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ic pen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4초

제스쳐 허용 전자 잉크 에디터의 개발 (Development of Gesture-allowed Electronic Ink Editor)

  • 조미경;오암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1054-1061
    • /
    • 2003
  • 전자 잉크 데이터는 스타일러스 펜을 주된 입력 도구로 사용하는 PDA 등과 같은 펜 기반 컴퓨터의 개발로 출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이다. 최근 들어 펜 기반 모바일 컴퓨터의 발전과 보급은 전자 잉크 데이터 처리 기술에 대한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펜 제스쳐 (pen gesture)를 허용하는 전자 잉크 에디터개발에 필요한 기술들을 연구하였다. 제스쳐와 잉크 데이터는 펜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장 큰 특징중 하나이지만 아직 충분한 연구가 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펜 제스쳐 구분을 위한 새로운 제스쳐 인식 알고리즘과 제스쳐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잉크 데이터의 분할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제안된 방법들을 이용하여 제스쳐를 허용하는 전자 잉크 에디터 GesEdit를 개발하였다. 제스쳐 인식 알고리즘은 입력된 획의 여덟 가지 특징에 기반하고 있으며 전자 잉크 데이터를 GC(Gesture Components) 단위로 분할하는 방법은 볼록껍질(convex hull)과 입력 시간을 사용하였다. 열 명의 피실험자에 의해 수행된 다양한 실험 결과 아흡 가지 제스쳐들은 평균 99.6%의 인식률을 보여 주었다.

  • PDF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용 스타일러스펜의 정전특성 연구 (A Study on Capacitance Properties of Stylus Pen Applied to Capacitive Touch Panel)

  • 이재윤;유시홍;성민호;이성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651-656
    • /
    • 2012
  • A study on capacitive characteristics of stylus pen for touch panel are progressed in this paper. Also the main factors for capacitive sensitivity are studied. Namely, highly sensitive stylus pen which can be applied to capacitive touch panel are studied based on the analysis of materials and process conditions regardless of pattern shapes. Stylus pen was made of PDMS(Poly-Di-Methyl-Siloxane) and conductive metal powders which does not damage the touch panel surface. We tried to get the advantages of both the properties of soft PDMS and conductive metal powders. We found that potential difference of capacitance change with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 materials(PDMS + metal powders) it implies that during touch process, large voltage difference can be caused by the high conductive materials of stylus pen. Stylus pen made by PDMS with mixed with Ag powders which has large conductivity shows more capacitance change of 1 pF than PDMS with other materials of Ni or C powders.

전자펜 하이테크 상품의 소비자 만족도와 기술수용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TAM of High Technology Electric Pen Product)

  • 김연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161-168
    • /
    • 2019
  • 전자펜의 소비자 활용도 및 제품 개선점 분석을 위해 Davies(1989)의 TAM 모형을 적용하여 전자펜 사용자들의 지각된 유용성, 이용용이성 및 기대가치를 통한 기술수용의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기업 설문내용에 기반 한 내용분석법과 고객들의 참여도인 Activity 분석을 통해 전자펜 제품의 기술수용정도와 제품 전략의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전자펜의 활용도를 보인 고객들은 30~49세의 남성과 사무직과 연구원으로 나타났으며, 개선사항에 대한 키워드 중심의 내용분석법의 분석결과 전원동작의 개선, App 연계 펜 기능의 확장성, 전자펜의 수정기능, 펜의 데이터인식 기능, 전자펜이 펜으로서의 필기감, 그립감, 펜 굵기 선택 등 세분화 기능의 개선, 타 스마트 기기와의 동기화 개선과 충전기능의 개선 필요성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는 전자펜에 TAM을 적용하여 전자펜이 초기시장에서 주류시장으로 확산되기 위한 제품속성 개선점을 제시하였고 향후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 등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계된 전자펜 제품 확산과의 차이점 규명 통해 차별화 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능동 폴리머 펜 어래이를 이용한 미세 패터닝 (Micro Patterning Using Active Polymer Pen Array)

  • 한윤수;홍지화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853-857
    • /
    • 2013
  • We design, develope and test a parallel active polymer pen lithography (PPL) device, which consists of individually addressable elastomeric probe tips. The PPL array chip is fabricated using soft lithography method with polydimethylsiloxane (PDMS) material. Individual probe can be pneumatically actuated via a computer controlled interface. We demonstrate parallel writing with 16 individually addressed pens, with each pen producing a different pattern in the same run. The largest proof-of-concept array fabricated is $4{\times}4$ with a spacing of $250{\mu}m$ in both x and y axes.

평판형 광-바이오센서용 2차원 광자결정 제작을 위한 Dip-Pen Nanolithography 공정 연구 (A Study on Dip-Pen Nanolithography Process to fabricate Two-dimensional Photonic Crystal for Planar-type Optical Biosensor)

  • 김준형;이종일;이현용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67-272
    • /
    • 2006
  • Optical waveguide based on symmetric and asymmetric Mach-Zehnder interferometer(MZI) type was designed, fabricated and measured the optical characteristics for the application of biosensor. The wavelength of the input optical signal for the device was 1550 nm. And the difference of refractive index was $0.45\;{\Delta}\%$ between core and cladding of the device. The TM(Transverse Magnetic) mode optical properties of the biosensor were analyzed with the refractive index variation of gold thin film deposited for overclad. Nowadays, nano-photonic crystal structures have been paied much attention for its high optical sensitivity. There is a technique to realize the structure, which is called Dip-Pen Nanolithography(DPN) process. The process requires a nano-scale process patterning resolution and high reliability. In this paper, two dimensional nano-photonic crystal array on the surface was proposed for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optical biosensor. And the Dip-Pen Nanolithogrphy process was investigated to realize it.

Properties of IZTO Thin Films Deposited on PEN Substrates with Different Working Pressures

  • Park, Jong-Chan;Kang, Seong-Jun;Yoon, Yung-Sup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24-227
    • /
    • 2015
  • In this work, the properties of Indium-Zinc-Tin-Oxide (IZTO) thin films, deposited on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with a $SiO_2$ buffer layer, were analyzed with different working pressures. After depositing the $SiO_2$ buffer layer on PEN substrates by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the IZTO thin films were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with 1 to 7-mTorr working pressure. All the IZTO thin films show an amorphous structure, regardless of the working pressure. The best morphological,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are obtained at 3-mTorr working pressure, with a surface roughness of 2.112-nm, a sheet resistance of $8.87-{\Omega}/sq$, and a transmittance at 550-nm of 88.44%.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ZTO thin films deposited on PEN have outstanding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and the PEN plastic substrate is a suitable material for display devices.

전자펜 기반 편측시각무시(UVN) 환자 검사 및 재활치료 시스템 (Electronic Pen-based Unilateral Visual Neglect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System)

  • 김준교;지혜미;박재현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647-650
    • /
    • 2014
  •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unilateral visual neglect has been one of the fields that require assistive technology. Paper-and-pencil tests, including the LBT (Line Bisection Test), have been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visual neglect assessment methods used in a clinical setting. The key motivation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computer-based real-time assessment system for the hemi-neglect patients without altering the conventional paper-and-pencil based user tools. A digital penbased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system, the ePen System, could eliminate the manual assessment time while maintaining measurement accuracy. As a result, the proposed system may assist rehabilitation specialists to assess and diagnose patients with unilateral visual neglect. This system can be applied to a range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modalities based on a pen and paper. It can also be applied to various patients such as those with Parkinson's disease, stroke sufferers, or those who have experienced different forms of brain lesions.

평판형 광-바이오센서 (Planar-Type Optical Bio-Sensor)용 2차원 광자결정 제작을 위한 Dip-Pen Nanolithography 공정 연구 (A Study on Dip-Pen Nanolithograpby Process to Fabricate 2D Pbotonic Crystal for Planar-Type Optical Bio-Sensor)

  • 김준형;이종일;이현용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6
    • /
    • pp.381-383
    • /
    • 2005
  • 바이오센서 응용을 위한 대칭 및 비대칭 마하젠더 간섭계 광도파로 소자의 설계, 제작 및 광학적 응답특성을 평가하였다. 설계 제작된 광도파로 소자의 압력광원은 각각 1550nm와 632.8nm이고, 코어와 클래딩의 굴절률차는 0.45 $\Delta$%로 설계 제작하였다. 센서부(상위 클래드)의 금 박막의 미소 굴절률 변화에 따른 TE, TM모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센서의 보다 높은 감도 개선을 위한 나노-광자결정 구조가 주목받고 있는데, 광자결정 구조의 구현를 위한 리소그래피 공정은 높은 분해능과 신뢰성 있는 나노스케일의 공정이 요구된다. 광-바이오센서의 감도 개선을 위해 센서부 표면에 2차원 나노-광자결정 배열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Dip-Pen Nanolithography 공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돈방의 구조가 자동급이기를 활용한 임신돈의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using Design on the Feeding Behaviors of Group Housed Pregnant Sow with Electronic Sow Feeder)

  • 송준익;김지향;전중환;이준엽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67-172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ousing design on the feeding behaviors of group housed pregnant sows. A total of 65 sows (Landrace ${\times}$ Yorkshire) were employed into 2 experimental sow housing with different housing design. Lying area of one of sow housing was designed with concrete fence to give the shelter for weak sows. The other was floor type without any obstacles. Group housed sows were fed using electronic sow feeder (ESF) during gestation. Daily feeding pattern of sows was automatically recorded in ESF feeder program. Most sows ate all feed during night. Daily visiting frequency to ESF of sows in pig pen with the shelter was significantly lowered than sows in floor type pen. This study showed that the housing design of group housed sow pen could fairly impact ESF utilization of sow.

이동로봇 원격제어를 위한 HMD의 방향각 측정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tation angle Estimation of HMD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tele-operation)

  • 윤승준;노영식;강희준;서영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89-90
    • /
    • 2008
  • 본 논문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이동로봇을 원격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비전 시스템에서 HMD(Head Mounted Display)의 방향각 측정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이다. 우선 이 이동로봇 원격제어 시스템은 AP와 무선랜을 이용하여 독립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였고 이동로봇의 주변 환경을 레이저 센서와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송한다.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 전송된 영상 정보는 HMD를 통하여 볼 수 있다. 실시간으로 영상 카메라에 의해 측정 된 HMD의 회전 각도는 pen-tilt에 전송되어 HMD가 회전한 만큼 pen-tilt도 회전하여 이동로봇의 주변 환경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