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ablishing Construction Industry Bas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북한 SOC 구축 지원 전략 (The SOC Building Strategy Planning of North Korea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

  • 정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692-700
    • /
    • 2016
  • 지난 1990년대를 전후하여 남북한 SOC에 관한 연구가 일부 기관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북한 SOC 현황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북한 SOC관련 연구는 각 연구기관별로 독자적인 연구추진체계에 의한 도로, 철도, 수자원분야 등 단편적인 연구형태로 수행되어 왔으며, 이를 이행가능하게 하는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관점의 통찰적인 연구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최근 정부의 통일 정책 및 남북교류 협력 정책의 기조는 작은 통일에서 시작하여 큰 통일을 지향하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추진하여 북한의 개혁개방 진전 시에 필요한 국가 차원의 SOC 구축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관리 관점에서 국토과학분야 지원 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사례 고찰을 토대로 향후 북한 SOC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해외사례는 통일 독일 사례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국내 북한 관련 연구는 각 학문분야에서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분야의 건설관리/경제부문에 범위를 한정,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전술한 선행연구 분석결과에 따라 건설관리/경제 부문에서의 북한 SOC구축 지원을 위한 세부 전략을 작성하였다. 대분류는 "북한 SOC구축 지원"으로 하였고, 중분류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대상국 맞춤형 기반구축 프로그램 실행절차를 커스터마이징한 "북한 SOC구축 지원 프로그램 실행절차"로 하였다. 중분류의 각 절차별로 25개의 세부 전략을 도출하였다. 향후에는 시범적용 지역을 선정하여 시나리오별 사업수행방법론을 확정하고 상세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연구가 수행된다면 북한건설기술 수준이 남한과 비교하여 상당한 수준으로 도약할 것이라 생각된다.

스마트 건설에서 디지털 측량정보의 활용 (Using Survey information of BIM-applied Project - Construction Industry Specialist Interview -)

  • 조재희;최영우;이지우;김환용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3-42
    • /
    • 2020
  • Recently, in the smart construction fiel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spatial information of 3D data base quickly and accurately using drones, LiDARs and ARs,. Most public ordering institutions are pushing for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work through establishing and announcing road maps and guidelines for utilizing BIM for the entire life cycle of construction. However, in most policies, the impact of 3D data on the entire life cycle is limited by only partially constructing and utilizing 3D data or by being mentioned. In addition, many public institutions, construction companies and planning companies did not actively utilize survey information during the actual construction phase, despite the possibility of using 3D survey information. In order to confirm the utilization of survey information, a total of eight private construction companie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by experts. The analysis shows that most of companies lack the performance of drone measurements or have a lack of awareness of advantages, and among them, construction companies are relatively active. Based on these opinions, this study examined the usability of surveying information and examined measures to expand the utilization of survey information in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technology development aspects and industrial development.

현장 실무자 대상 조사에 의한 건설공사 품질관리 관련 만족도에 관한 고찰 (Satisfaction Level of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by Survey of The Field Staffs)

  • 박형근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34-45
    • /
    • 2009
  • 우리나라 건설공사의 품질관리체계는 관련법에 근거한 규정의 조합과 시공자가 구축한 ISO/KS A 9001에 의한 품질경영 시스템의 운용에 의한 방법의 혼합형이다. 이 두 가지의 품질확보체계는 상호 보완적이며 통합된 체계로 운영되어야 하나, 시공자의 품질경영시스템을 활용하지 못하고 법에서 정한 기준과 방법, 절차 등의 규정에 따라 모든 공사에 있어서 일상화된 품질관리업무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ISO규격이 도입된 이래 지난 10여 년간 계속된 문제점으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품질관리의 철저를 목표로 고객 만족을 위한 예방적 품질관리사고를 정착하는 일은 건설산업의 당면과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건설현장 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품질관리 관련 의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건설공사 품질관리 체계의 운용에 대한 만족도를 정리하고, 나아가 향후의 개선방안에 대한 논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Maritime Trade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CheongHaeJin of the 9th Century

  • 한낙현;박명섭;김병조
    • 무역상무연구
    • /
    • 제34권
    • /
    • pp.109-131
    • /
    • 2007
  • This paper has focusing CheongHaeJin's maritime trading activitie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9th century. In operation of CheongHaeJin which Chang BoGo was given a key role, CheongHaeJin creates three nation's wealth in triangular trad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And also, CheongHaeJin's contribution is considerable to the maritime trade development of Northeast Asia through establishing trading advance base in China and Japan, and organizing Shilla's people in China. Chang BoGo justified the control over small business groups of the west and south sea of Korea and the east and south sea of China by keeping pirates away His trade groups controlled foreign trade of three countries: Shilla, the Dang Dynasty of China and Japan. They connected Persia, India, Southeast Asia, and China. CheongHaeJin's key success factors of the maritime activit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is a possibility of searching that successful factor from the people of operator of CheongHaeJin. Based on oceanic adventurous spirit with character and progressive thinking could complete the rally of sea influence and composition of fleets. Secondly, the success factor is the excellent operational ability and leadership which learned in the Dang Dynasty of China. Thirdly, In 9th century, International political context was suitable for CheongHaeJin's construction and operation. Such political circumstances had given to CheongHaeJin remunerative position. Finally, Although central government could not maintain the sea traffic securities, Chang BoGo's ocean trading fleets guaranteed the safe fishing industry of people and security of sea traffic.

  • PDF

보안디자인을 활용한 시설보안시스템 구축 방안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physical security system by using security design)

  • 최선태
    • 시큐리티연구
    • /
    • 제27호
    • /
    • pp.129-159
    • /
    • 2011
  • 시설보안은 항상 보안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통합적 보안계획은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시설보안, 인사보안, 정보보안이 포함된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상호간에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고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 시설과 기업의 유형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운영된다. 통합보안프로그램에서 시설보안요스는 대체적으로 정책과 절차, 사람, 방벽, 장비와 기록물로 구성된다. 인간은 선사시대부터 자신과 부족의 생명을 보존하기 위하여 쉼 없는 투쟁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선사시대의 인간들은 어떻게 견고한 집을 짓고 거주지를 어떻게 요새화하는지를 배우지 못하였기 때문에 자신들의 보호를 자연에 의존하였고 추운 날씨에는 동굴들을 보호나 피난처로 활용하였다. 인류사를 통하여 인간은 자신과 자신이 속한 부족의 생명과 자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보호대책을 수립하여 왔다. 이러한 보안대책의 기본에는 시설보안대책이 자리하고 있다. 중세시대의 유럽의 대군주들은 성곽 둘레를 파내어 해자를 건설하거나 도개교를 만들어서 성 주위를 강화하고 거주자들에게 이러한 보호를 제공하고 경작된 농산물을 제공받았다. 20세기 들어 미국의 에드윈 홈즈는 미국의 보안산업발전에 혁신적인 전자경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이 오늘날 전자보안시스템의 효시이며, 발전을 거듭하여 오늘날 해당 시설물에 다양한 전자보안시스템을 조합한 형태의 보안시스템이 보안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류는 태초부터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보호대책을 수립하여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오늘날 현대인은 생명과 자산의 보호와 다양한 사회병리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국 방방곡곡 대부분의 시설물에 CCTV가 설치되어 현대인의 일상을 보호 감시하고 있다. 이러한 대부분의 시설보안시스템은 우리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모든 비용 또한 우리가 지불하여야 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시설보안시스템의 구축은 매우 중요한 당면 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의 필요성에 의해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시설보안시스템의 효과적인 구축방안에 대하여 보안디자인의 원리에 시스템 통합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시설보안시스템 구축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PDF