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efficient Water Infrastructur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Development of Eco-Efficient Water Infrastructure Strategy in the Asia Pacific Region

  • 박지선;정혜윤;강부식;이주헌;이승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5-120
    • /
    • 2010
  • This study suggests 'Eco-Efficient Water Infrastructure' as a breakthrough to the economically and ecologically challenged region; the Asia-Pacific. The study conceptualizes eco-efficient water infrastructu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eco-efficiency and variety of indicators for eco-efficient water infrastructure. Further, the guidelines for establishing national strategies for eco-efficient water infrastructure is introduced.

  • PDF

Concept and Indicators of Eco-Efficient Water Infrastructure for Asia and the Pacific

  • Lee, Seung-Ho;Kang, Boo-Sik;Hong, Il-Py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169-2175
    • /
    • 2009
  •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concept of eco-efficient water infrastructure and provides a list of case studies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applicability of eco-efficient water infrastructure to Asia and the Pacific. A set of indicators have been explored to assess eco-efficiency in water infrastructure for the region on a micro and macro scale. The core idea of eco-efficiency, 'more value with less impact (on the environment)', has proven to be applicable in management of water infrastructure. The fundamental elements in eco-efficient water infrastructure should encompass physical infrastructure and non-physical infrastructure, which is more needed particularly in Asian countries. The case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of eco-efficient water infrastructure. The Republic of Korea has provided the case of the eco-friendly approaches to enhance dam management and its innovative solutions how to use water more efficiently through state-of-art technologies. The experiences of Singapore are some of the best evidence to establish eco-efficient water infrastructure, for instance, the NEWater project via application of cutting edge technologies (recycled water) and institutional reform in water tariff systems to conserve water as well as enhance water quality. A list of indicators to assess eco-efficiency in water infrastructure have been discussed, and the research presents a myriad of project cases which are good to represent eco-efficiency in water infrastructure, including multipurpose small dams, customized flood defense systems, eco-efficient ground water use, and eco-efficient desalination plants. The study has presented numerous indicators in five different categories: 1) the status of water availability and infrastructure; 2)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of freshwater; 3) agricultural products and sources of environmental loads; 4) damages from water-caused natural disaster; and 5) urban water supply and sanitation. There are challenges as well as benefits in such indicators, since the indicators should be applied very carefully in accordance with specific socio-economic, political and policy contexts in different countries in Asia and the Pacific Region. The key to success of establishment of eco-efficient water infrastructure in Asia primarily depends on the extent to which each country is committed to balancing its development of physical as well as non-physical water infrastructure. Particularly, it is imperative for Asian countries to transform its policy focus from physical infrastructure to non-physical infrastructure. Such shift will help lead to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in Asian countries.

  • PDF

실규모 하천 실험을 통한 하안침식 방지 Eco-hybrid 롤링매트 공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Eco-hybrid Rolling Mat for Preventing Bank Erosion Based on Large-scale Experiments)

  • 지운;장은경;안명희;김원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4호
    • /
    • pp.217-22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하안 경사와 친수시설 유무에 따라 적절한 하안 보호 공법을 유형화하였으며, 특히 기존의 호안 공법으로 하안침식 방지 대책 적용이 적절하지 않은 유형에 대해 적용 가능한 신개념 Eco-hybrid 롤링매트 공법을 제시하였다. Eco-hybrid 롤링매트 공법은 지반과 사면의 교란없이 하천 환경과 생태 조건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시공이 가능하고, 하안침식이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으로 호안이나 제방 사면을 보호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공법이다. 개발된 Eco-hybrid 롤링매트 공법은 실규모 하천 실험을 통해 공법의 구조 및 시스템, 기능과 효과를 검증하였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변형 및 부패 테스트를 포함한 실규모 하천 실험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저유속과 고유속 조건에서 롤링매트의 작동과 하안침식 방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하안침식 방지 효과는 유사 농도 분석을 통해 정량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실험에 활용한 롤링매트를 기준으로 규격화하여 Eco-hybrid 롤링매트 공법의 제품의 시방 (안)을 제시하였다.

농업생산기반 어떻게 정비할 것인가? (Study on a How to maintain Agricultural Infrastructure.)

  • 김중규;김현영;문세동;신수균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39-155
    • /
    • 2005
  • All these days, we achieved the result of our efforts on agricultural facilities by a huge budget for stabl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But it is anticipated that the cost of maintenance is increased from now on since we've focused on installing facilities(agricultural infrastructures) in quantity more than in quality. Furthermore we are short of efficient management system(S/W) because of active and overall support for facilities expansion(H/W). This study is focus on how to improve our agricultural infrastructure for not only to maintain eco-friendly facilities but also to prepare water shortage era.

  • PDF

수질향상을 위해 예측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저수조 관리 (ECO-Friendly Reservoir Tank Management using Prediction for Improved Water Quality)

  • 정경용;조선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9-16
    • /
    • 2009
  • 수자원 관리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스트럭처가 구축되면서, 환경 친화적인 저수조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질 향상을 하고 저수조를 온라인 관리하기 위하여 예측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저수조 관리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저수조의 상황과 환경을 정의하였고 협력적 필터링을 이용하여 펌프동작, 태양전지, 약품, 저수위, 전화회선, 모뎀에 따른 적합한 서비스를 예측하였다. 예측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저수조 관리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평가 결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음을 증명하였고 높은 만족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황 정보 및 환경정보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예측에 대한 만족도와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켰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호주의 물관리 정책과 시사점 (Australia's Water Management Policies and Implication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 이종욱;박태선;이승연;이승오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12
    • /
    • 2020
  • 최근까지 무분별한 수자원 개발과 심각해지는 기후변화로 인한 극심한 가뭄이 지속되면서 물관리 문제에 대해서 관심이 급증하였다. 국내와 유사한 환경 아래 국가 차원에서 일관되고 친환경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는 호주의 정책에 대한 분석과 사례검토가 필요하다. 호주는 강우량이 작고 건조하여 가뭄과 홍수가 반복되는 수자원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1890년대부터 이민자 정착으로 물분쟁이 시작되었다. 일찍이 수자원의 효율적인 분배를 위한 물관리 협약, 물 사용량 규제 프로그램, 연방물법 제정 등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개발과 보전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지는 물관리 체계를 이루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과거 수질은 환경부, 수량은 국토부가 담당하여 물관리의 주무부처가 이분화되어 업무의 중복, 과도한 투자, 비효율 등의 문제로 통합적인 물관리가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고자 2018년에는 물관련 기본법을 제정하는 등 물관리 기능이 일원화되면서 유역 단위 통합물관리 체계의 기틀이 마련되었고 2019년부터는 유역 단위의 통합물관리 체계를 수행하는 등 통합물관리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물관리를 위한 관리 정책 수립을 위해 여러 방안으로 강구해온 호주의 IWRM (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ement)와 우리나라의 현황과 사례를 비교해보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우리나라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을 통한 비점오염원 저감 및 비용효율 분석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Analyzing the Efficiency of LID Technique for Urban Non-point Source Management - Focused on City of Ulsan in Korea -)

  • 임용균;정주철;신현석;하경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iciency of LID technologies for controll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urban areas. The recent technical responses to managing water resource and urban areas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is an important national policy, along with green growth. Through various reference studies reasonable ways to consider a wholistic plan on urban-eco-friendly river management, the Low Impact Development (LID) as the adequate river management method is being undertaken in foreign countries to technically apply to urban plans. However, the LID is at the initial stage in Korea, with no specific studies implemented. Thus, this study explored whether LID technologies can be efficient measures to control non-point source pollution on the cost side. Ulsan's Namgu and Bukgu have been chosen as case studies that illustrate the efficiency of the LID technologies. On investigation, if LID technologies are designed properly, the efficiency of them is expected to higher than that of sewage treatment 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