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Predatio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4초

The Predation Impact by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Protoperidinium cf. divergens on Copepod eggs in the Presence of Co-occurring Phytoplankton prey

  • Jeong, Hae-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1권3호
    • /
    • pp.144-149
    • /
    • 1996
  • I investigated the predation impact by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Protoperidinium cf. divergens on copepod eggs in the presence of co-occurring phytoplankton prey (a preferred red-tide dinoflagellate Gonyaulax polyedra) and the selective feeding on mixtures of both prey. The ingestion rates of P. cf. divergens on Egg N (unidentified round copepod eggs with a smooth surface, about 80 in diameter) decreased by only 1.7-2 times when mean G. polyedra concentration increased by 57-115 times. In mixed prey experiments, P. cf. divergens preferred Egg N over G. polyedra even at 1.1 ${\mu}g$C $ml^{-1}$ or 470 cells $ml^{-1}$ of the latter. A strong preference of P. cf. divergens for Egg N over G. polyedra can be responsible for this relatively small effect. Protoperidinium may sometimes have a considerable predation impact on the populations of Egg N even during phytoplankton blooms or red-tide periods.

  • PDF

긴털이리응애의 점박이응애에 대한 기능반응: 피식자 밀도, 분포 및 면적크기의 영향 (Fuctional Response of Amblyseius longispinosus (Acari:Phytoseiidae) to Tetranychus urticae (Acari: Tetranychidae): Effects of Prey Density, Distribution, and Arena Size)

  • 김동순;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1-67
    • /
    • 1993
  •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ncae)의 알밀도(10~80), 공간분포〈집중 빛 균일분포) 및 서석면적크기 (3, 9, 16 $cm^2$)에 따른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longispinosus)의 가능반응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긴털이리웅애의 점박이응애 발견효율은 밀도와 공간분포의 영향을 받았으나, 면적의 영향은 없었다. 포식량과 피식자간의 거리와는 매우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r=강.85; p=0.0001). 포식반응은 제2형의 기능반응을 보였다. 긴털이리응애의 기능반응은 random predator equation으로 잘 설명되었으며, 탐색률은 피식자의 집중분포하에서 반응면적에 따라 0.1030 - 0.1504였고 균일분포하에서는 0.0546~0.0276였다.

  • PDF

인천 연안에서 요각류 Acartia hongi 춘계 개체군 형성의 영향 요인 (The Factors Controlling the Formation of Spring Population of Acartia hongi (Copepoda: Calanoida) in Incheon Coastal Water, Korea)

  • 유정규;윤석현;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3호
    • /
    • pp.108-116
    • /
    • 2006
  • 본 연구에서 Acartia hongi 춘계 개체군 형성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알 생산, 알 부화시간, 알 포식에 관한 조사가 수행되었다. 알 생산은 동계부터 춘계 사이에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알 생산은 수온이 $7^{\circ}C$ 이하일 때 수온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수온 $7\sim21^{\circ}C$ 사이에서는 클로로필 a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알부화 시간$(D_e,\;day)$은 수온$(T,\;^{\circ}C)$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회귀식이 얻어졌다. $D_e=18.9(T-0.4)^{-1.0}$ 알 부화 시간은 수온 $5^{\circ}C$ 이하에서 급격히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시간차에 따른 A. hongi의 성장 단계별 현존량 변화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교차상관분석(CCA)을 수행하였다. 개체군 알 생산율에 부화시간을 고려한 알 생산은 개체군 알 생산을 보다 노플리우스 현존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부화 시간도 개체군 형성에 영향 요인이 됨을 의미하며, 특히 동계에 높은 일간 알 생산율과 저수온에 대한 부화 지연으로 야기된 높은 알 현존량은 춘계 초기 노플리우스 개체군의 기원이 될 것으로 본다. 춘계 개체군 형성의 부정적인 요인으로 Noctiluca scintillans의 알 포식이 관찰되었다 N. scintillans전체 개체수의 $2.9\sim21.1%$에서 A. hongi 알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A. hongi 개체군 알 생산율의 $1.2\sim49.5%$에 해당한다. 결론적으로 A. hongi춘계 개체군 형성에 영향 요인으로 동계 세대에 의한 지속적으로 높은 알 생산, 저수온에 따른 부화 지연 그리고 N. scintillans의 알 포식 등이 고려된다.

한국산 북방산개구리의 발생과정 (Life History of Rana temporaria dybowskii in Korea)

  • 윤일병;김종인;양서영
    • 환경생물
    • /
    • 제17권4호
    • /
    • pp.401-405
    • /
    • 1999
  • 북방산개구리의 산란특성 및 발생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1998년 2월 중순에서 3월말까지 경기도, 경상북도, 강원도를 중심으로 남한의 전지역을 대상으로 표본을 채집하였다. 북방산개구리의 산란시기는 2월말에서 3월말사이에 주로 이루어지며, 산란장소는 정수지와 유수지를 모두 선택하나 유수지에 산란하는 경우 알의 형태는 뭉쳐진 불규칙한 공 모양으로 돌이나 수초와 같은 기질에 부착하며, 정수지의 경우 타원형의 계란모양을 이루고 기질에 부착하지 않는다. 발생과정은 산란 후 일주일이 지나면 대부분 부화하고 71일이 경과하면 전 발생과정을 완료한다. 발생과정이 비교적 짧은 것은 먹이원이 풍부한 계절에 적극적인 포식활동을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esting Site Preference and Hatching Success of the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in the Nakdong Estuary, Busan, Republic of Korea

  • Hong, Soon-Bok;Higashi, Seig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3호
    • /
    • pp.201-206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clutch size and habitat usage of Kentish plovers (Charadrius alexandrinus) breeding on Sinja-do lslet in the Nakdong Estuary from 22 April to 12 July in 1995 and from 21 April to 20 June in 1996. The Kentish plover preferred grasslands and damp sands to dry dunes as nesting sites. The difference in hatching success among these microhabitats was attributed to high tides, which washed away many nests on damp sands, and strong winds, which frequently shifted the sand to bury eggs on dry dunes. The main mortality factor in grasslands was predation by magpies Pica pica. Each clutch contained one to four eggs, with a mode of three eggs. Hatching success was highest in two-egg clutches and lowest in one- and four-egg clutches. The mean interval for egg laying was 1.8 day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ggs and 2.1 days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eggs. The average incubation period was about 24.2 days.

참딱부리긴노린재의 발육, 산란, 포식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viposition and Predation of the Bigeyed Bug, Geocoris pallidipennis Costa (Hemiptera: Lygaeidae))

  • 김정환;김황용;변영웅;최만영;강은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61-467
    • /
    • 2012
  • 참딱부리긴노린재의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온도 $20{\pm}1$, $25{\pm}1$, $30{\pm}1$, $35{\pm}1$, $37.5{\pm}1$, $40{\pm}1^{\circ}C$, 습도 $80{\pm}10%$, 광주기 16:8(L:D)에서 발육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알부터 성충우화까지의 발육영점온도는 $14.8^{\circ}C$, 유효적산온도는 399.1일도였다. $35^{\circ}C$에서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알 기간은 5.6일, 부화율은 81.1%, 약충 기간은 14.3일(1령 3.2, 2령 2.2, 3령 2.7, 4령 2.7, 5령 3.6일)이었다. 암컷 성충의 수명은 33.8일, 산란기간은 29.2일이었다. 총 산란수는 111.2개, 하루 최대산란수는 14.8개(7일차)였다. 알과 약충은 $37.5^{\circ}C$까지만 발육하고 $40^{\circ}C$에서는 발육하지 못했으며, $40^{\circ}C$에서 총 산란수는 22.1개였다. 참딱부리긴노린재 1령, 3령, 5령, 성충의 담배가루이 번데기 하루 포식량은 각각 1.9, 7,3, 18.7, 29.5마리였다.

온도에 따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 (Cyrtorhinus lividipennis Reuter)의 벼멸구 알에 대한 포식습성 (The Predatory Behavior of Green Mirid Bug, Cytorhinus lividipennis Reuter, on Brown Planthopper Eggs i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 송유한;하태기;정대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4-242
    • /
    • 1995
  • 멸구류 포식성 천적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온도에 따른 벼멸구 알 공격능력과 기능반응의 변화를 20, 23, 26, 29, 32, $35^{\circ}C$ 등 6개 온도에서 검정하였다. 등검은 황록장님노린재는 산란된지 1일에서 4일된 이런시기의 벼멸구 알을 선호하였으며, 이중 3일된 벼멸구 알을 가장 선호하였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벼멸구 알에 대한 포식능력은 Holling의 제2형 기능반응의 Rogers(1972) 진정포식자 모형에 잘 부합되었다. 기능반응의 포식자 탐색율(a)은 $32^{\circ}C$까지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35^{\circ}C$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처리시간(Th)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완만히 감소되었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벼멸구 알에 대한 온도별, 밀도별 공격위치의 선호성은 일반적으로 저밀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밀도에서는 위쪽에 산란된 알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온도가 높아짐에따라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이 나타났다.

  • PDF

아산만 요각류 Calanus sinicus의 알 생산 (Egg Production by Marine Copepod Calanus sinicus in Asan Bay, Korea)

  • 박철;이평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5-113
    • /
    • 1995
  • 요각류 Calanu sinicu의 생물량과 산란의 계절성을 조사하였다. 조사해역인 아산만에서는, 성체는 봄철에 가장 많은 양이 출현하고, 다른 계절에는 소량 분포하는 연중 1회 peak를 보였지만, 산란에서는 봄철(4-5월)과 가을철 (9월)의 연중 2회 peak를 보였다 산란기의 개체군 평균 산란은 봄철에는 16.3 eggs/female/day, 가을철에는 7.6 eggs/female/day였으며, 1개체가 생산하는 최대 값은 39.0이었다. 타 해역에 비하여 비교적 풍부한 유기탄소량과 알 생산과의 상관관계가 유의적이지 않아 (r=0.43, p=0.3), 먹이 농도는 알 생산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실험실에서 제공된 먹이를 충분히 섭취하면서도 처음 며칠이 지난 뒤에는 산란이 중지되는 것으로 보아, 먹이의 질과 과거의 섭식경력 (feeding history)이 산란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유추되었다.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상관관계는 얻지 못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수온에서는 산란하지 않아 대상해역의 수온 변화도 산란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유추되었다. 알 생산율 자료로부터 제한된 해역인 아산만에서는 연중 두 세대의 생활사가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분포의 계절 변화와 생활사의 진행이 직접적으로 관련된 시기가 있는가 하면, 생활사 이외에 상위 영양단계의 포식압력 등에 의한 이주 등이 분포의 계절변화와 관련된 시기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종전의 결과와 비교할 때, 계절에 따라 비교적 광범위한 해역을 이주하면서, 알 생산은 연중 간헐적으로 계속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었다.

  • PDF

서해안 송도매립지에서 번식하는 검은머리갈매기의 현황과 번식생태 (Breeding Status and Ecology of Saunders' Gulls (Larus saundersi) in Songdo Reclaimed Land, West Coast of Korea)

  • 권영수;정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277-282
    • /
    • 2009
  • Saunders' gulls (Laurs saundersi) which are listed as globally vulnerable species on the IUCN Red List are distributed in East Asia and breed mainly in China and Korea. Their population is estimated to be between 7,100 to 9,600. Songdo reclaimed lands in the western coast of South Korea are the main breeding sites for these species. However, most of these breeding sites have been seriously disturbed in the last several years because of new urban development construc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eline data on the breeding ecology of Saunders' gulls. Since 1998, the breeding population has rapidly increased in South Korea, with the number of nests rising from 85 nests in 2000 to 185 nests in 2005. Egg volume is more variable than breadth or length. Clutch size, hatching and breeding success were $2.9{\pm}0.81$ (n=182, mean$\pm$sd.), 48.07% (75 hatched egg/156 eggs) and 29.08% (155 fledglings/533 eggs), respectively. Factors affecting breeding failure were predation, rainfall, starvation and supernormal clutches. These results are provided along with other cited literature to argue for conservation of Saunders' gulls.

온도조건이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Cyrtorhinus lividipennis Reuter)의 발육과 성충의 멸구류 난포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Green Mirid Bug, Cyrtorhinus lividipennis Reuter(Hemiptera: Miridae) and Predation of Planthoppers Eggs by Its Adult)

  • 배순도;박경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1-316
    • /
    • 1997
  • 온도조건에 따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발육과 벼멸구 및 애멸구의 알에 대한 성충의 포식량을 조사하였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난부화율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96%, 88%, $75^{\circ}C$$64^{\circ}C$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졌다. 난기간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11.0일 10.0일 6.7일 및 5.6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아졌다. 약충기간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13.7일 12.7일, 10.2일 및 9.1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약충기간이 짧았으며, 영기별 발육기간은 4령충에서 가장 짧았고, 1령충에서 가장 길었으나, 식이곤충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성충수명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22-23.5일, 19-20일, 16-17일 및 11-12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크게 짧았으나, 식이곤충 및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벼멸구 및 애멸구 알에 대한 암컷과 수컷성충의 포식량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56-61개 및 26-57개, 56-60개 및 47-49개, 43-46개 및 40-42개 그리고 28-30개 및 26-27개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포식량이 적었으며, 성별간에는 대체로 수컷보다 암컷에서, 식이곤충간에는 애멸구보다 벼멸구의 알을 약간 많이 포식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마리당 일간 포식량은 2.0-3.0개 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