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ic Warfare Support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초

전자전 ES 시스템의 수신기를 고려한 탐색대역 생성 (A Search Band Implementation Considering the Receivers of the Electronic Warfare Support System)

  • 윤인복;정창민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1091-1096
    • /
    • 2011
  • The main factors of radar signals used in electronic warfare are Radio Frequency(RF), Pulse Repetition Interval(PRI), Pulse Width(PW), Scan Parameter(SP) and so on. This radar signals may have som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warfare. So, there is a necessity for making a threat database to decide whether the radar signal is a threat or not. When the electronic support system collects some threat radar signals, it needs the search band to control the receivers and filter banks of the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search band implementation considering the type and center frequency of the receivers of the electronic support system.

대공제압(SEAD) 임무에서의 전자전 효과도 분석을 위한 DEVS기반 시뮬레이터 개발 (Development of a DEVS Simulator for Electronic Warfare Effectiveness Analysis of SEAD Mission under Jamming Attacks)

  • 송해상;구정;김탁곤;최영훈;박경태;신동조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33-46
    • /
    • 2020
  • 전자전은 상대방 전자전 무기체계나 장비에 대한 교란, 무력화, 공격 및 파괴를 목적으로 한다. 대공제압(SEAD: Suppression of Enemy Air Defense) 임무는 적의 방공망에 대한 무력화, 파괴, 혹은 일시적 기능 저하를 목적으로 하며, 전자전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임무이다. 본 연구는 SEAD 임무의 효과도 분석을 위하여 DEVS(Discrete Event Systems Specification) 기반의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유용성을 입증한다. SEAD 임무는 SSJ(Self Screening Jamming), SOJ(Stand Off Jamming) 상황 하에서 적 지역으로 침투하여 HARM(High Speed Anti Radiation Missile)을 발사하는 단계까지로 한다. SAM의 대응은 SSJ, SOJ에 의해 성능의 저하가 초래되는 상태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시뮬레이터는 전자전 장비의 제원(파라미터)과 운용전술(파리미터 혹은 알고리즘)의 조합이 임무효과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해상 전자전체계 조우 HILS 연구 (A Research on Naval Electronic Warfare System Engagement HILS Technology)

  • 신동조;이정훈;류시찬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85-792
    • /
    • 2010
  • This paper on the Research of Naval Electronic Warfare System HILS(Hardware In the Loop System) describes the EW engagement HILS construction method for evaluation of the operational concept analysis on active RF Decoy in staying in the air and the deceit ability to anti-ship missile seeker. We obtain the EW M&S technology of EW engagement HILS and EW efficiency analysis from this project. This Naval Electronic Warfare System HILS technology will support Active Decoy Development Project and any other HILS of EW weapon in KOREA ARMY/NAVY/AIR FORCE.

가우스 요소함수 망에 기초한 재밍 파라미터 추정 (Estimation of Jamming Parameters based on Gaussian Kernel Function Networks)

  • 황태현;길이만;이현구;김정호;고재헌;조제일;이정훈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0
    • /
    • 2020
  • Effective jamming in electronic warfare depends on proper jamming technique selection and jamming parameter estim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of estimating jamming parameters using Gaussian kernel function networks. In the proposed approach, a new method of determining the optimal structure and parameters of Gaussian kernel function networks is proposed. As a result, the proposed approach estimates the jamming parameters in a reliable manner and outperforms other methods such as the DNN(Deep Neural Network) and SVM(Support Vector Machine) estimation models.

레이더 주파수 분포 기반 커널 밀도 신호 그룹화 기법 (A Kernel Density Signal Grouping Based on Radar Frequency Distribution)

  • 이동원;한진우;이원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6호
    • /
    • pp.124-132
    • /
    • 2011
  • 현대 전자전에서 레이더 신호 환경은 매우 복잡하고 고밀도화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신호로부터 원래의 방사체로 각각 분리하여 분석하고 식별하기 위한 전자전지원을 위해서는 신뢰성있는 신호분석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전지원의 신호분석 단계에서 신뢰성을 보장하며 신호처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레이더 신호 그룹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주파수 변조 특성에 대한 통계적 분포 특성을 활용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커널 밀도 추정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 그룹화한다. 제안된 기법에 대해 실험 결과를 통해 우수한 성능을 보유함을 확인하였다.

자기상관관계를 이용한 레이더 신호의 PRI 변조형태 인식 기법 (Recognition of PRI modulation types of radar signals using the autocorrelation)

  • 류영진;김환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3권3호
    • /
    • pp.61-67
    • /
    • 2006
  • ES 시스템에서 레이더 신호의 PRI 변조특성 분석은 고밀도 전자전 신호 환경에서의 레이더 식별 모호성 문제로 인해 그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S를 위한 레이더 펄스 신호의 PRI 변조형태를 인식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PRI 시퀀스의 선형 자기상관관계에 나타나는 각 변조형태별 특징을 기반으로 정의한 형태 구분자들을 이용하여 PRI 변조형태를 인식한다. 또한 제안된 기법은 주기적인 변조특성을 갖는 PRI 변조형태에 대해서 변조주기를 추정한다.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다양한 모의신호에 대한 실험결과를 제시하였다.

전자전 지원을 위한 향상된 펄스 세기 추정 기법 (Enhanced Pulse Amplitude Estimation Method for Electronic Warfare Support)

  • 이유리;김동규;곽현규;김형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3호
    • /
    • pp.649-660
    • /
    • 2017
  • 전자전에서 적군이 방사한 펄스 신호에 관한 정보 중에서 펄스 세기는 방사되는 신호원의 거리를 추정하고 혼재되어 들어오는 신호원들을 분리할 때 사용된다. 기존의 펄스 세기 추정 방식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추정된 펄스폭에 해당하는 신호를 푸리에 변환한 후에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신호 세기의 최댓값을 수신된 펄스 신호의 세기로 추정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주파수 변조 신호가 수신될 경우 주파수 영역에서 에너지가 분산되어 펄스 세기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간 영역에서 수신된 펄스의 평균 전력을 구하고 수신기에서의 잡음의 평균 전력을 제거하여 펄스 세기를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주파수 변조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제안된 기법이 무변조 신호와 동일한 성능을 가지는 것을 보인다. 추가로 펄스 세기 추정은 이전 단계에서 발생한 펄스 폭 오차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동일한 펄스 폭의 오차가 발생했을 때 기존 기법보다 제안하는 기법이 강건함을 보인다.

통신대역신호 방향탐지 장치 Test-bed 개발 및 성능 분석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Direction Finding System Test-bed for Communication-band Signals)

  • 최준호;박영미;양종원;나선필;박철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4-160
    • /
    • 2007
  • A direction finding system test-bed(DFSTB) at the electronic warfare communication-band is presented to efficiently evaluate and optimize the performance of the direction finding system through the indoor test setup. This test-bed gives a significant benefit to the designers of the direction finding system because it allows flexible test and design trade-off in the system design cycle. The system description and implementation of test-bed architecture, and the experiment results of direction finding accuracy according to modulation schemes are presented.

스캔패턴 분석을 위한 레이더 수신신호 모델링 (Modeling of Received Radar Signals for Scan Pattern Analysis)

  • 김용희;김완진;송규하;이동원;김형남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7권4호
    • /
    • pp.73-85
    • /
    • 2010
  • 주파수, 펄스폭, 펄스반복주기 등의 정보를 식별변수로 이용하는 기존의 레이더 식별 기법들은 현대전의 고밀도 다중 신호환경에서 식별모호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전자전 지원 시스템의 식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레이더의 스캔패턴 정보를 활용하는 식별 기법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레이더 스캔패턴 정보와 다양한 수신환경을 반영하는 정확한 레이더 수신신호의 확보가 우선적으로 요구되나, 실제 전자전 환경에서 직접 수집하거나 모의환경을 구성하여 획득하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실제 전자전 지원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레이더 신호의 세기가 결정되는 과정을 모델링한 후, 이를 토대로 다양한 운용변수와 수신환경을 고려한 레이더 수신신호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대표적인 스캔패턴에 대해 레이더 수신신호를 생성한 후 수신 위치에 따른 신호의 특성을 자세하게 분석한다.

전자전 지원을 위한 적응적 그룹화 기법 (An adaptive clustering scheme for ES)

  • 한진우;송규하;이동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66-368
    • /
    • 2006
  • Electronic warfare Support(ES) system measures pulse characteristics for received RF signals that received from all directions. ES system discriminates the pulse trains that have a rule, correlationship, continuance from collected data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and identify the emitters by comparison with emitter identification data(EID). Because pulse density is very high and various signal source exists at modem signal environments, high-speed and accurate signal analysis is needed for realtime countermeasure to emitters. Grouping alleviates the load of signal analysis process and supports reliable analysis. In this paper, we suggest an adaptive clustering scheme regarding signal patter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