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closed experimental ecosystem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해양생태계 연구를 위한 폐쇄생태계의 활용 (Application of Enclosed Experimental Ecosystem to the Study on Marine Ecosystem)

  • 김웅서
    • 환경생물
    • /
    • 제19권3호
    • /
    • pp.183-194
    • /
    • 2001
  • 폐쇄생태계는 연구자가 다양한 환경 요인을 조사 목적에 맞게 조절하여 생태계의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영양역학적 연구와 같은 기초학문 연구뿐만 아니라 독성실험 및 환경오염에 대한 생태계의 변화 실험 등 응용분야에서도 활용도가 높다. 특히 현장에 해양 폐쇄생태계를 설치하기 때문에 실험실에서의 실험보다 자연에 가까운 조건에서 실험을 할 수 있어, 신뢰성 있는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폐쇄생태계를 활용하여 해양생태계를 연구한 결과는 극히 적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에 국내외에서 제작되어 실험에 사용되었던 폐쇄생태계와 이를 활용한 연구과제를 소개하고, 향후 폐쇄생태계를 활용하여 연구할 수 있는 연구과제를 제안하였다.

  • PDF

개방형 및 폐쇄형 인공해양소형생태계에서 미소생물상 및 수환경의 변화 (Changes in Planktonic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between Open Versus Closed Artificial Marine Microcosms)

  • 정승원;강돈혁
    • 환경생물
    • /
    • 제33권4호
    • /
    • pp.403-411
    • /
    • 2015
  • 본 연구는 외부 해수가 계속적으로 유입되는 개방형 인공생태계와 해수의 유입이 없는 폐쇄형 인공생태계에서 미소생태계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실험실 내에서 100 L 크기의 인공해양소형생태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온은 폐쇄형 및 개방형 인공생태계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염분은 폐쇄형 생태계에서 수체의 증발에 따라 증가를 보였고 용존산소 및 용존무기질소 농도는 폐쇄형에서 감소하는 반면, 개방형에서는 초기농도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용존무기인 및 용존규소는 두 시스템에서 차이가 없었다. 식물플랑크톤은 폐쇄형에서 감소를 하였던 반면, 개방형에서는 증가 양상을 보였으나 Autotrophic nanoflagellates는 식물플랑크톤 개체수의 변동과 반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타가영양세균은 폐쇄형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이와 함께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및 섬모충이 시간차를 두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개방형 인공생태계에서는 특이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폐쇄형 인공생태계와 개방형 인공생태계에서 미소생물상 및 환경요인들의 변화의 연구는 향후 연구자들이 인공생태계 연구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신뢰성 있는 인공생태계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