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chooler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초

초등학생 인터넷 사용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Factors Affecting the Increase in Internet Use Among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ers)

  • 박선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5-91
    • /
    • 2007
  • Objectives: It is known that the majority of middle schoolers spend the substantial amount of time using the Internet. Despite the fact, little is known about which factors are related to an increase in Internet use and what could be the consequences of excessive Internet u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an increase in Internet use among elementary schoolers representing the population of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ers. Method: Secondary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were analyzed longitudinally. Results: The average minutes spent using the Internet was 73.43 in the first wave, and was 92.17 in the second wave. Also, the percentage of those who experienced illegal behaviors on the Internet was 22.86% in the first wave, and was 30.92% in the second wave. Second, increased Internet use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an attack tendency,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stress, and delinquent behaviors. Finally, gender(being female), and increased attacking tendency, and smoking experiences successfully predicted an increase in Internet use one year later.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programs to young people and to develop preventive strategies for them. Through providing education programs, children can form desirable attitudes regarding the Internet use. Through providing intervention strategies, children can prevent from experiencing negative consequences due to excessive Internet use.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인지하는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식사지도방식의 요인 탐색 및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자녀의 식행동과의 상관성 (Exploration of Maternal Parenting and Child-Feeding Style Dimension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ers and Middle Schoolers and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Dimensions and Child's Food Behaviors)

  • 김미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44-556
    • /
    • 2011
  •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초등학생(4~6학년)과 중학생(2~3학년)이 인지하는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식사지도방식에 관한 내재요인을 추출하고, 이들 요인들의 상호관련성 및 대상자들의 식행동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어머니 양육방식은 총 10개의 요인(합리적 지도, 애정과 참여, 성취격려 및 기대, 일관성 있는 규제, 비난과 성냄, 과보호, 감정적 처벌, 육체적 처벌, 자녀가 좋아하는 것을 못하게 함으로써 처벌 및 처벌을 못함)으로 추출되었고, 2차 요인분석을 통하여 이들 10 요인은 3 양육방식(권위주의적인, 허용적인 및 권위있는)으로 축약되었다. 어머니의 식사지도방식은 총 8개의 요인(식사량 조절, 식품제한, 섭취강요, 모니터링, 바람직하지 않은 식행동 보여주기, 바람직한 식행동 보여주기, 편식 교정 교육, 바람직한 식행동 권장)으로 추출되었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식행동 비교 결과, 중학생들은 초등학생에 비해 '부모와 함께 식사'하는 빈도가 낮으며 '건강에 유익한 식품 섭취빈도'는 낮고 '건강에 해로운 식품 섭취빈도'는 높았다. '권위주의적인' 방식을 택할수록 '섭취강요' 및 '바람직 하지 않은 식행동 보여주기' 경향이 높았고 이러한 관련성은 초등학생에서 더 높았다. '허용적인' 방식을 택할수록 '올바른 식습관 권장'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권위 있는' 방식은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 '바람직하지 않은 식행동 보여주기'를 제외한 모든 식사지도방식 요인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001), '편식개선 노력'과 '바람직한 식행동 권장' 점수가 가장 높았다. '권위주의적인' 방식일수록 초등학생의 '건강에 해로운 식품 섭취빈도'가 높았고(p<0.001), '허용적인' 방식일수록 중학생의 '혼자식사' 및 '건강에 해로운 식품 섭취빈도'가 높았다. '권위 있는' 방식을 택할수록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 '건강에 유익한 식품 섭취빈도'가 높았다(p<0.001). 또 '권위 있는' 방식은 초등학생이 '부모와 함께 식사'하는 횟수는 높고 '혼자 식사'하는 횟수는 낮았으며 중학생에서는 관련성이 없었다. 이상에서 볼 때,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차원, 식사지도방식의 차원들은 상호관련성이 높으며, 어머니의 '권위 있는' 양육방식은 초등학생 및 중학생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초등학생과 중학생에서 가장 바람직하지 못한 양육방식은 각각 '권위주의적인' 방식과 '허용적인' 방식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양육방식은 자녀의 연령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령기 및 청소년 초기 흡연행태와 흡연시작에 영향을 주는 요인 (Smoking Behavior and Predictors of Smoking Initiation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 박선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76-385
    • /
    • 2009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a) to identify smoking behavior by following a cohort representative of the population of 4th grade elementary schoolers in South Korea over a four-year period(2004-2007), and(b) to explore predictors of smoking initiation among non-smokers in Wave 1. Methods: Secondary data, the Korea Youth Panel Study, was analyzed in this study. First, frequencies or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identify smoking behavior(i.e., smoking initiation, smoking intensity, and smoking duration). Seco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smoking initiation. Results: Smoking initiation and daily smoking were more pronounced when the participants entered middle school. In bivariate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smoking initiation were loneliness at school, self-control, delinquent behavior, depressive symptoms, and stress. However, after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only a high level of risk-taking tendency and a greater number of delinquent behaviors rem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Based on greater involvement in smoking among first-year middle schoolers, smoking prevention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to elementary schoolers rather than middle schoolers. A risk-taking tendency and delinquent behaviors should be considered as proxy measures to detect the high-risk group for smoking initiation.

초등학교 학생들의 흡연 경험과 흡연에 대한 태도 분석 (Analysis of smoking experience and their smoking attitude among elementary schoolers)

  • 김정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2호
    • /
    • pp.53-64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흡연 경험 실태, 흡연에 대한 태도, 흡연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횡단면 기술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충청도와 강원도 소재 초등학교의 4,5,6학년 학생들 중 총 810명을 편의표본추출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흡연 유무에 따른 특성과 흡연에 대한 태도를 일반화 선형 방법을 이용하여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전에 Y 대학교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810명의 학생들이 조사에 포함되었는데, 이들 중 7.3%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흡연 경험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분석 결과, 흡연 경험이 있는 친구를 가진 학생들, 친구의 담배 권유를 거부가 어려운 학생, 그리고 남학생들이 유의하게 흡연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금연교육은 친구의 담배 권유를 거부할 수 있는 인지 프로그램을 포함한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같은 또래들의 정서에 맞는 맞춤 금연 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하며, 원하지 않는 흡연 경험으로 인한 피해로부터 초등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학교의 금연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대구지역 일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소아 수면문제에 대한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of Children's Sleep Problems in an Elementary School in Daegu)

  • 서완석;구본훈;김민지;노영환;성형모;신지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9권3호
    • /
    • pp.156-161
    • /
    • 200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sleep problems in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 differences in sleep problems elated to their school grade and gender. Methods : One public elementary school in Dae-gu, Korea as randomly selected. And, par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this study were asked to complete a modified version of Tucson Children's Assessment of Sleep Apnea screening questionnaire (TuCASA). Results: The most common sleep problem was 'falling asleep in vehicle (44.2%)' and the prevalence rate of this problem differed by school grade. The prevalence rate of falling asleep while watching TV before 8 P.M. (8.0%), daytime fatigue (21.9%) and nocturnal enuresis during the past 6 months (5.3%) were significantly differed by school grade. The prevalence rate of falling asleep while doing home work, falling sleep during a lesson, snoring and bruxism were 12.6%, 1.0%, 26.7% and 13.2% respectively. Although these rate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between grades, snoring as more in boys and daytime fatigue was more in girl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many elementary school children may have various sleep problems.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ers had sleep problems which related to euro-developmental factors, whereas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ers had sleep problems related to sleep deprivation and stress. Finally, more female schooler showed signs of fatigue or sleepiness than male schoolers.

  • PDF

초등학생의 성에 따른 자아개념과 진로발달 간 차이, 관계 및 영향력 비교 (A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Relationships and Impacts between the Self-Concept and Career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ers by gender)

  • 김지영;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성에 따른 자아개념과 진로발달 간 차이, 관계, 및 영향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생 259명(남학생 133명과 여학생 126명)이다. 본 연구를 위해 활용한 측정도구는 정종진(1996)의 자아개념 검사도구와 안창규 안현의(2006)의 Holland 진로발달 검사도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분석하면: (1) 정서적 자아에서 남학생(M=54.857, SD=7.593)이 여학생(M=52.302, SD=8.908)보다 높았다. (2) (1) 직업적성평견에서 여학생(M=42.200, SD=5.918)이 남학생(M=37.372, SD=7.600)보다 높았다. (2) 자율성에서 남학생(M=36.544, SD=5.544)이 여학생(M=35.008, SD=5.118) 보다 높았다. (3) 자아개념은 남학생(r=.175~.761)과 여학생(r=.199~.667)의 진로발달과 정적상관관계를 가졌다. (4) (1) 학업적 자아는 남학생(5.6%~56.3%)과 여학생(8.4%~48.7%)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2) 사회적 자아는 남학생(2.6%~5.9%)과 여학생(2.7%~4.3%)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3) 정서적 자아는 남학생(1.9%~37.0%)과 여학생의(11.2%)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4) 신체적 자아는 남 여학생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이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와 놀이성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Elementary Schoolers' Physical Education Class Attitudes and Playfulness on School Happiness)

  • 강형길;조진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79-59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와 놀이성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I 광역시의 5개 초등학교 300명의 초등학생에게 설문지가 배포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 자료를 제외한 278부의 설문지가 자료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상관관계분석결과, 모든 연구변인들은 상호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놀이성의 하위요인인 감정표현성은 학교행복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놀이성의 신체적 활기요인은 학교행복감의 자기존중감, 낙천주의, 그리고 전반적 학교행복감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놀이성의 정신적 자발성 요인은 교사관계 전반적 학교행복감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수업태도는 학교행복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준화회귀계수 분석결과, 체육수업태도가 놀이성에 비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태도 및 놀이성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핀 최초의 국내연구로서 의미가 있으며, 국내 초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학교 체험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친환경적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chool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on Changing the Elementary Students' Pro-Environmental Behavior)

  • 최하얀;김용근;심정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2호
    • /
    • pp.40-5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at verify the difference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according to be present or not of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developing pro-environmental and show basic material to prepare efficient operation plans of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is based on factor which effect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s. Elementary schools were divided through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an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than I was checked up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students, who joined in different environmental educations each other. It was analysis by dividing into an environmental education of school, an educator (teacher, environmental-interpreter), and fiel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school inside and outside) to know types of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In result, elementary schoolers who experienced an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at school class, had higher an environment-friendly behavior and elementary schoolers, who experienced an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at class from environmental-interpreter, had higher an environment-friendly behavior by and large.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the area based on their residential quarter and an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realistic plans to connect with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developing pro-environmental carrying out the most positive effect.

  • PDF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areer Counseling Program Using Vocational Cards On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강영자;조붕환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2호
    • /
    • pp.181-19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진로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직업카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진로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직업카드를 개발하는 과정은 직업의 심리적 특성과 변화하는 직업세계, 사용 대상자인 초등학생을 고려하여 직업선정의 기준을 세우고 초등학생에게 적당한 직업카드 개수를 결정한 뒤, 미래의 유망 직업과 교과서를 분석하고 초등학생들의 희망 직업을 고려하여 Holland 유형별로 대표적인 직업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사용대상자인 초등학생을 고려하여 직업카드의 기입내용과 규격을 결정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용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적 연구의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직업카드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에게 재미있었고 직업세계와 자신을 이해하는데 유익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자가 개발한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용 직업카드는 초등학생의 진로 발달단계에 적합하게 만들어 졌으며,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직업카드가 직업흥미 평가 도구만이 아니라 초등학생의 진로상담 도구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집단상담 형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초등학생의 등교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체벌, 학교체벌, 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home punishment, school punishment, stress, school refusal of elementary schoolers)

  • 김은주;홍은주
    • 아동복지연구
    • /
    • 제16권2호
    • /
    • pp.25-4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fluences of home punishment, school punishment, stress on school refusal of elementary schoolers. For this, the data using the maternal 'Korean Survey on the Rights of Youth and Children in 2013'. Data for the analysis was limited to the analysis objects who made sincere replies on the major variables, and 2,894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objec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stress had a direct impact on school refusal, and home punishment, school punishment has a direct impact on stress. In particular, home punishment was having a higher impact on stress than school punishment. Also home punishment and school punishment stress-mediated have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refusal.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truancy and school refusal should be addressed to educational, social, legal issues by family, school, community. Therefore, it suggests the need for close cooperation of home and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