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y Message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7초

An Emergency Alert Message Broadcasting System using Null-Packet on Digital TV Broadcasting

  • Kim, Yoo-Won;Park, Seung-Bo;Hong, Myung-Duk;Jo, Geun-Sik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767-1777
    • /
    • 2010
  • In digital TV broadcasting, such as terrestrial, cable, satellite, and IPTV, the head-end of digital TV broadcasting has a more complicated transmission structure than that of analog TV broadcasting. Furthermore, digital TV broadcasting has a feature that supports multiplex models, such as Multiple Program Transport Stream (MPTS). Therefore, the purpose of our work was to design and examine a more efficient new system of emergency alert message transmission to support the digital TV broadcasting environments. Digital TV broadcasting is the IP generation or RF transmission of 8-VSB, QAM, and QPSK modulated through a multiplexer or re-multiplexer multiplexed stream as a MPEG-2 Transport Stream after content encoding. The new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transmits an emergency alert message without scrambling after replacing the PID and payload of the -packet with the message prototype in the TS stream from the multiplexer. If we need to transmit an emergency alert message under digital TV broadcasting services, then the receiver first checks the PID of each packet in the TS stream for the emergency alert message. Next, if a packet is determined to be an emergency alert message, then the set-top box displays the message on the TV screen using its function of On Screen Display, or the PC based software displays the message on the monitor screen using its function of overlay with user interface if the packet is found to be an emergency alert message. We have designed an emergency alert message protocol and a system model. By experiments and analysis of the system, we concluded that the system achieved efficiency and the ability to send and receive emergency alert messages using the system under different digital TV broadcasting service environments.

A Location Based Emergency Alert Service

  • Han E. Y.;Choi H. 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327-330
    • /
    • 2004
  • This research work is concerned with a location-based alert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The alert service automatically transfers alert message to subscriber in the disaster area. This research work deals with automatic alert services that automatically provide people in emergency area with the state of emergency. The alert service uses the mobile device to inform its urgency to the subscribers in its area. The location tracking service will give the list of people in emergency area. The all processes of this research work are followed as. First, when a disaster or a calamity comes in, an emergency management center receives the emergency to analyze its shape and size and to declare the place to 'the disaster area.' Secondly, then the center finds information of mobile device subscribers in the disaster area. Finally, the center automatically generates a shape of text or audio of alert message of the emergency to send the message to the subscribers in the disaster area. Our mobile automatic alert service proposed above is so efficient that the subscribers in disasters area may meet the emergency more efficiently and may save their own valuable lives and properties more safely.

  • PDF

고속도로상의 차량간 통신에서 에러에 강한 긴급메시지 전달 기법 (A Robust Scheme for Emergency Message Delivery in Vehicle Communications on Freeway)

  • 박정서;박태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2A호
    • /
    • pp.1113-1121
    • /
    • 2010
  • VSC(Vehicle Safety Communications)는 차량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VANET 응용 중 하나이며, 차량간 통신을 통해 안전과 관련된 메시지들을 주고받는다. 이를 위하여, VSC에서는 여러 종류의 Selective Flooding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Selective Flooding 기법은 긴급메시지를 수신한 차량들 중에서 한 차량만이 릴레이 노드로 선정되는 기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법들은 전송에러 및 동일 긴급 상황에 대한 메시지 중복 생성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만일 하나의 차량이 전송 에러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위험요소를 발견한 경우, 기존의 기법에서는 응급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차량들이 존재할 수 있다. 만일 k개의 차량이 위험요소를 발견한다면, k개의 긴급메시지가 중복 생성되고 후방으로 전파되어 메시지 전달의 신뢰성을 증가할 수 있으나 효율성이 감소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송 에러에 강하며 효율적인 긴급메시지 전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기법은 클러스터링을 활용하여 메시지 통합 및 클러스터 내 재전송을 수행하며, 신뢰성 있는 클러스터간 통신을 위하여 Acknowledgment 기법을 사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기법이 Selective Flooding 기법인 Least Common Neighbor Flooding 보다 나은 성능을 보인다.

차량 망에서 긴급 메시지 전파를 위한 LV-CAST 알고리즘 (An LV-CAST algorithm for emergency message dissemination in vehicular networks)

  • 배인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1297-1307
    • /
    • 2013
  • 차량 망을 위해 개발된 다수의 멀티-홉 응용들은 근접한 이웃 차량들을 발견하거나 어떤 지리적 지역 내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들에게 유용한 트래픽 정보를 전파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송을 사용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방송 메커니즘은 지나치게 많은 패킷 방송에 기인하여 링크 계층에서 높은 수준의 경쟁과 충돌이 발생하는 방송 폭풍 문제를 유발시킬 수도 있다. 방송 폭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안전 관련 긴급 메시지를 전파하는 RPB-MACn 기반 차량 방송 알고리즘인 LV-CAST (the Last Vehicle-based broad CAST)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LV-CAST에서는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차량으로부터 그 긴급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의 바로 뒤따라오는 노드까지 1홉 연장거리를 계산하여 전송범위 내의 마지막 노드를 식별하고, 그 마지막 차량만이 긴급 메시지를 재방송하도록 한다. 제안하는 LV-CAST의 성능을 모의실험으로 평가하고 다른 메시지 전파 알고리즘들과 비교한다.

VANET에서의 효율적인 긴급 메시지 전송 기법 (An Effective Emergency Message Delivery Mechanism for VANET)

  • 황정희;최종원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86-94
    • /
    • 2012
  • VANET(Vechicular Ad Hoc Network)은 MANET(Mobile Ad Hoc Network)의 일종으로 인프라 없이 차량간 통신을 주목적으로 한다. VANET은 도로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안전 운전 경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운전자는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다. VANET에서의 긴급 메시지 전송은 일반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일정한 범위에 있는 차량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일정 범위에 있는 차량들에게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면 메시지 간의 충돌이 발생하여 전송 지연이 증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메시지 간의 충돌을 줄이기 위해 테이블 기반 방식을 이용한 브로드캐스트 방법을 제안한다. 메시지 성공률을 기반으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될 경우 기존 방법에서의 메시지 충돌로 인한 재전송을 줄여 메시지 수신 지연 시간이 줄어든다.

An Architecture and Protocol for Mobile Emergency Service

  • Jang Jeong-Ah;Choi Hae-Ock;Choi Wan-si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608-611
    • /
    • 2005
  • The existing wired emergency call such as 119, 112 have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to serving immediate rescue service. For the case of wireless emergency call by mobile phone, the location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by wireless network. This paper describes the network architecture and protocol for mobile emergency service referring TIAlEWJ-SID-036-A with reviews about technical issues, legacy factors and related researches. The mobile emergency service is divided into mobile emergency rescue service and mobile emergency alert service. The network reference model for mobile emergency rescue service is released in KOREA. In this paper, the interfaces between elements of the network reference model, and service scenarios, message flows are defined. Supplement to mobile emergency rescue service, the network reference model, interfaces and message flows for mobile emergency alert service are developed. The protocol is described by DID, and the proposed works are on processing for domestic standard of TTA.

  • PDF

병원 전단계 모바일 응급의료 서비스를 위한 XML 기반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 (XML-based Message Transmission Protocol for Mobile Emergency Medical Service in the Pre-Hospital Phase)

  • 김흥식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4권3호
    • /
    • pp.24-30
    • /
    • 2015
  • 갑자기 마주친 응급상황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당황하게 되고, 신고 시 정확한 메시지 전달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최근 일상화된 스마트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개인의 응급상황을 정확하고 구조화된 형태로 전송하여 최적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주위의 여타 응급상황에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응급 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이고 구조화된 응급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빠르고 정확한 XML-기반 메시지 전송 기술에 대한 표준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효율적이고도 신속하고, 정확한 처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차량 네트워크를 위한 긴급메시지 브로드캐스트 기법 (An Emergency Message Broadcast Scheme for Vehicular Networks)

  • 박정화;강문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72-37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차량 네트워크를 위한 긴급메시지 브로드캐스트 방안으로 긴급이벤트가 발생되는 즉시 긴급메시지를 최대한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파하기 위하여 필요한 브로드캐스트 기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차량간 그룹을 형성하여 일정거리에 위치한 모든 차량들에게 긴급메시지를 전달하는 브로드캐스트 형태의 프로토콜로써 차량 안전관련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이 사실을 일정거리 안에 있는 후위 차량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긴급메시지 전달 방법이다. 이는 차량간 그룹을 이용하여 긴급 메시지를 후위로 전파하는 방식으로써 형성된 그룹 안에서 선정된 대표차량에 의해서만 재전송을 수행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송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긴급메시지의 충돌 가능성 또한 낮출 수 있게 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한 방식을 이용하여 긴급메시지를 전파했을 경우 기존의 차량간 프로토콜에 비해 비교적 훨씬 적은 양의 패킷으로 빠른 시간 안에 효과적으로 긴급메시지를 전파할 수 있었다.

지상파 DMB 자동 재난경보방송 표준을 위한 재난 메시지 및 메시지 분할 방법 설계 (Design of Alert Message and Message Segmentation For T-DMB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Standard)

  • 최성종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04-312
    • /
    • 2010
  • 본 논문은 T-DMB 자동재난경보방송표준을 위한 재난 메시지 및 재난 메시지 분할 방법 설계에 대하여 기술한다. 재난 메시지는 T-DMB 수신기에 전달되는 메시지로서 재난경보를 위한 핵심적인 내용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내용 중 정형화가 가능한 내용은 코드화된 필드로 표현하고 비정형 내용은 단문으로 표현한다. 논문에서는 각 필드 설계를 위한 분석과 각 필드의 의미와 문법에 대해 기술한다. 다음으로 재난 메시지의 분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 정의한 재난 메시지의 크기는 대부분 FIG 최대 크기를 넘어 분할 계층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 지상파 DMB 송수신 정합 표준은 FIDC에서의 메시지 분할 방법을 정의하고 있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FIG type 0 메시지 분할 방법과 패킷모드 분할 전송 방법에 비해 잡음이 많은 환경에서도 유연하고 신속한 수신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앞으로 시범 서비스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개선해야 할 보완점을 파악하였다.

차량안전통신을 위한 줄기와 가지 구조를 이용한 긴급 메시지 전파 방법 (An Emergency Message Propagation Method with Stem and Branch Structure for Vehicle Safety Communication)

  • 유석대;조기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2A호
    • /
    • pp.203-212
    • /
    • 2007
  • 같은 도로를 달리고 있는 차량들 사이에서 긴급메시지를 이용하여 긴급정지, 사고, 방해물, 차량 고장 등의 위험 관련 정보를 교환하는 고도화된 차량안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차량의 고속 이동성으로 말미암아 네트워크위상 변화가 심하고, 미리 설정된 연계성이 없는 상태에서 전달되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팅의 형태로 긴급메시지를 전파하고 있다. 하지만, 다중 홉의 영역과 무선 충돌 문제로 말미암아 효율성에 많은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차량안전통신을 위한 메시지 전달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줄기와 가지 구조를 이용하는 선별적 재송신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같은 도로를 이동 중인 후방의 차량들에게 네트워크 플러딩과 유사한 방법으로 메시지를 전파하나 적절한 위치의 노드에게 높은 우선순위 부여하는 선택적인 전달 방법으로 메시지 전달의 효율성을 극대화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과 유사연구를 비교하여 성능을 분석,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