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ic Book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34초

디지털 리더기 사용자의 e-Book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 Analysis Influencing on Use of e-Books: for the Users of Digital Reader Equipment)

  • 이광숙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43-153
    • /
    • 2011
  • Digital leader caught seat by modern's everyday life tool now by popularization of smart device such as Smart phone and Tablet PC. Therefore, desire of readers about electronic book practical use is increasing based on convenience and economic performance of electronic book. 1971, Michael S. Hart established Project Gutenberg to produced first electronic book because inputs American Independence Declaration Statement by computer and produce more electronic books. After that, an electronic book technology repeats several times development and American electronic book take is increasing rapidly. Sales volume of electronic books is dramatically increasing in Korea since digital device such as Smart phone and Tablet PC became popular.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on shifting from paper book to electronic book. Results of this research proposed grounds for building business strategy. Finding is the factor of social influence is only significant to acceptability intention. It means user of e-Book enhance their acceptability intention along social phenomena.

장애인용 전자출판 생태계와 전자책 시장 활성화 방안 (Electronic Publishing Ecosystem and Promotion of E-book Market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 전광일;임명환;길연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2권2호
    • /
    • pp.219-230
    • /
    • 2015
  • Recently, electronic-book (e-book) market is growing rapidly due to the evolu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e-book standard EPUB. Users can search e-book on-line and download easily to their e-book readers such as amazon's kindle or smartphon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lack of e-book contents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because of high cost of making e-book accessibility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If we can translate EPUB specified e-book contents to the alternative e-book contents suitable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then there are many advantages to acquire various types and large volumes of e-book contents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This paper suggests a new electronic publishing ecosystem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using e-book translation method. It also suggests a promotion strategy of e-book market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디지털도서관에서의 전자도서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Electronic Books in Digital Library: Focusing on Academic Library)

  • 최원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65-385
    • /
    • 2003
  • 전자도서와 관련된 분야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관련된 행사, 문헌, 기사 등과 관련된 최신 정보를 유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전자도서는 PC혹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열람하므로 스크린의 질에 다소 제한적인 요소를 갖고 있으나 휴대용 단말기의 가격은 점진적으로 저렴하게 되고 질은 높아지므로 전자도서의 미래는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전자도서 관련 행사, 기술 등과 관련된 배경 지식을 기반으로 전자도서를 분류하여 관련 추세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에서 전자도서를 도입하는 경우 이와 관련된 여러 환경과 이슈를 파악하여 전자도서의 도입과 운영시 고려하여야 하는 요소를 구분하여 그 해결책과 미래의 추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퍼지 계층적 의사결정 기법과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국내 전자책 이용그룹의 요구수준 분석 (Analysis of Electronic Book User Needs through Fuzzy AHP & Conjoint Analysis)

  • 윤수진;정호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05-214
    • /
    • 2011
  • Amazon.com의 Kindle의 성공과 더불어 국내에도 전자책 및 전자책 단말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퍼지 계층적 의사결정 기법과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전자책 이용 그룹의 요구수준을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퍼지 계층적 의사결정기법을 활용하여 전자책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자책 전용 단말기 구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요인을 선별해 낸다. 다음으로 전자책 이용그룹을 대상으로 주요요인별 요구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컨조인트 분석을 수행한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 향후 연구방향을 함께 제시한다.

전자책 저작을 위한 동적 폼 기반 편집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ynamic Form-based Editor for Writing Electronic Books)

  • 구은영;최윤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5호
    • /
    • pp.540-550
    • /
    • 2002
  • 전자책(Electronic Book : eBook)은 디지털 매체를 이용해 책의 내용을 저장 및 가공한 출판물을 의미하며 저장의 용이성과 휴대가능성 및 쉬운 검색 둥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전자책의 활성화를 위하여 관련 기술의 연구가 필요하며 전자책 구조에 적합한 전자책 전용 편집기 또한 아직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책 장르별 구조를 제공하는 폼 기반(Form-based)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 사용자가 작성하기 쉬운 전자책 편집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특히 전자책은 문헌의 특성상 장르별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장르의 구조에 따른 폼의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존의 XML 편집기로 전자책을 작성시 XML 문법에 대한 숙지가 필요한 문제점에 비하여 제안된 시스템은 폼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를 해결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구조를 갖는 전자책의 특성을 감안하여,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폼에 동적으로 구조를 추가할 수 있는 유연성 있는 폼을 지원함으로 전자책을 효과적으로 저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르별 폼 기반의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동적 구조를 제공하여 전자책을 용이하게 저작할 수 있다.

Lotka-Volterra 모형을 적용한 Paper-boook과 E-book의 경쟁관계 유형 분석 (An analysis on the competition patterns between Paper-book and E-book using the Lotka-Volterra model)

  • 김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766-4773
    • /
    • 2010
  • Electronic book(E-book)은 기존의 Paper-book이라는 매체를 통해 유통되던 텍스트 기반의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온라인으로 유통시키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이다. E-book이 본격적으로 관심을 끌게 된 것은 2000년 스티븐 킹(Steven King)이 총알 타기(Riding the bullet) 라는 소설을 E-book으로 출판한 것에서 비롯되는데, 이후 E-book에 대한 구매자의 관심이 매우 증폭되었고 미국을 비롯하여 유럽, 중국, 일본, 한국 등에서 E-book시장의 규모가 매우 커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 출판시장에서 E-book이 도입된 이후 Paper-book 출판시장과 E-book 출판시장이 어떻게 경쟁하며 확산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실증 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두 시장 간의 관계를 경쟁관계를 고려한 확산모형인 Lotka-Volterra 모형을 사용하여 모형화하고, 국가별로 연도별 자료를 이용하여 확산곡선을 추정한다. 또한 곡선식의 계수를 추정함으로써, 두 시장 간의 경쟁관계 유형을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Paper-book만 존재하던 출판 시장에 E-book이 도입됨으로써 책을 구매하는 구매자들의 수요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전자책 표준 적합성 도구의 개발 (Developing a Test Tool for Electronic Book Standard Conformance)

  • 김재경;손원성;임순범;김성혁;최윤철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69-284
    • /
    • 2004
  • 한국문서형표준(KS X 6100)은 지난 2001년 7월 제정된 한국전자책문서표준(EBKS1.0)이 2002년 7월 한국산업기술표준원의 산업표준심의를 거쳐 제정되었다. 그러므로 한국문서형표준에 기반하여 작성된 전자책 문서들은 표준의 목적과 명세를 준수하여야 하며 표준의 준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 적합성 검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적합성 검사의 기준이 되는 적합성 조항(Conformance Clause)의 정의와 이에 따른 적합성 검사 도구(Conformance Testing Tool)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정의된 조항들을 통하여 전자책 제작자들은 전자책표준의 목적과 명세에 보다 적합한 전자책문서들을 제작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들은 적합성 검사 도구를 통한 자동화된 적합성 검사 절차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적합성 검사가 가능하다.

  • PDF

웹기반의 전자원문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vanced Electronic Book System Based in Web)

  • 남영준;정의섭;유재영;조현양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9-15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전자책으로써 웹기반 전자원문을 관리하는 시스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의 방향은 이용자(사용자와 관리자)의 전자원문 열람 및 관리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전자원문 관리시스템의 주요 개선된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열람과 관리를 할 수 있어 특정 프로그램에 종속적이지 않다. 2) 이미지 컨텐트(표, 이미지, 아이콘 등)를 최소화하여 한 화면에 정보의 전달성과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3) 색인어 추출을 비롯한 장, 절 구조화 업무를 자동화하여 이를 위한 노력을 경감할 수 있다. 4) 전자원문 열람과정에서 생성되는 이용자 로그파일을 여러 관점에서 수집할 수 있다. 5) 이용자 열람시에 해당 전자원문의 암호화와 복호화를 통해 저작권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검색효율성 및 편리성을 증진시킨 인터페이스 등의 결과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부품소재정보망(MCT-net)에 적용하여 제안된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 전자책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Book Service of University Library)

  • 남태우;김진아
    • 정보관리연구
    • /
    • 제34권2호
    • /
    • pp.25-53
    • /
    • 2003
  • 도서관은 끊임없는 변화로 다양한 자원을 받아들이고 수용하고 있다. 전자자원은 도서관의 중요한 자원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최근에 나타난 전자책은 새로운 가능성을 지닌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책의 출현 배경과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도서관자원으로서 전자책이 가지는 기능과 문제점 그리고 이로 인한 도서관 서비스 변화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대학도서관의 전자책 이용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설문분석을 하여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기반 사용자 중심의 실감형 상호작용 전자책 (User-centric Immersible and Interactive Electronic Book based on the Interface of Tabletop Display)

  • 송대현;박재완;이칠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17-12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사용자 중심의 실감형 상호작용 전자책에 대하여 기술한다. 전자책은 일반 종이 책이 아닌 컴퓨터를 이용한 가상의 책으로 사용자가 독서를 하는 도중 동영상 자료를 보거나 배경음악, 무비클립, 애니메이션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이다. 또한 제안하는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테이블탑 디스플레이는 손가락의 터치 점을 이용하여 다양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기존 입력장치에 비해 사용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전자책을 체험하는 것을 돕는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전자책과 차별화된 실감형 상호작용 전자책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사용자 중심의 제스처 명령을 정의하여 앞으로 컴퓨터와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과 알고리즘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