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ship Will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1초

시니어세대의 사회적자본과 지적자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Affects of Social Capital and Intellectual Capital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enior Generation)

  • 길대호;정화영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0권2호
    • /
    • pp.79-9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 entrepreneurship of the senior generation on the will to start a business at a time when the senior generation cannot lead to technology start-ups or reemployment even after retirement. In addition, in this study, we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will to start a business and use social and intellectual capital to verify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on the will to start a business. This study shows that entrepreneurship is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intellectual capital and no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will to start a busines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to the will to start a business was significant and the intellectual capital was not significant in the will to start a business. Even if entrepreneurship is embedded, it means that experience and network of social and intellectual capital are essential to the will to start a business, rather than to start one right away.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Successful Entrepreneurship

  • Jun-Young Lee;Sung-Ho Bang;Ki-Hwan Ry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276-280
    • /
    • 2024
  • Recently, many policies and fairs have been made in relation to start-ups. In addition, various start-up education for prospective start-ups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ways. Therefore, these days, the number of prospective start-ups who receive such information and start-up education is increasing. Nevertheless, more and more start-ups are still unsuccessful and close their businesses within months or years. In particular, start-ups who continue to maintain their start-ups also see the unfortunate reality of start-ups that find other jobs in various support systems and related policies and relationships that they cannot quit even if they want to. In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factors for satisfaction wi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will be set and a questionnaire will be conducted for prospective entrepreneurs who have completed education at a startup education center in Seoul. The survey results are intended to verify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will be used for analysis, and a total of 2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ill be distributed and collecte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better the successful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I think that further developing various policies or detailed curriculum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will be of great help to prospective entrepreneurs tak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창업 교육이 여대생의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art-up education on female college students' startup intention)

  • 이성주;채병완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1호
    • /
    • pp.47-66
    • /
    • 2020
  • 그동안 창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지만 주로 일반적 관점에서 조명 되어져 왔다는 점에서 여성에게까지 적용하기에는 일부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대생의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창업교육 경험과 창업교육효과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 경력지향성과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여대생의 창업교육 경험보다는 창업실무지식 능력인 창업교육효과가 보다 창업의지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검증하였다. 따라서 대학에서 진행하는 창업교육에서 이론적 측면 보다는 창업실무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참여적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 것이 여대생의 창업의지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개인의 심리행동 특성인 경력지향성과 기업가정신은 창업의지를 높이고 실제 창업으로 연결되는 결과를 가진다고 한다. 따라서 대학의 창업교육 진행시에 수강학생들의 경력지향성과 기업가정신에 대한 진단을 실시하여 수강생들이 자신의 창업역량을 스스로 이해하고 적극적인 창업활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정부와 대학의 창업지원프로그램에서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보다 확대하게 된다면 여성의 창업이 더욱 활발해 질 것이다.

창업에 대한 사회적인식과 창업교육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 정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Awareness of Startup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Entrepreneurship)

  • 배지은;김수진;이필수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8권4호
    • /
    • pp.43-54
    • /
    • 2017
  • Purpose - Recently,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has been emphasized in order to achieve innovation-led economic growth through entrepreneurship. Various form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ve been established centering on universities, and the scale of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of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has been increasing. Entrepreneurial education can enhance entrepreneurship and promot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xperience of entrepreneuship education and social awareness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entrepreneurship, focusing on women who were relatively alienated from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is study will provide suggestions for women's entrepreneurship in the futu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Recently,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has been emphasized in order to achieve innovation-led economic growth through entrepreneurship. Various form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ve been established centering on universities, and the scale of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of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has been increasing. Entrepreneurial education can enhance entrepreneurship and promot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xperience of entrepreneuship education and social awareness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entrepreneurship, focusing on women who were relatively alienated from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is study will provide suggestions for women's entrepreneurship in the future. Result - Recently,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has been emphasized in order to achieve innovation-led economic growth through entrepreneurship. Various form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ve been established centering on universities, and the scale of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of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has been increasing. Entrepreneurial education can enhance entrepreneurship and promot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xperience of entrepreneuship education and social awareness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entrepreneurship, focusing on women who were relatively alienated from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is study will provide suggestions for women's entrepreneurship in the future. Conclusions - Although women's economic activity is increasing, women's activities in the field of business start-up are still pass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ship education and the social perception of entrepreneurship. As a result, we found that social awarenes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all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entrepreneurship. Positive social atmosphere for entrepreneurship induces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forms a virtuous cycle structure that fosters entrepreneurship through entrepreneuship education.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diverse programs that encourage entrepreneurship should enhance the attractiveness of promising talent to enter the entrepreneurial market.

대학생 성격유형(MBTI) 및 직업 유형에 따른 창업의지와의 관계 (The research on the Entrepreneurship's will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s MBTI personality type and Job's type)

  • 김혜선
    • 벤처창업연구
    • /
    • 제5권2호
    • /
    • pp.89-11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성격 유형 및 직업 희망 유형에 따른 창업의지와의 관계를 연구 하고자 하였다. 창업의 정의와 유형, 창업의지에 관한 이론적 고찰, MBTI 성격유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성격유형과 창업의지와의 관계 규명을 위한 모형설계를 통해 신뢰성 검증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성격유형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유형 중 외향-내향 성격유형이 창업에 대한 관심도에는 (+)의 영향을 미치고, 창업 성공을 위한 생활태도에는 (+)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향적인 성격유형을 가진 학생이 내향적인 성격유형을 가진 학생에 비해 창업에 대한 의지 즉, 창업에 대한 관심도 측면에 (+)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Effect of Self-Leadership by College Student on Recognition of Opportunity on Establishment of Company and Will of Establishing Company: Centered on Mediated Effect of Entrepreneurship)

  • 강재학;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4호
    • /
    • pp.1-12
    • /
    • 2015
  • 본 연구는 창업 C.E.O.에게 반드시 필요한 리더십 역량 가운데에서도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셀프리더십이 기업가정신의 매개 효과를 통해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정부주도의 창업장려분위기에 따라 대학 교과과정에서도 창업에 대한 다양한 교육 및 행사와 함께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이 활발히 행하여지고 있고, 학계에서도 기업가정신과 창업기회인식 혹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 등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셀프리더십과 창업기회인식 및 창업의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시피 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소재 4개 대학교의 학생들로부터 받은 설문지 320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셀프리더십이 기업가정신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정신이 창업기회인식 및 창업의지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셀프리더십이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지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셀프리더십과 창업기회인식 그리고 셀프리더십과 창업의지 간에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향후 창업기회인식 및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대학 창업 교육 커리큘럼 설계에 있어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과 아울러, 셀프리더십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 시도가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 PDF

The Effect of the CEO's Entrepreneurship on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Restaurant Industry

  • Jun-Young Lee;Sung-Ho Bang;Ki-Hwan Ry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168-17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entrepreneurship and to find out the impact of CEOs in the restaurant industry on corporate performance when they hav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 need entrepreneurship to take risks and jump into the market to generate profits. Entrepreneurship is not limited to the abilities or resources held, but it is not limited to the ability or resources held, and entrepreneurship to act means the spirit to take uncertainty and preempt opportunities through innovative activities [1]. In this study, the CEO's entrepreneurship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orporate performance as a dependent variable. By applying and analyzing how the CEO's entrepreneurship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restaurant industry,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in the restaurant industry and the impact relationship on corporate performance are analyzed. To this end, 100 CEOs working in the restaurant industry will be surveyed using the Likert 5-point scale[2]. And an empirical analysis will be conducted through the SPSS program[3]. Entrepreneurship is a spirit that can take risks and seize opportunities through bold challenges to generate profits. Theref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as a key factor for improving corporate performance, and from related studies, the entrepreneurship of the CEO of the restaurant industry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관광산업의 멘토-멘티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통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or-Menti Suitability on the Will to Start a Business through Mediation)

  • 정지율;안태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303-308
    • /
    • 2022
  • 본 연구는 관광창업자들의 창업의지를 향상키기는데 있어 멘토-멘티의 적합성을 선행요인으로 선정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멘티-멘토 적합성이 창업의지를 유발하는 과정에서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예비창업자와 초기창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의지를 향상할 수 있는 방안과 관련하여 멘토-멘티 적합성은 기업가정신을 매개로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 둘째, 멘토-멘티 적합성은 기업가정신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 셋째, 기업가정신은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창업자들은 멘토-멘티 적합성이 강할수록 기업가정신의 수준은 더욱 향상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높은 수준의 기업가 정신은 창업에 대한 의지를 더욱 강하게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업가정신 온라인교육의 효과성 검증: 플립러닝 및 PBL 기반 기업가정신교육 적용 사례 (A Study between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Based on PBL(Problem-Based Learning) and Flipped Learning)

  • 남정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2호
    • /
    • pp.31-4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PBL) 및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기업가정신온라인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기업가정신온라인교육은 크게 개인학습 및 팀(Team)학습 영역으로 구분되며, 1단계(스타트업과 기업가정신) 및 2단계(아이디어 제시 및 상호 평가)에서 시작하여 7단계(사업계획서 작성) 및 9단계(랜딩페이지/프로토타입)를 거쳐서 10단계(데모데이) 및 11단계(지속성장과 네트워킹)로 마무리된다. 개인학습영역과 병행된 팀학습 영역은 3단계(건강한 조직 구성)를 통해 함께할 동료를 찾고, 4단계(디자인씽킹)를 통해 현장중심의 문제해결방법을 실행하며, 6단계(비즈니스모델캔버스) 및 7단계(사업계획서)를 통해 비즈니스모델을 구현하고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며, 9단계(랜딩페이지 및 프로토타입) 및 10단계(데모데이)를 통해 시장에서 제품을 검증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특히 각 단계별로 10개 내외의 동영상 등의 학습 자료를 제시하고, 각 학습내용에 대해 피드백 작성을 의무화시키도록 시스템화 했으며, 오프라인수업에서는 선행 학습한 내용에 대한 토론 및 팀활동 중심으로 진행함으로써 PBL 및 플립러닝 기반의 기업가정신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PBL 및 플립러닝 방식의 기업가정신교육을 적용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교육이후 문제해결능력 및 창업의지, 기업가정신이 더욱 높게 향상되었고, '창업 진행 및 준비 중'이라는 답변이 1.83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PBL 및 플립러닝에 기반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설계할 때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창업 멘토링 기능이 창업의지와 멘토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오퍼스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on Entrepreneurial Will and Mentoring Satisfaction: Focusing on Opus Entrepreneurship Education)

  • 김기홍;이창영 ;조지형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3호
    • /
    • pp.211-226
    • /
    • 2023
  •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접어들면서 그 동안 움츠렸던 경제활동들이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전환의 기회에 따른 기술창업이 증가되는 추세이지만 창업 교육 콘텐츠는 기술적인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창업의 수요 증가로 변화와 발전이 요구되는 창업교육 콘텐츠 중에서 창업 멘토링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창업 멘토링은 예비창업자와 초기창업자들의 창업 성공을 위해 전문 역량을 보유한 멘토가 멘티들의 수준에 맞게 맞춤형으로 성취 동기, 경영 기술,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는 행동으로 이미 대부분의 창업교육 프로그램에 구성요소로 포함되어 있다. 이를 위해 멘토링 기능 중 멘티의 창업지식과 자기 효능감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창업의지와 멘토링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후 교육생의 창업 여부를 예비 창업가와 초기 창업가로 분류,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ICCE 창업스쿨 및 오퍼스 창업스쿨에서 창업 멘토링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해보자면 첫 번째, 창업 멘토링 기능 중 창업지식과 자기 효능감은 창업의지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창업 멘토링 기능 중 창업지식과 자기 효능감은 멘토링 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 창업 여부는 창업지식과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없다고 분석되었다. 네 번째, 창업 여부는 멘토링 만족도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없다고 분석되었다. 다섯 번째, 창업 여부가 자기 효능감과 창업의지 사이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시사점은 첫 번째로 창업교육에서 멘토링기능은 초기 창업가와 예비 창업가 모두에게 창업의지와 만족도에 유의미한 성과를 내는 것으로 분석되어 앞으로도 모든 창업교육에서 멘토링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로 창업 여부와 멘토링기능 및 효과는 대체로 별다른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멘토링을 통한 자기 효능감 향상을 통한 창업의지는 창업 여부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멘토들이 멘토링을 진행할 때 멘티의 창업 여부를 확인하고 맞춤형 멘토링을 하는 것이 더 큰 자기 효능감과 창업의지를 갖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나타났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는 많은 창업교육들은 편의성 등을 이유로 초기 창업가와 예비 창업가를 동시에 교육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를 통해 소규모로 진행되는 창업 멘토링에서라도 멘티의 창업 여부와 같은 세부적인 분류를 통해 맞춤형 멘토링을 진행하는 것이 멘티의 성공적인 창업과 높은 만족도를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