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cheichia coli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열대 산지 유역의 지표 분변성 세균 거동 모의 (Hydrological modeling of Fecal Indicator Bacteria in a tropical mountain catchment)

  • 김민정;조경화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94-94
    • /
    • 2017
  • 지속적인 수질의 모니터링과 관리가 어려운 개발도상국의 경우, 모델링을 통한 병원균의 예측이 중요하다.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은 유역 모델로 병원균의 거동을 모의하는데 널리 활용된다. 하지만 SWAT이 모의하는 in-stream 모듈의 경우, 소멸, 부유, 퇴적의 단계만을 고려하여 정확도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모듈에 hyporheic exchange와 생장 단계를 추가하여 모듈의 성능 개선 및 열대 산지 유역에서의 병원균의 거동을 모의하였다. 본 연구는 몬순 기후 및 산지 지형을 가진 라오스의 Houay Pano 유역을 대상으로 대장균 (Escheichia coli, E.coli)의 거동을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일 단위로 모의하였다. 기존의 SWAT 박테리아 모듈의 경우, 소멸 단계만을 가지고 보정하였을 때 모델은 대부분 0의 값을 가졌고, 부유 및 퇴적 단계가 추가 된 후에는 우기시 대부분의 모델값이 관측값의 95% 신뢰 구간에 포함되었으나 건기에는 농도가 여전히 낮게 모의됨을 확인 할 수 있다. 건기 시 낮게 모의된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온도에 따른 생장 단계를 추가하였으며, 이때 생장 속도는 설정된 최소-최대 생장 온도 사이에서 최대값을 가진다. 하지만 온도에 따른 생장은 열대 기후의 특성상 전 기간에 걸쳐 동시에 증가하여 건기에만 낮게 모의된 농도를 보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Hyporheic exchange는 강바닥에 임시로 저장된 박테리아의 양이 특정 유량에 의해서 수계로 유입되는 현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양의 hyporheic flow를 가정하여 모의하였다. 결과적으로 Hyporheic exchange를 통해 유입되는 적은 양의 E.coli는 기존에 타당하게 모의된 우기의 농도는 그대로 유지하되, 건기에 낮게 모의된 농도는 증가시켜 기존 SWAT 모듈의 한계점을 잘 보완한 것을 확인 하였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SWAT 모델은 건기 시 낮은 농도의 E.coli를 모의하기에 한계를 보였으며, 전 기간에 걸쳐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열대 기후에서 생장 단계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적은 양이 전 기간에 걸쳐 동일하게 유입되는 hyporheic exchange의 경우, 건기에 낮게 모의된 농도를 증가시켜 기존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었다.

  • PDF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박테리아 거동 모의: SWAT 모델의 한계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Modeling the impact of land use change on Fecal Indicator Bacteria basin-scale transfers: assets and limitations from the SWAT model)

  • 김민정;조경화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49-49
    • /
    • 2018
  • 라오스의 Houay Pano 유역은 상업적 조림으로 인해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급속한 토지이용 변화를 겪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토지이용변화가 박테리아 거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이해하기 위해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형을 활용한 박테리아 거동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SWAT 모형은 수치 표고 모델, 토양 특성, 토지 이용 등의 정보를 종합하여, 유역 내수량 및 수질의 변화를 모의할 수 있는 모형으로, 본 연구는 대표적인 분원성 지표 세균 (Fecal Indicator Bacteria)인 대장균 (Escheichia coli, E. coli)을 대상으로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SWAT 모형은 지표면 위 박테리아를 1)식물 위, 2)토양 용액상, 3)토양 입자상으로 구분하여 모의한다. 각 상태로 분할된 박테리아는 소멸 (die-off), 씻김 (wash-off), 침투, 표면 유출을 통한 수계로의 이동 등의 단계를 통하여 유역 내에서 거동한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기후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각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2011, 2012, 2013) 실제 기후 조건과 동일 기후(2011-2013 평균) 조건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기후 조건에서 SWAT 모형은 표면 유출, 토사 유출, E. coli 거동에 대해 2011년부터 2012년까지 감소,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증가로 모두 동일한 양상을 모의하였다. 이는 강수량의 양상과 동일한 것으로, 강수량이 표면 유출의 양을 결정하고, 달라진 표면 유출에 따라 토사 유출과 E. coli 거동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일 기후 조건에서는, E. coli 거동 동인인 표면 유출과 토사 유출이 비교적 일정해짐에 따라, 각 상태로 분할된 박테리아의 초기 부하량값이 E. coli 거동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초기 부하량 분할에 활용되는 엽면적 지수 (Leaf Area Index)와 분배계수 (BACTKDDB)의 정확도가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박테리아의 유입원인 비료 모델링과, LAI를 활용한 박테리아 초기 부하량 산정, 토양 특성 변수와 토지 이용 변수의 분리, 지하수를 통한 박테리아 거동 등을 중심으로 SWAT 모형의 한계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토지이용변화가 박테리아 거동에 주는 영향을 모형적으로 이해하고, 또한 추후 박테리아 모델링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한방사료 첨가제의 항균성 및 재래닭에서의 Campylobacter jejuni 방제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and Preventive Effect of Oriental Herbal Medicine Feed Additives for Campylobacter jejuni in Korean Native Chickens)

  • 김곤섭;정태성;신기욱;한대용;차혜진;김용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1-49
    • /
    • 2006
  • In this study, antimicrobial activity of oriental herbal medicine extract (OHME) was tested for some organisms and the preventive effects of OHME for the colonization of Campylobacter jejuni on epithelium of small intestine were examined in Korean native broiler chickens fed a forage added 1.0% OHME. The isolated Campylobacter spp were biotyped, serotyped and the susceptiblility of isolates to antimicrobial agent were examined.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was inhibited in 0.25% OHME. C. jejuni and C. coli were inhibited in 0.1% OHME, and Salmonella spp,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Escheichia coli 0157 were inhibited in 2.0% OHME. For the application of forage added 1.0% OHME in broiler chicken farm, the frequency of Campylobacter spp from feces, liver and spleen sample of chickens were examined during 2 weeks interval. The frequence of Campylobacter spp in feces from chickens fed assorted forage (control group) was increased from 25% in first week to 75% in seventh week. But the frequence of Campylobacter spp in feces sample from chickens 134 forage added OHME was slightly reduced from 25% in first week to 15% in seventh week. The frequence of Campylobacter spp in liver, and spleen was 13.7% and 10% respectively after seventh week in control group, but the Campylobacter spp was not isolated after fifth week in live and spleen from chickens fed forage added OHME. Isolated 56 strains of thermophilic Campyiobacter from Korean native chickens was classified as C. jejuni (76.7%), C. coli (214%) and C. laridis (1.6%). The majority of 43 isolates of C. jejuni was classified on biotype I (60.4%), II (30.2%). Most of 12 isolates of C.coli were biotype I (83.3%). Isolated 31 strains C. jejuni of showed 11 different serotype, and serotype 36 (18.6%), 17 (13.9%)were most frequent. Isolated 10 strains of C. coli showed 5 different serotypes and serotype 31 (33.3%) and 21 (25%) were relatively common. Isolated Campylobacter spp were highly susceptible to nalidixic acid, amikacin, gentamicin, colistin and chloramphenucol.

Portulaca oleracea의 생리활성과 항균활성 (B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 조영제;주인식;권오준;천성숙;안봉전;김정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49-54
    • /
    • 2008
  • 쇠비름 추출물로부터 항산화효과, 피부상재균 및 Helicobacter pylori 억제효과, tyrosinase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페놀함량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에서는 3.05 ${\mu}g/ml$, ethanol 추출물에서는 80% ethanol 추출물에서 6.33 ${\mu}g/ml$로 가장 높은 페놀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효과는 DPPH, ABTS,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모두 페놀함량이 가장 높은 80% ethanol 추출물에서 항산화력이 강한것으로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활성 역시 80% ethanol 추출물에서 38.71%로 가장 저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쇠비름 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효과는 물 추출물에서 20.24%, 80% ethanol 추출물에서 38.71%의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Helicobacter pylori,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및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을 평가한 결과 Helicobacter pylori는 200 ${\mu}g/ml$ 농도에서 13mm의 저해환을 보였고, Staphylococcus epidermidis는 40mm의 저해환을,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treptococcus. mutans는 각각 15, 17, 20 mm의 저해환을 나타내어 200 ${\mu}g/ml$의 농도 이상에서는 모두 생육억제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Lactobacillus acidophilus가 생산한 항균물질(抗菌物質)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antimicrobial agent produc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 김동신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9-162
    • /
    • 1984
  • The research was conducted(1) to confirm the agent(s) responsible for the antimicrobial activity contained in the fermented tomato juice with L. acidophilus(2) to extract and purify the antimicrobial agent(s)(3) to find the bi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ag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nd summarized as followings; 1. The agent responsible for the inhibitory activity was confirmed by both well assay method using fermented tomato juice with L. acidophilus and turbidimetric technique using the cell-free filtrate or neutralized filtrate of tomato acidohilus culture and found exerted antimicrobial agent other than lactic acid. 2. The procedures of purification :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ntimicrobial agent from the lyophilized acidophilus tomato culture were carried out by (1) methanol extraction (2) acetone extraction, (3) Sephadex G-50 gel filtration (4) paper chromatography and (5) thin layer chromatography. 3. The bi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antimicrobial agent: The biological, physical, chemical properties of the purified antimicrobial agent were: (1)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strong against test organisms; Bacillus subtilis(ATCC 6633), Escheichia coli(ATCC 25922), Staphylococcus aureus(ATCC 167), Pseudomonas fluorescens(KFCC 32394), Proteus vulgaris and Shigella dysenteriae. (2) The pH value of the agent was 2.0 and the inhibitory activity was lost when it was neutralized at 7.0 of pH and the agent was heat stable at $121^{\circ}C$ for 60 minutes. (3) The ultraviolet light absorption spectra of methanol-acetone extract and TLC fraction exhibited a maximum absorption at 260nm and 224nm respectively. (4) The most purified agent from TLC plate increased about 130-fold in activity. (5) The agent isolated from TLC plate was free from $H_2O_2$ or lactic acid. 4. Bioautographic assy: By means of bioautography of the agent on silica gel of TLC plate a stro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 subtilis was demonstrated. 5. Mass spectrometry: The agent obtained from TLC plate was analyzed by mass spectrometry which show the parent peak at m/e 264 suggesting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ompound and molecular group such as [$C_2H{^+}_4$], [CO], [CH=NH], [$C_3{H^}4_7$], [$\begin{array}{rcl}O\\{\parallel}\\CH_3-C\\\end{array}$], [$C_6-H{^+}_{11}$], [$C_5H{^+}_{11}$], [$\begin{array}{rcl}O\\{\parallel}\\C_5H_7-C^+\\\end{array}$] were sugges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