의 변위는 입력지진파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으며 재현주기 2400년에서 가장 크게 산정되었다. 활동 안정성 검토 결과, 지진 발생전의 안전율을 기준으로 재현주기 2400년일 때 제내지는 약 31.5% 감소하였고 제외지는 약 26.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재현주기에서 최소 기준 안전율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효응력경로상 q/p' 비율에 따른 액상화를 검토한 결과, 지진으로 인한 제채 내부의 침윤면이 상승하여 재현주기 2400년일 때는 제채 대부분에서 액상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진에 상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내진 설계 기준의 재정립이 필요함이 입증되었다고 판단되며, 동역학적 방법을 통한 검토 결과에 대한 명확한 기준 성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시공기간을 고려한 주거용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시공 중 지진하중 영향 분석 (Effect of Seismic Load on Residential RC Buildings under Construction Considering Construction Period)

  • 최성현;김재요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235-242
    • /
    • 2022
  • 시공 중인 건물은 시공이 완료된 건물과는 다르게 콘크리트의 강도발현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에 더 취약한 모습을 가질 수 있다. 현재 국내 기준은 건축물의 내진등급별 최소성능 목표를 제시하고 있지만, 설계를 위한 지진하중은 재현주기 2,400년의 지진위험도를 기반으로 한다. 하지만 건물의 시공기간은 건물의 사용기간보다 훨씬 짧기 때문에 재현주기 2,400년의 지진을 시공 중인 건물에 적용하는 것은 과도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주거용으로 사용되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시공 중 지진하중을 분석하기 위해 5층, 15층, 25층, 60층 건물의 시공단계모델을 작성하고 재현주기에 따라 저감한 지진하중을 적용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시공기간에 따라 선정한 재현주기의 지진을 적용할 때 구조적 안정성을 확인하였으며, 건물의 규모의 따라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진재현주기를 확인하였다.

Minimum loading requirements for areas of low seismicity

  • Lam, Nelson T.K.;Tsang, Hing-Ho;Lumantarna, Elisa;Wilson, John L.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1권4호
    • /
    • pp.539-561
    • /
    • 2016
  • The rate of occurrence of intraplate earthquake events has been surveyed around the globe to ascertain the average level of intraplate seismic activities on land. Elastic response spectra corresponding to various levels of averaged (uniform) seismicity for a return period of 2475 years have then been derived along with modifying factors that can be used to infer ground motion and spectral response parameters for other return period values. Estimates derived from the assumption of uniform seismicity are intended to identify the minimum level of design seismic hazard in intraplate regions. The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ssessment presented in the paper involved the use of ground motion models that have been developed for regions of different tectonic and crustal classifications. The proposed minimum earthquake loading model is illustrated by the case study of Peninsular Malaysia which has been identified with a minimum effective peak ground acceleration (EPGA) of 0.1 g for a return period of 2475 years, or 0.07 g for a notional return period of 475 years.

재현주기에 따른 응답스펙트럼과 설계지반운동 산정방법 (Generation of Design Response Spectrum and Earthquake Ground Motion Considering the Recurrence Period)

  • 이현호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1998
    • /
    • pp.58-65
    • /
    • 1998
  • A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e the calculation methods of design input seismic loads, Where, calculation methods are ; (1) Considering different recurrence period of earthquakes which was proposed by ATC 14. (2) Using earthquake records which was modified Korean codes. Responce spectra that was adopted by codes has an estimated recurrence interval of 500 years, with approximately a 90 percent probability of not being exceeded in 50 years. But If we considered the life-time of existing buildings in some cases, response spectra be modified with return period of earthquakes. If we be design highrise and irregular buildings, dynamic analysis method that use time history records should be used. But in Korea, time history records of earthquakes was very few. Therefore to use foreign countries's earthquake record, it is need to select of records considered Korean coeds. As a results, this study propose a calculation method of seismic design input loads that considered return period of earthquakes and also propose using method of earthquakes.

  • PDF

입력지진 세기에 따른 콘크리트 주탑 케이블교량의 부재별 거도 특성 연구 (Behavior of Cable Suppored Bridges with RC Pylon Under Varying Seismicities)

  • 임영근;정혁창;김익현;이종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49-352
    • /
    • 2006
  • According to current bridge design code cable supported bridges are designed generally against 1000-year-return-period earthquake. Considering its importance, however, it may be desirable to design against 2400-year-return-period earthquake. But the seismic behavior of cable supported bridges under higher seismicity is not investigated fully. In this study, several cable supported bridges were analyzed under higher seismicity and then the response forces in prime members were compared with those analyzed under current design earthquake.

  • PDF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의 내진성능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Highrise Steel Diagrid Frames)

  • 김선웅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07-317
    • /
    • 2011
  • 본 논문은 강풍대이면서 약진대에 위치하는 내풍설계된 초고층건물이 경험할 수 있는 잠재적 지진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를 통해서 탄성내진설계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최근에 가장 각광받고 있는 구조시스템인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를 내풍설계하고, 내풍설계과정에서 상당한 시스템초과강도가 유입됨을 확인하였다.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에 대하여 다양한 지반조건에 따른 응답스펙트럼해석과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와 같이 강풍대에 위치하면서 약진대에 속하는 환경하에서 세장비 5.2이상의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는 500년 재현주기 지진동에 대해서는 탄성저항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세장비 6.9의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는 2400년 재현주기 지진동에 대해서도 탄성설계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500년 재현주기 지진동에 대해서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는 부재수준에서 지반조건에 관계없이, 2400년 재현주기 지진동에 대해서도 $S_E$지반을 제외하고는 세장비 5.2이상의 모델에서 모두 "즉시거주" 수준을 나타내었다. 시스템수준에서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는 500년 재현주기 지진동에 대해서 세장비 5.2이상의 모델은 $S_A$$S_B$지반에서는 즉시거주, $S_C{\sim}S_E$ 지반에서는 "인명안전" 수준을 나타내었다. 2400년 재현주기 지진동에 대해서는 500년 재현주기보다 한 단계 낮은 내진성능수준을 보여주었다.

Seismicity and seismic hazard assessment for greater Tehran region using Gumbel first asymptotic distribution

  • Bastami, Morteza;Kowsari, Milad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49권3호
    • /
    • pp.355-372
    • /
    • 2014
  • Considering the history of severe earthquakes and the presence of active faults in the greater Tehran region, the possibility of a destructive earthquake occurring is high and seismic hazard analysis is crucial. Gumbel distributions are commonly-used statistical distributions in earthquake engineering and seismology. Their main advantage is their basis on the largest earthquake magnitudes selected from an equal-time predefined set. In this study, the first asymptotic distribution of extremes is used to estimate seismicity parameters and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By assuming a Poisson distribution for the earthquakes, after estimation of seismicity parameters, the mean return period and the probable maximum magnitude within a given time interval are obtained. A maximum probable magnitude of 7.0 has a mean return period of 100 years in this region. For a return period of 475 years, the PGA in the greater Tehran region is estimated to be 0.39g to 0.42g, depending on local site conditions. This value is greater than that of the Iranian Code for Seismic Design of Buildings, indicating that a revision of the code is necessary.

확률밀도함수 보간에 의한 교량의 지진취약도 분석 (Seismic Fragility Analysis Utilizing PDF Interpolation Technique)

  • 이진하;김상훈;윤정방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5-502
    • /
    • 2003
  • This study proposed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interpolation technique to evaluate the seismic fragility curves as a function of the return period. Seismic fragility curves have been developed as a function of seismic intensities such as peak ground acceleration, peak pound velocity, and pseudo-velocity spectrum. The return period of design earthquakes, however, can be more useful among those seismic intensity measurements, because the seismic hazard curves are generally represented with a return period of design earthquakes and the seismic design codes also require to consider the return period of design earthquake spectrum for a specific site. In this respect the PDF interpolation technique is proposed to evaluate the seismic fragility curves as a function of return period. Seismic fragility curves based on the return period are compared with ones based on the peak ground acceleration for the bridge model.

  • PDF

Potentials of elastic seismic design of twisted high-rise steel diagrid frames

  • Kim, Seonwoong;Lee, Kyungkoo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18권1호
    • /
    • pp.121-134
    • /
    • 2015
  •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s of the elastic seismic design of twisted high-rise steel diagrid frame buildings in the strong wind and moderate/low seismicity regions. First, the prototypes of high-rise steel diagrid frames with architectural plans that have a twist angle of 0 (regular-shaped), 1, and 2 degrees were designed to resist wind. Then, the effects of the twist angle on the estimated quantities and structural redundancies of the diagrid frames were examined. Second,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wind-designed prototype buildings under a low seismicity was evaluated. The response spectrum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service level earthquake (SLE) having 43-year return period and the maximum considered earthquake (MCE) having 2475-year return period. The evaluation resulted that the twisted high-rise steel diagrid frames resisted the service level earthquake elastically and most of their diagrid members remained elastic even under the maximum considered earthquake.

건물 규모 및 재현주기 변화에 따른 주거용 RC건물에 대한 시공 중 지진하중의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Seismic Loads on Residential RC Buildings using the Change in Building Size and Return Period)

  • 최성현;김재요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85-92
    • /
    • 2023
  • 완공된 건물과 달리 시공 중인 건물은 설계단계와 다른 하중 작용 및 콘크리트 강도 미발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설계단계에서 검토한 하중을 초과하는 하중이 작용하여 건물의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위험이 있다. 또한 시공 중인 건물에 지진이 발생할 경우 더 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전형적인 다양한 규모의 5층, 15층, 25층, 60층 예제모델을 작성하고 골조완성도에 따른 시공단계 모델을 통해 시공 중인 건물의 지진하중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시공 중인 건물의 시공기간은 완공단계 이후의 사용기간에 비해 매우 짧으므로 설계단계와 동등한 수준의 지진을 적용하는 것은 과도한 하중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시공단계 모델에 재현주기 50~2,400년의 지진을 적용하여 지진하중을 검토하고 부재단면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설계단계를 초과하는 하중의 여부 및 구조적 안전성 확보가 가능한 수준의 지진재현주기를 검토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예제모델의 시공기간을 가정하여 시공기간에 따른 지진재현주기를 선정하고 선정한 재현주기의 설계 적절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