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ite player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8초

엘리트 선수의 도핑 사고성향 분석을 위한 한국형 PEAS의 타당도 검증: Rasch 모형 적용 (Study on the validity of PEAS for analyzing doping attitude and disposition of Korean elite player through Rasch model)

  • 김태규;김세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3호
    • /
    • pp.567-578
    • /
    • 2014
  • 이 연구는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엘리트 선수의 도핑 사고성향 분석을 위한 PEAS의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PEAS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는 Petroczi (2006)이 제시한 선수들의 도핑 (doping)에 대한 사고방식과 성향을 측정하는 척도로 17문항 6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국가대표 엘리트 선수 438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고,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우선 Rasch 모형의 기본가정인 일차원성을 검증하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항의 적합도 검증과 측정척도 범주의 타당도, 그리고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을 추출하기 위해 Winstep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에 모든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자료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17문항으로 구성된 PEAS는 일차원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범주 수의 타당도는 6점척도보다 5점척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항의 적합도는 17문항 중 7문항 (문항1, 문항9, 문항10, 문항12, 문항13, 문항14, 문항17)이 통계적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 분석 결과 3문항 (문항3, 문항12, 문항13)이 추출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우리나라 엘리트 선수의 도핑 사고성향분석을 위한 PEAS는 9문항 5점척도가 타당한 것으로 구명되었다.

축구 선수에서 발생한 족관절 전방 충돌 증후군의 개방적 수술의 치료 결과 (Open Treatment of Anterior Impingement Syndrome of the Ankle in Elite Level Soccer Players)

  • 이경태;양기원;김재영;김응수;차승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6-80
    • /
    • 2004
  • Purpose: We assessed the results of open treatment of anterior impingement syndrome of the ankle in elite level soccer players and concomitant injuries were idenfied.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wenty one elite level soccer players diagnosed with anterior impingement syndrome who underwent open debridement between January 1997 and January 2002. All were men and the mean age at the operation was 21 years (range 16 to 27).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31 months (13 to 71). Concomitant abnormalities were idenfied through physical examination, bone scan and MRI. On a preoperative lateral radiograph, pati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cDermott's stage. Anteromedial or anterolateral approach was used at the operation and osteophyte was removed with osteotome and rongeur. When chronic ankle instability was accompanying, we performed Modified Brostrom-Gould procedure and for osteochondral lesion, multiple drilling was applied. The Ogilvie-Harris scoring system was used as a clinical scale to evaluate pain, swelling, stiffness and limitation of activity. The results were scored as excellent (15 to 16 points), good (13 to 14) and otherwise unsatisfactory. The time to return to full activity including sports activity was determined. Results: Eighteen of twenty one patients had an excellent outcome. Three patients were graded unsatisfactory and two of them abandoned their career due to the persistence of residual pain. Concomitant abnormalities were found including twelve cases of chronic ankle instability, three cases of osteochondral lesion and two cases of flexor hallucis longus tendinitis. Conclusion: Open debridement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elite level soccer player with anterior impingement syndrome of the ankle. Considerable coexistence of other abnormalities such as chronic ankle instability may encourage us to consider additional operative procedure.

  • PDF

한국 프로축구 선수들의 영양보충제 섭취 실태 (The Use of Nutritional Supplements in Korean Elite Soccer Players)

  • 이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3호
    • /
    • pp.299-306
    • /
    • 2006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use of nutritional supplements (NS) in Korean elite soccer players using an anonymous questionnaire. NS were classified into health supplements, manufactured health food supplements, chinese medicines & tonic foods, and nutrient supplements. Information was sought on the type of NS and factors that might influence supplement use including selected demographic parameters and health related variab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41 athletes (aged $24.6{\pm}3.8$ years) in 9 professional soccer club. The prevalence of NS use among the subjects was 81.3%. Health supplements were used most frequently and nutrient supplement drug was the second one. Among the health supplements, weight/muscle gainer and calorie replacement product were most frequently used. Vitamin supplements were most frequently used among all nutrient supplement drugs. Users of NS were higher age (p<0.05) duration of exercise (p<0.05), and income (p<0.05) than non-users. The married (p<0.05) and a member of K-league (p<0.01) tended to have higher prevalence of NS use. The main adviser of NS were family (55.3%) and oneself (39%) instead of coach or sports nutritionist. Although NS use, only 26.2% certainly check up nutritional information on their used NS. Among the subjects, 84.5% of them felt that NS use were improved athletic performance, and 86.5% of them will to keep on taking supplement. These data suggest that a large number of elite soccer players use NS and these players may require education about healthy nutritional supplement practice and on the proper use of nutritional supplements.

고등부 씨름선수의 체급별 기초·전문체력 비교분석 (A Comparison of Physical Fitness of High School Ssirum Elite-players According to Their Weight Class)

  • 정주하;김성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62-169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부 씨름 선수들을 대상으로 체급별 기초·전문체력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측정기간은 2019년 11월 25일-12월4일이며, 총 28명의 고등부 씨름 선수(80kg이하 7명, 90kg이하 8명, 90kg이하 7명, 100kg이상 6명)를 대상으로 체급별 기초·전문 체력요인(근력, 근파워, 민첩성, 무산소성파워, 유산소능력, 유연성, 등속성근기능)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을 활용하여 one-way ANOVA와 Dunca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악력과 팔굽혀펴기, 서전트점프, 제자리멀리뛰기, 체후굴, 체전굴, 사이드스텝, 반응시간에서 체급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배근력에서 100kg 이하인 그룹이 100kg 이상인 장사급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윗몸일으키기와 20m 셔틀런에서 장사급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무산소성 최고파워와 평균파워의 상대적인 값은 100kg 이하인 그룹이 100kg 이상인 장사급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등속성근기능의 경우 허리 신전/굴곡력과 무릎 관절의 우측 신전근력, 그리고 좌우측 굴곡근력에서 체급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얻은 결론은 고등부 씨름 선수의 경우 근파워, 유연성, 민첩성 그리고, 체중당 무산소성 평균파워와 등속성 허리근력, 무릎굴근력에서 체급에 따른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ffect of Trainer's Communication Style on Rehabilitation Ability and Rehabilitation Satisfaction of Elite Athletes

  • Seung-Jea,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1호
    • /
    • pp.281-289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jectively explore and discuss the effect of trainer's communication style on rehabilitation ability and rehabilitation satisfaction of elite athletes. we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habilitation trainers and injured athletes and found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study, we criticized that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rehabilitation were conduc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natural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d that rehabilitation-related research should broadly accept social science positions such as business administration.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er's communication style and rehabilitation ability, first, the trainer's cooperative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style affects emotional factors of injured players. Second, the trainer's cooperative and controlled communication style affects the cognitive factors of injured players. Third, the trainer's cooperative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style affects the behavioral factors of injured players. Fourth, the trainer's cooperative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style affects the rehabilitation satisfaction of injured playe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necessity of discussing the trainer's communication styl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such as the injured player's gender, personality, and injury level, and the classification and composition of communication styles that match Korean culture and sentiment. A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ctive sharing of problems with adjacent disciplines such as sports sociology, sports education, and sports marketing, and parallel qualitative research centered on individual cases were suggested

엘리트 골프선수들의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미치는 요인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s and Dispositions of Doping in Elite Golf Players)

  • 김태규;차정훈;차광석;김기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527-536
    • /
    • 2016
  • 본 연구는 골프 종목의 엘리트 선수들을 대상으로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136명 (남 75명, 여 61명)의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면담 및 설문을 통해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과 완벽주의성향, 지각된 동기 분위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성 골프선수들은 코치의 차별대우가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경쟁의식은 부적인 영향을 주고, 여성 골프선수들은 코치의 비난이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핑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골프 종목의 엘리트 선수들에게 효율적인 반도핑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로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고등부 남자 포환던지기 선수의 시기 별 글라이드 유형과 딜리버리 국면의 운동학적 분석 - 고등부 이형근 선수를 중심으로 - (The Kinematic Analysis of Gliding Type and Delivery Phase in Each Trails during Shot-Putting - Focusing on Lee, Hyung-Keun, Player in Men's High School Youth Group -)

  • 김태삼;류지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9-17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kinematic variables of the gliding and delivery motion of Hyung-Keun Lee, a high school shot putter who was ranked 1st at the 2011 National Sports Festivals.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using a system of 4 video cameras at a sampling frequency of 60 Hz was conducted during shot-putting events at the 2011 National Sports Festivals. During the gliding and delivery phase of the player the results showed following characteristics; 1) The gliding technique types of the player appeared to be the short-long technique as the gliding and stance length ratio were $42.3{\pm}3.87$ % and $57.7{\pm}3.87$ %,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rajectory of shots during the gliding and delivery phase showed different trajectory patterns with "S-shaped" type of elite players due to the deviation from a central axis of the APSS (athletic-plus shot system). 2) The horizontal velocity of COG made from gliding should maintain the velocity during transition and release phase, but the player showed a small momentum for a gradual decrease of velocity. 3) Therefore, the player requires to adjust an appropriate ratio between gliding and stance length with a strong muscle power at the trunk, throwing arm, and the lower extremity during gliding and delivery phase.

여자 배구와 탁구선수의 등속성 운동에 따른 무릎근력 비교 (Comparison of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of Knee according to Female Volleyball and Table Tennis Players)

  • 박시은;김용연;박신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53-15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배구선수와 탁구 선수 사이에 무릎 관절의 등속성 근력 수준을 비교하는 것이다. 총 27명의 엘리트 배구 선수와 27명의 탁구 선수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등속성 근력 측정을 통해 여자 배구선수 및 탁구 선수 무릎 굽힘근 근력과 폄근 근력의 양을 측정하였다. 최대 토크는 $60^{\circ}/s$에서 3회 최대 수의적 굽힘과 폄 수축을 수행하여 측정하였다. 여자 배구 선수는 여자 탁구선수 보다 무릎 폄과 굽힘근 근력이 높았다. 탁구 선수들은 왼쪽과 오른쪽 무릎 근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배구 선수들은 양쪽 무릎 근력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신장과 체중은 무릎 근력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여자 배구 선수는 탁구 선수보다 무릎 근력이 더욱 높은 수준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배구 선수가 비대칭적 무릎 근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등속성 근력강도에 대한 연구가 다른 스포츠 선수와 비교하여 확인될 것을 기대한다.

두 종류 공기주입식 카약 보트의 성능 비교 및 선수 수행력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 Inflatable Kayak's Effect on Players and Kayak Performances)

  • 이종훈;박용현;남기정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3권2호
    • /
    • pp.531-540
    • /
    • 2014
  • 본 연구는 두 종류의 공기주입식 카약 보트의 성능 비교와 함께 선수들의 카약 전방 스트로크 동작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카약 보트를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한 체육회 소속 K 고등학교 엘리트 남자 선수 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K고 실내 수영장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보트의 성능 평가를 위해 보트 속도, 보트 좌우 흔들림 각도 차이, 보트의 회전 평균 각속도를 산출하였으며 선수의 수행력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몸통의 회전 가동범위, 무릎 관절의 굴곡-신전 가동범위, 몸통의 최대 회전 각속도, 무릎관절의 최대 신전 각속도, 상하지 근육의 활성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선수들의 수행력 평가 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를 보이지 않았다. 보트의 성능 평가 변인에서는 보트의 속도에서 B보트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빨랐으며 다른 변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국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B보트는 A보트와 비교했을 때 비슷한 안전성을 갖고 있으면서 보다 효율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