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Releas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영화의 개봉전·후 온라인 WOM분석을 통한 영화 흥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vie Hit through Online WOM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Release of Korean Movies)

  • 김상목;주용호;조옥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57-267
    • /
    • 2021
  • 본 연구는 영화 시장 수준에서 개봉 전 시장의 기대 수준을 높이는데 지나치게 몰두하는 사전 마케팅이 갖는 위험성을 경고하고, 시장의 기대 불일치 수준이 낮을수록 이상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핵심 개념은 개봉 전 기대수준과 개봉 후 만족은 각각의 영화 평점으로 측정하였고, 이의 차이를 기대불일치로 산정하였다. 흥행 성적은 영화의 매출액으로 측정하였다. 영화에 대한 온라인 구전을 개봉전과 개봉후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구전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개봉 전 기대 수준을 높이는 데에는 스타 파워와 감독 파워, 전문가평점, 스크린수 중에서 전문가평점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을 나타났다. 개봉 전 기대수준은 개봉후 평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기대불일치 수준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개봉 전 기대수준이 높을수록 기대불일치가 크다는 가설과 기대불일치가 높을수록 흥행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지지되면서 기존의 개인 수준에서의 기대불일치 이론을 시장 수준에서 적용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개봉 전 기대수준을 높이는 마케팅 전략은 기대불일치를 크게 하여 최종적으로 영화 흥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영화와 같이 관여도가 낮거나 감성적인 상품을 대상으로 영화관련 실무자들에게 영화의 개봉전이나 개봉후 초기에 실시하는 마케팅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 영시의 치유적 속성 (The Healing Properties of English Poetry In a Digital Age)

  • 김경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437-444
    • /
    • 2015
  • 디지털 시대에 현대인들은 종종 약함과 고립 그리고 두려움이라는 피할 수 없는 감정에 사로잡혀 우울과 좌절감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때, 시는 이런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치유적 수단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시는 자아 발견의 기회를 주고 치유와 자아 통합이라는 촉매제가 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영시의 어떤 속성들이 치유의 통찰로 나아가게 하는지를 조명해 본다. 시가 다양한 인간의 감정들을 구현해서 카다르시스 즉 정서적 해방을 이끌고 있다는 점을 치유적 기능으로 연결한다. 시의 언어 또한 우리의 영혼과 마음을 치유한다는 점과 다양한 형태로 오는 시의 리듬과 형식 또한 시의 치유적 기능에 있어 중요한 요소들임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시의 이러한 속성들이 시가 궁극적으로 심리적 고통을 극복하게 하고 나아가 개인의 성장에 있어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팩션영화의 사회적 역할 탐색: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수용자 감정반응 분석 (Social Roles of Child Sexual Crime Faction Films: Text Mining Analysis of Audiences' Emotional Reactions)

  • 김호경;권기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62-672
    • /
    • 2017
  • 아동 청소년 대상 성범죄는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지만 실효적인 예방 전략을 수립하기는 역부족이다. 사회문제를 고발하는 영화는 관심을 증폭시키고 조속한 대응방안을 촉구하여 사회변화를 이끌어낸다.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도가니>, <소원>, 그리고 <한공주>를 중심으로 아동 청소년 대상 성범죄 팩션영화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영화 개봉 이전 네이버 블로그 총 2,727개를 분석한 결과 사건을 설명하는 사실적인 단어가 빈번하게 등장하였고, 영화 개봉 이후 리뷰 코멘트 총 3,000개를 분석한 결과 감정적인 단어가 주로 언급되었다. 각 영화별로 긍정 부정형의 감정 범주와 정도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도가니>의 경우 '화나다'와 함께 '억울하다'와 같은 부정적 감정표현이 강한 단어들의 빈도가 높았다. <한공주>도 부정형의 감정단어만이 등장하였지만 '슬프다'는 감정이 가장 많이 등장하고 부정형 강도가 다소 약한 단어들이 뒤를 이었다. <소원>에는 긍정형의 감정표현인 '좋다' 범주가 유일하게 등장하였다. 즉 영화가 개봉되기 이전 수용자는 사건에 대해 객관적인 정보위주로 인식한 반면, 영화를 관람한 이후에는 주관적인 감정과 느낌을 표현하였다. 동일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도가니>는 폭발적인 분노를 일으켰고 사회변화를 이끄는 시민 참여적 움직임을 결성시켰다. 그 결과 성폭력 범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법률안이 처리되어 시행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사회 고발적 팩션영화에 대한 수용자의 상이한 감정반응을 파악하고, 향후 사회변화를 이끄는 팩션영화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감정포현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영화에 대한 다양한 감정표현을 위계적으로 분류하는 작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사용자 감정 예측을 통한 상황인지 추천시스템의 개선 (Improvement of a Context-aware Recommender System through User's Emotional State Prediction)

  • 안현철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4호
    • /
    • pp.203-223
    • /
    • 2014
  • This study proposes a novel context-aware recommender system, which is designed to recommend the items according to the customer's responses to the previously recommended item. In specific, our proposed system predicts the user's emotional state from his or her responses (such as facial expressions and movements) to the previous recommended item, and then it recommends the items that are similar to the previous one when his or her emotional state is estimated as positive. If the customer's emotional state on the previously recommended item is regarded as negative, the system recommends the items that have characteristics opposite to the previous item. Our proposed system consists of two sub modules-(1) emotion prediction module, and (2) responsive recommendation module. Emotion prediction module contains the emotion prediction model that predicts a customer's arousal level-a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e of being awake or reactive to stimuli-using the customer's reaction data including facial expressions and body movements, which can be measured using Microsoft's Kinect Sensor. Responsive recommendation module generates a recommendation list by using the results from the first module-emotion prediction module. If a customer shows a high level of arousal on the previously recommended item, the module recommends the items that are most similar to the previous item. Otherwise, it recommends the items that are most dissimilar to the previous one. In order to validate the performance and usefulness of the proposed recommender system, we conducted empirical validation. In total, 30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e used 100 trailers of Korean movies that had been released from 2009 to 2012 as the items for recommendation. For the experiment, we manually constructed Korean movie trailer DB which contains the fields such as release date, genre, director, writer, and actors. In order to check if the recommendation using customers' responses outperforms the recommendation using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we compared them. The performance of the recommendation was measured using two metrics-satisfaction and arousal level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recommendation using customers' responses (i.e. our proposed system) outperformed the recommendation using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Dopamine-dependent synaptic plasticity in an amygdala inhibitory circuit controls fear memory expression

  • Lee, Joo Han;Kim, Joung-Hun
    • BMB Reports
    • /
    • 제49권1호
    • /
    • pp.1-2
    • /
    • 2016
  • Of the numerous events that occur in daily life, we readily remember salient information, but do not retain most less-salient events for a prolonged period. Although some of the episodes contain putatively emotional aspects, the information with lower saliency is rarely stored in neural circuits via an unknown mechanism. We provided substantial evidence indicating that synaptic plasticity in the dorsal ITC of amygdala allows for selective storage of salient emotional experiences, while it deters less-salient experience from entering long-term memory. After activation of D4R or weak fear conditioning, STDP stimulation induces LTD in the LA-ITC synapses. This form of LTD is dependent upon presynaptic D4R, and is likely to result from enhancement of GABA release. Both optogenetic abrogation of LTD and ablation of D4R at the dorsal ITC in vivo lead to heightened and over-generalized fear responses. Finally, we demonstrated that LTD was impaired at the dorsal ITC of PTSD model mice, which suggests that maladaptation of GABAergic signaling and the resultant LTD impairment contribute to the endophenotypes of PTSD. [BMB Reports 2016; 49(1): 1-2]

철도 역명의 유래를 통하여 본 파사드 이미지 및 감성반응에 관한 연구 -충청권 광역 전철화 노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ade Image and Emotional Response considering Geographical Language of Railway Station - focused on Metropolitan Line of Chungcheong Railway -)

  • 김태영;오성진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63-70
    • /
    • 2018
  • This study is aimed to reflect the current status survey, analysis and response of 10 railway stations using geographical names in one of 19 stations located on Gyeongbu, Honam and Chungbuk line. Most railway stations in the study have shown normal images that are close to the standard type by selecting similar building materials rather than reflecting geographical features. Aside from the shape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in Cheongju, almost all newly constructed stations tend to incorporate light gray plating material on their modern exterior to produce Family look design as a railroad station. According to a survey of the sensitivity of the station's name, Osong Station was 73.6 percent, Gyeryong Station 67.3 percent, Heukseok-ri Station was 64.5 percent, Shintan-jin 62.6 percent, and Yeonsan Station 57 percent, more than half.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five stations were presented as a calculation and proposed design release focusing on the facades of each station. Each of these stations suggested a way to express the facade design image, considering the railway operation status of Korea Railroad, the area of the station and other surroundings.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가족간호자의 부담감에 대한 종적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Burdens of Caregivers in Families with Stroke Patients)

  • 강수진;최스미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09-221
    • /
    • 2000
  • This longitudinal study examines the burdens and related factors for stroke patient's primary family caregivers. Sixty-one patients treated for stroke at a general hospital in Chung-nam province and family member caregiv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July 28, 1998 to August 1, 1999. Family caregivers' burdens were assessed by the burden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Zarit(1980) and Novak & Geust(1989) and modified by Oh's(1993) for use in Korea. The burden scale instrument consists of five subscales.: financial burden, social burden, physical burden, dependency burden, and emotional burden. Repeated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in the data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burden mean score was 3.23 in the hospital, 3.26 after hospital release, and 3.27 in the home environment. In the hospital, a patient's degree of cognition, and social support for family caregivers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ense of burden felt by family caregivers. After hospital release,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ense of burden were the degree to which stroke patients could participate in daily living activities, social support for family caregivers, and changing to a second caregiver. In the home environment,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sense of burden was social support for family caregivers.

  • PDF

한국 중년 남성의 자기이미지와 패션스타일 유형에 따른 취향 분석 (Analysis of Taste of Middle-aged Korean Men Based on Self-image and Fashion style)

  • 김희연;김영인
    • 복식
    • /
    • 제64권8호
    • /
    • pp.37-5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tastes of middle-aged Korean men by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self-image, and fashion sty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Q methodology for survey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images of middle-aged men were classified into 'comfortable, calm, neat, and gentle,' 'realistic, active, sociable, and familiar,' 'sensible, emotional, romantic, and rational,' 'refined, emotional, luxurious, and sophisticated,' and 'aggressive, sensible, realistic, and rational.' Second, by analyzing the congruity of clothing form, fashion accessory, and fashion color types, this study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10 fashion styles: 'modern classic,' 'sophisticated,' 'town casual,' 'traditional casual,' 'comfortable,' 'chic casual,' 'contemporary,' 'gentle classic,' 'classic sporty,' and 'soft classic.'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self-images and fashion styles of the men, and produced the following personal tastes of middle-aged men: 'success-oriented,' 'ability possession,' 'internal stability-oriented,' 'freedom-oriented,' 'self-satisfaction,' 'individuality compromise,' 'emotional release,' 'stability-oriented,' 'practicability-oriented,' and 'youth effort' types. By combining those types with social dimensions, this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tastes of middle-aged men: 'stabilized traditions,' 'achievements with high sociality,' 'youthful individuality,' 'active self-realization,' and 'realistic, logical pursui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eaningful data for developing the marketing strategy, which reflects the middle-aged men's changed tastes.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 가치 인식 연구: 신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sumer Value Perception through Social Big Data Analysis: Focus on Smartphone Brands)

  • 김형중;김진화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3-146
    • /
    • 2017
  • 소비자들이 SNS에 공유하는 정보는 소비자들의 구매나 선택에 대한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에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소비자 가치를 분석한 새로운 연구방법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가치 인식을 계량적으로 분석해 보고자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광고전략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스마트폰 브랜드에 대해 텍스트 마이닝과 긍 부정 이미지 분석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 가치 구조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별 소비자의 가치 인식에 대한 감성적인 측면과 이성적인 측면에서 차별적인 내용을 선별할 수 있었다. 갤럭시 S7과 아이폰 6S의 경우 출시일 이전에는 감성적인 측면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출시일 이후에는 이성적인 측면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LG G5의 경우 출시일 이전이나 이후 모두 감성적인 측면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가치 인식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적인 광고전략 2가지 안을 제안할 수 있다. 갤럭시 S7의 경우 광고전략 개발 시 제품속성에 대한 성능이나 차별화된 기능 등 이성적 측면을 강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LG G5의 경우 광고전략에서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느껴지는 행복감, 설레임, 즐거움, 재미 등의 감성적 측면을 광고전략 개발에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 가치 분석을 통해 실제 광고전략에 좋은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광고전략은 주로 직감이나 경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의 가치 인식 분석으로 광고전략을 개발하는 것은 중요한 시사점을 안겨 줄 것으로 판단한다.

자기효능ㆍ희망증진프로그램이 자기간호 행위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백혈병 환자 중심- (Effects of a Program to Promote Self-Efficacy and Hope on the Self-Care Behaviors and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Leukemia)

  • 오복자;이은옥;태영숙;엄동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627-638
    • /
    • 1997
  • Most patients having leukemia suffer severely from emotional turmoil due to the generalized perception that cancer will be fatal. The conventional chemotherapy results in side effects such as severe bone marrow depression which interfere with self-care management, vital for improvement in their condition. Bandura's theory of the self-efficacy suggests that self- efficacy can be enforced by performance attainments, vicarious experiences, verbal per-suasion and the release of emotional arousal. Self-efficacy can be enforced by a program of vicarious experiences and verbal persuasion, while the emotional arousal can be relieved through a hope promotion program, If once self-efficacy increases, the patient's self-care behaviors and the quality of life will also incr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test the effects of a program, to promote self-efficacy and hope, on self-care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aving leukemia.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approaches to enhance self-efficacy and hope were used : 1) a 20-minute long slide /tape for vacarious experiences : 2) a 10-minute long telephone call coaching for verbal persuasion ; and 3) two booklets for information about the symptoms of leukemia and treatment modalities and hope promotion. Thirty one patients were recrui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9 in the control group with a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patients with leukemia undergoing chemotherapy. Sherer and Maddux's self-efficacy scale, Nowotny's hope scale, and Padilla's quality of life scale were employed with some modifications. A self-care behavior scal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paired t-test, Chi-square, ANCOVA and ANOVA,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levels of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four weeks of intervention(F=28.71, P=.0001 ; F=63.35, P=.0001 F=16.57, P=.0001). After ten weeks of intervention, all of the dependent variables(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 hope & quality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F=74.12, P=.0001 ; F=108.34, P=.0001 ; F=13,11, P=.001 : F=43.52, P=.0001). In conclusion,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creased mainly through an increase in self-efficacy, while increases in hope took more time and effo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