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cape Theory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1초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 게임과몰입 연구 : 도피이론을 중심으로 (Adolescents' Gaming Disorder Study and Parenting Attitude : Based on the Escape Theory)

  • 이대영;정의준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99-208
    • /
    • 2019
  • 도피이론은 자살과 같은 문제행동에 대한 이론으로 부정적인 자신인식을 그 원인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대표적인 청소년 문제로 주목을 받고 있는 게임과몰입의 원인을 도피이론을 통해 추적해 보았다. 자살이론은 부정적 외부환경에 의해 촉발된 문제를 내부귀인과 자기비난으로 흘러가게 하며 이를 혐오적 자기인식으로, 다시 문제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 과정을 청소년의 환경, 심리, 행동에 대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부모의 애정부족과 일관성부재가 부정적 외부환경을 조성하고 이것이 부정적 외부환경을 조성하여 자녀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곧이어 낮은 자존감이 우울이라는 부정적 감정을 유발, 자신의 통제력을 낮추어 게임과몰입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게임과몰입이 도피이론모형을 통해 설명되던 폭식, 쇼핑중독 등 강박행동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나타냈으며, 게임과몰입 연구를 위해서 개인의 환경심리요인에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On the origin of escape fractions of ionizing radiation from star-forming galaxies at high redshift

  • Yoo, Taehwa;Kimm, Taysun;Rosdahl, Joakim
    • 천문학회보
    • /
    • 제44권2호
    • /
    • pp.73.2-73.2
    • /
    • 2019
  • The physical origin of low escape fractions of ionizing radiation derived from Lyman-break galaxies (LBGs) at z ~ 3 - 4 is a puzzle in the theory of reionization. We perform idealized disk galaxy simulations to investigate how galactic properties, such as metallicity and gas mass, affect the escape of Lyman continuum (LyC) photons using radiation-hydrodynamic code RAMSES-RT, with strong stellar feedback. We find that the luminosity-weighted escape fraction from a metal-poor (Z=0.002) galaxy embedded in a halo of mass Mh ~ 1011 M is 〈f3Desc〉 ~ 8%. However, when the gas metallicity is increased to Z=0.02, the escape frac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to 〈f3Desc〉 ~ 1%, as young stars are enshrouded by their birth clouds for a longer period of time. On the other hand, increasing the gas mass by a factor of 5 leads to 〈f3Desc〉 ~ 4%, as LyC photons are only moderately absorbed by the thicker disk. Our experiments seem to suggest that high metallicity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low escape fractions observed from LBGs, supporting the scenario in which the escape fraction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alo mass. Indeed, our simulated galaxy with the typical metallicity of LBGs (Z=0.006) shows the relative escape fraction of 8%, consistent with recent observations of galaxies with M1500 = -20.

  • PDF

'도피이론(Escape Theory)' 모형에 기반한 학교위험요인과 청소년 자살생각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of School Risk Factors and Suicide Ideation in Adolescence, Based on 'Escape Theory' Model)

  • 박재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3호
    • /
    • pp.5-27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위험요인이 어떠한 경로 구조를 통하여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Baumeister(1990)의 '도피이론(Escape Theory)' 모형에 기반하여 확인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8 경상북도청소년위기실태조사' 자료를 활용, 경북지역 중 고등학교 청소년 2,33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위험요인 중 교사와의 관계위기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우울, 회피적 대처를 거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직접효과가 간접효과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여 교사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중요한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반면 학교성적위기와 친구관계위기는 자살생각에 대한 직접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우울, 회피적 대처 등의 변인을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로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에 이러한 경로에서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TikTok 이용동기가 사용자 밀착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ikTok Motivation on Users Stickiness)

  • 왕자선;김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17-22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이용과 만족 이론을 바탕으로, TikTok 이용 동기(오락추구, 정보추구, 상호작용, 자기표현, 도피)의 강도와 각 동기가 사용자의 밀착도(이용 빈도, 이용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중국인 TikTok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101건의 조사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ikTok 이용 동기의 강도는 오락추구, 정보추구, 상호작용, 자기표현, 도피 순서로 나타났으며, 이 중 오락추구와 도피의 동기는 여성의 경우가 남성의 경우보다 더 높았다. 둘째, 사용자 밀착도 중 이용 빈도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오락추구, 상호작용, 도피 등 동기의 영향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의 영향력이 높았다. 셋째, 이용 시간에 대해서는 오락추구, 도피 등 동기의 영향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락추구, 상호작용, 그리고 현실을 도피하고 싶을 때에 TikTok을 자주 이용하게 되고, 오락추구나 현실을 도피를 하고 싶을 때 TikTok 이용 시간도 길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의 신념편향에 대한 도피이론적 접근 (Escape Theory Approach to Consumers' Belief Biases)

  • 한웅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411-421
    • /
    • 2014
  • 본 연구는 우울함이나 부정적 자아인식 등과 같은 부정적 감정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인지적 협소화가 인지적 편향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도피이론적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즉, 부정적 감정의 극복을 위한 도피수단의 하나로 사용되는 인지적 협소화는 행동의 장기적인 결과에 대해 고려하지 못하게 하거나 규제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과장되고 비현실적인 사고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는 여기서 더 나아가 이러한 인지적 협소화가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에서 벗어나는 인지적 오류, 특히 신념편향을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하여 이에 대한 실증적 탐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적 협소화의 수준에 따라 신념편향의 발생수준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고 제시되었다.

도피이론을 통한 청소년 게임 과몰입 영향모델 분석 (A Study of Pathological Gaming Model in Young Adolescents from the Perspective of Escape Theory)

  • 이대영;이승제;정의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12
    • /
    • 2020
  • 도피이론은 부정적 외부환경으로 인한 개인의 자아인식과 조절능력 상실을 과의존/중독으로 연결시키는 경로로 바라본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변수(학업스트레스, 우울), 인지적 변수(자존감, 자기통제)를 사용, 게임 과몰입 영향모델을 설계하고 825명의 설문데이터를 분석,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우울감의 증가, 자존감과 자기통제의 감소를 가져왔으며 낮아진 자기통제는 게임 과몰입을 악화시키고 있었다. 이 결과는 도피이론의 외부환경과 자기조절능력 상실의 부정적 효과를 잘 설명하여 청소년 게임 과몰입에서 학업스트레스와 자기통제의 영향력에 대한 사회/정책적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Wave propagation analysis of smart strain gradient piezo-magneto-elastic nonlocal beams

  • Ebrahimi, Farzad;Barati, Mohammad Reza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6권2호
    • /
    • pp.237-248
    • /
    • 2018
  • This study presents the investigation of wave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a magneto-electro-elastic functionally graded (MEE-FG) nanosize beam utilizing nonlocal strain gradient theory (NSGT). In this theory, a material length scale parameter is propounded to show the influence of strain gradient stress field, and likewise, a nonlocal parameter is nominated to emphasize on the importance of elastic stress field effects. The material properties of heterogeneous nanobeam are supposed to vary smoothly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based on power-law form. Applying Hamilton's principle, the nonlocal governing equations of MEE-FG nanobeam are derived. Furthermore, to derive the wave frequency, phase velocity and escape frequency of MEE-FG nanobeam, an analytical solution is employed. The validation procedure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present model with results exhibited by previous papers. Results are rendered in the framework of an exact parametric study by changing various parameters such as wave number, nonlocal parameter, length scale parameter, gradient index, magnetic potential and electric voltage to show their influence on the wave frequency, phase velocity and escape frequency of MEE-FG nanobeams.

경관의 치유적 특질이 관광지 방문 선호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경주 유산경관에 대한 미국인의 평가를 중심으로 - (Inflnuence of the Restorative Quality of Landscape on the Visiting Preference and Satisfaction for Tourist Destination - An Evaluation of Heritage Landscape of Kyongju by Americans -)

  • 이영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1-13
    • /
    • 2006
  •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ART) developed by Kaplan and Kaplan proposes that effortful directed attention required in normal life can be fatigued. Restoration can occur in a setting that has restorative qualities. The restorative quality described by the ART involves four concepts: being away, fascination extent, and compati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restorative quality of landscape influenced the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to an heritage landscape. Four kinds of heritage landscapes of Kyongju were used as environmental surrogates and 150 americans participated in the study. Hartig et al.'s Revised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RPRS) was used as the psychological measure for the restorative quality, along with other measurement constructs such as cultural uniqueness and novelty. The results showed that RPRS was a reliable measurement tool for assessing the restorative quality of artificial landscapes. Factor analysis identified three valid factors: escape-fascination compatibility, anti-extent. Among the three factors, only two, escape-fascination and compatibility, were found to have important effects on visiting preference and satisfaction.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preference and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escape-fascination and compatibil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torative quality has a high possibility to be used as a frame of reference for assessing various types of landscapes, from natural to artificial. It was also proposed that restorative quality could better explain the experience of the landscape strongly related to specific purpose or mo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