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 Who Lives Alon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초

독거노인의 사회계층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조절효과 검증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e of Elder Who Lives Alone on the Influence of Those People's Stratum Consciousness on Their Depression)

  • 정원철;태명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426-43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사회계층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 5차자료'를 활용하였다. 65세 이상 독거노인 774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과 성별을 통제한 상태에서 독거노인의 사회계층인식이 높을수록 우울이 감소하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독거노인이 자신의 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식할수록 우울의 수준 역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독거노인의 사회계층인식이 낮아도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식할 경우 우울의 수준 역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시 말해 독거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은 사회계층인식과 우울관계를 조절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초고령 시대로 진입하는 한국사회의 노인의 정신건강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노인의 사회계층 인식과 건강상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시켜 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독거노인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실버케어시스템에 관한 연구 (Silver-care System supporting the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 who lives alone)

  • 이희석;이동희;부성순;이상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281-283
    • /
    • 2011
  • 통계청의 65세 이상 독거노인의 실태(통계청의 '2010 고령자 통계') 통계에 의하면, 2010년 65세 이상 노인이 홀로 사는 '노인단독가구(독거노인)' 수는 1,021천 가구로, 총 가구의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노인 단독가구의 비중이 11.8%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이런 독거노인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건강문제, 경제적인 어려움, 외로움, 소외감 등 여러 가지 복지서비스적인 문제점이 나타날 보여 진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앞으로 점점 고령화사회로 진전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독거노인의 증가로 인해 발생되어지는 문제점을 현실적으로 파악하고, 이들이 요구하고 있는 복지 수요를 대처하기 위한 실버케어시스템을 설계하여 제안한다.

  • PDF

폐교를 활용한 노인복지시설의 평면유형개발에 관한 연구 -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lan Types of Elderly Welfare Facility Using Closed Schools - In Case of Chungbuk Province -)

  • 김학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45-52
    • /
    • 2019
  • Since 1980's, Countless schools across the nation, particularly in rural areas, have been closed down by the large fall in number of students. Otherwise, an elderly population has been increasing rapidly, so the demand for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population is also increasing. However, the supply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remains inadequ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remodelling plan of elderly welfare facility using Closed school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unit-based facility plans, Single room type can be used for elder who lives alone or an elderly couple. Senior Congregate Housing type can be used for four to five people. These two types have equal sunlight and ventilation conditions for each room, and are for an old man in relatively good health. Membership resort type is for the healthy senior who lives in the rural area or lives in the city who wants short-term residence. In case of a Nursing home type, the existing one-sided corridor was converted into a central corridor and each classroom is divided into four rooms. This type has advantage for nursing and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the corridor is narrow and each room has differences for sunlight and ventilation.

농촌지역 취약계층의 주거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ial using of Socially Vulnerable in Rural Areas)

  • 고인호;이동숙;윤충열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8
    • /
    • 2012
  • Due to difficulty of marriage with women in Korea, unmarried men in countryside tend to have an international marriage. A ratio of international marriage was 3.7% in 2004, but increased by over 10% in 2004 due to the change of population composition in countryside. Without social or national preparation on a multicultural family and an increase of elder who lives alone made problems such as changes of population composition in countryside, a high rate of divorce due to differences on culture and society. These problems are becoming critical problems in countryside, not only for a family. This Study has a purpose as below, Firstly, this study will examine living place of elder who live alone and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ly, characteristics of using each space will be analyzed and then surveyed efficiency and satisfaction. The result of survey will be provided to space planning for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ed households, the elderly ratio of 70 to 80 units high, and when the elderly become less than 10 years, 51.6%, 77.4% of women were overwhelmingly high.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in the middle or early 2000s when immigration is concentrated and national origin in Vietnam was 66.7 %. Housing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with elderly housing type, the ratio improved to 61.3% is Majority. Type strain and 29% in traditional houses, traditional housing type is 9.7%. And house of multicultural families improve housing type is 87.5% Majority. The main space of the housing for the elderly, most are usually satisfied. But generally low level of self-determined housing survey confers real. These results have lived a long time because of space adaptation and can be viewed as attachment. For the elderly passive use of space and simplify the Act and heating cooling at the expense of the use of housing space due to the reduction, but multicultural families is the space required for the growth of their children because there are more modifications required.

고령자 주거지원을 위한 주택시설설비결함과 주거만족에 관한 연구 - 전북지역의 노인가구를 중심으로 - (Housing Defects and Housing Satisfaction for Supporting to the Aged - Emphasis on the Jeonbuk Aged Households -)

  • 이종혜;곽인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63-176
    • /
    • 2013
  • This paper investigates housing defects and housing satisfaction of the aged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ir housing environment. Personal interview was made on the 280 senior persons living in Jeonbuk area. Research results are following. Low levels were found in education, self privately-owned property, monthly income. Most of them live in a detached house that is outdated and obsolete. The facility defects of housing were the most serious level in case of the female senior citizen who lives alone. Their house aging was old but had the high deviation among households. Main influencing factors on facility defects of housing were perceived economic status and ownership of house, the next was age of the aged. Main influencing factors on the housing satisfaction were perceived economic status. Housing satisfaction was higher, the better economic level of the aged was, male than female, the less the age was, in case of hot-water usage in bathroom, owner of houses, no difference in floor level, larger storage space of kitchen was.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we propose the supporting policy of hosing safety for the aged in order to reduce the risk and social cost. Especially the rate of population aging, the aged household, and the detached houses are higher in Jeonbuk rural areas than the other area. Housing facility defects of the elder who lives alone and house aging of theirs are serious level. Local government should have supporting system that considers local differ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ged housing.

아두이노를 이용한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for Elder Who Lives Alone Using an Arduino)

  • 최성호;한상욱;서정연;이화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59-961
    • /
    • 2016
  •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어가면서 독거노인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그럼으로 인해서 독거노인들의 넘어짐, 낙상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합병증과 같은 건강 상의 문제나 고독사와 같은 것들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입력받아 입력된 값을 계산하고 분석하여 문제 상황을 빠른 시간내에 확인한 후 블루투스를 통해 스마트폰을 이용, 관리자에게 문제 상황을 전달하고 그로 인해 빠른 대처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실시간 객체 추적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rt Care System Using Real-time Object Tracking Technology)

  • 김혜정;강민구;이혜규;고동범;김정준;박정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43-250
    • /
    • 2018
  • 본 논문은 독거노인을 위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최근 의학, 생활수준, 환경의 급속한 개선으로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고령 인구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고령화 사회와 더불어 증가하는 독거노인 비율은 노인 케어 시스템, 응급 상황 알림과 같은 서비스의 제공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기존의 응급상황알림을 위한 기술들은 고정된 CCTV 영상을 분석하기 때문에 CCTV 사각지대에서의 모니터링에 대한 어려움과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로 이동하는 등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활동을 할 경우 실시간으로 케어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이동이 가능한 로봇과 객체 추적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이를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응급상황시 빠르게 도움을 요청해 보호자 및 도우미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독거노인의 안전의식과 주거환경 조사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solitary senior citizen)

  • 서예슬;정명진;김승연;박희진;윤은빈;정륜남;허주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149-15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안전의식과 주거환경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독거노인의 사고 발생 빈도 및 유형을 통해 안전의식 증진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도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생활관리사 22분의 도움을 받아 성남시 수정구에 거주하는 노인 총 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필요한 20개의 논문을 정독한 후, 자체 제작한 주거환경 체크리스트 도구, 안전의식 진단 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독거노인들의 주거환경에 따른 사고 경험을 분석한 결과, 사고유형과 사고장소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독거노인의 안전의식에 대한 설문에 의해 외출 시간과 안전의식이 상당한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아내었고, 그 결과 상대적으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긴 노인이 안전의식 수준이 높았다.

주거지 재생지역의 기존주택 기능전환에 대한 노인의 반응연구 (Elderly response to alteration of existing house function in housing improvement area)

  • 임수현;이연숙
    • KIEAE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9-18
    • /
    • 2010
  • As an aging population has increased vastly and nuclear families have been a dominating family type in modern Korean society, the numbers of the elderly who suffer Empty Nest Syndrome and LID (Loss Isolation Depression) syndrome have been accelerated. These syndromes involve psychological instability, melancholy, and lethargy. To make the elderly get out of this phenomenon and live actively, the scheme of converting their existing house into shared housing was set as a hypothetical solution in this study. This study sets out to find out responses of the elderly to alter their own house's function in housing improvement area. A Small Workshop Panel method was used and the elderly aged 55 years upwards took part and they own a detached house in a housing improvement area that is relatively large for the elderly or the elderly couple to live alone. Through the workshop, problems that the elderly have been experiencing within their houses were looked into and responses of the elderly on altering their house to shared housing by introducing developed schematic plans. Although, the first response was negative, positive responses from the house owners were carried out when a visual support i.e. developed shared housing plan was provided. The positive response was based on the fact that subsidies from the government on house renovation and tenants matching programs are supported as shared housing could provide home owners economical support with rents and help them to feel less lonely. This is a way of relieving the elderly from being neglected and supporting them to live and age actively in their later lives. Furthermore, by providing a visual media to the elder residents in housing improvement area, their greater understandings on the development and addressing their opinions were possible. Therefore, more tools that promote elder residents' participation are needed for futur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and an aging society.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를 위한 Zigbee/PLC 게이트웨이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Zigbee/PLC Gateway System for U-Health Care)

  • 김성윤;강경일;권민수;이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332-33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를 위한 Zigbee/PLC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Zigbee 통신과 전력선 통신 간의 원활한 정보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 변환 알고리즘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Zigbee/PLC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센서 모듈, Zigbee 모듈, 전력선 모뎀, 게이트웨이로 구성되며, 움직이는 물체가 무선 센서에 감지되면 Zigbee 모듈을 통해 게이트웨이로 전송된다. Zigbee/PLC 게이트웨이에서는 전송받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해 전력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된다. 구현된 시스템은 독거노인 활동량 분석, 방범 시스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